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학생들이 스스로 만들어나가는 독서토론 문화, '읽다, 나누다, 느끼다'

by 5기오우택기자 posted Sep 11, 2017 Views 1673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8월 25~26일 양일간 '2017 학생주도형 독서토론 한마당'이 경기도교육연수원에서 진행되었다.


총 고등학생 137명, 교사 외 87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행사는 2016년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되었으며,  '다양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미래 사회'를 논제로 인문, 사회, 과학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주제별로 다양한 도서를 읽고 토론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토론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는데, 각 영역의 세부 주제별로 나누어진 학생들이 모둠을 이루어 서로 의견을 나누면서 활발한 토론을 이어나갔다.


1일 차에는 각 학교별로 진행한 독후표현활동 전시 작품 및 공연 작품을 관람하는 행사가 진행되었다.


IMG_20170825_192316225.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오우택기자]


이후 1차 토론에서는 모둠별로 주제 및 예시 도서를 바탕으로 질문을 만드는 시간을 가진 뒤, 다른 모둠들의 의견을 둘러보며 궁극적인 주제에 대한 여러 질문들을 공유하는 브레인 라이팅(Brain Writing)의 방식을 통하여 다양한 의견을 나누었다.


저녁 식사 이후 진행된 2차 토론에서는 1차 토론 및 독후표현활동을 통해 느낀 많은 생각들을 모둠 내에서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토론 과정은 기존의 토론 수업과는 달리 다양한 답변들을 통해 더 창의적이고 적극적인 토론을 이끌어나갈 수 있는 소크라틱 세미나(Socratic Seminar)식 토론으로 진행되었다.


temp_1504454249893.217902782.jpe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오우택기자]


소크라틱 세미나란 책상을 원형으로 배열하여 교사 또는 진행자가 질문을 던지면 그 질문에 대해 다양한 답변들을 나누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토론 수업이다.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만 논의되던 토론 수업 방식이었으나 한국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 시행 이후 수행평가를 통한 평가 방식이 대두되면서 소크라틱 세미나도 함께 주목받기 시작했다.


2일 차에는 행사에 참여한 학생 전부가 모여 월드 카페(World Cafe) 방식으로 여러 사람들이 모여 서로의 의견을 교류하는 전체 토론을 진행하였다. 총 세 차시로 진행되었으며 영역별로 다양한 질문들에 관해 토론하며 활발한 의견 교류의 시간을 가졌다.


20170826_090554.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오우택기자]


올해 두번째 개최를 맞이한 '2017 학생주도형 독서토론 한마당'은 학생들이 직접 주도하여 스스로 기획하고 만들어 나가는데 의의를 가질 뿐만 아니라, 많은 학생들의 다양한 의견을 경청하고 토론하는 기회의 장이 되어 학생들에게 인문학적 소양을 함양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5기 오우택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4221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39408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61335
추운 겨울에 따스한 호주 여행기 1 file 2019.02.27 권세진 16873
평창과 사랑에 빠지다 2 file 2018.03.09 백예빈 16873
빅뱅콘서트가 국익에 도움이 된다고? 17 file 2017.01.26 형지민 16872
미래의 희망... file 2016.07.17 3기박준수기자 16872
GIST 전성찬 교수,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해 '준침습성 뇌 전기 자극' 효과 입증 2 file 2017.03.05 임오령 16869
EM흙공으로 양재천 정화 활동을 하다 file 2016.09.26 강예린 16869
2016년 주한외국 대사관의 날! 그 축제의 현장 2016.11.15 서지민 16866
2019 스위트 코리아, 디저트의 매력에 빠지다! file 2019.05.29 이지원 16862
팬들의 간절한 바람, 프로야구 관중 입장 언제쯤 1 file 2020.07.17 오경언 16861
인생이란 한 상자의 초콜릿 같다 4 file 2018.10.10 노현빈 16860
영화 '다른 길이 있다', 무엇을 위한 비난인가 1 file 2017.02.22 이세림 16860
이서 문화 어울림 장터에서 이웃과 소통하고 기부도 하자! 2 file 2017.03.13 김수인 16852
의령 곤충생태체험관을 소개합니다. file 2016.07.18 이서연 16851
작은 영화, 그러나 큰 여운 3 file 2016.03.25 김주은 16850
K-Pop과 K-Drama, 해외에서는 얼마나 유명할까 2018.11.30 정유현 16848
렌즈, 올바른 사용법과 부작용 3 file 2020.09.09 김현수 16846
EBS 6기 스쿨리포터 발대식 및 미디어워크샵 개최 3 2017.08.29 5기박수연기자 16846
건축학교 아키, 꿈을 짓는 건축캠프 개최 8 file 2017.02.01 오승민 16846
아는 만큼 즐기는 추석 2 file 2016.09.22 이민정 16841
환경을 다시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 '서울환경영화제' 1 file 2018.06.11 진현용 16839
현대인의 눈건강 적색신호 2 file 2016.03.25 김수미 16837
희망이란 그 당당한 이름! 청소년과 함께! 2 file 2017.03.15 이지은 16836
"금메달 박탈하라"...도 넘은 안산 향한 온라인 공격 2 file 2021.08.06 조영인 16834
덥고 복잡한 도심 속 즐기는 소소한 여유 file 2017.06.18 김나림 16832
‘Youtuber’ 축제 ‘DIA FESTIVAL’ 그 열기는! 2018.08.29 김유진 16830
웹드라마 '독고빈은 업뎃중', 8월 28일 첫 방송 file 2020.08.26 노연우 16827
리본 공예, 장애인 마음도 환하게 비춰주다 file 2016.03.20 김현구 16823
희망이란 그이름 당당한 그이름! 청소년과 함께! file 2017.03.14 이지은 16820
역사의 현장, 거북선에 오르다! 1 file 2017.10.16 황유정 16817
패럴림픽, 한계에 도전하다 file 2016.09.25 이하린 16817
왼손잡이, 오른손잡이 과연 누가 결정할까? 1 2021.01.15 이채영 16815
방탄소년단, 컴백 첫 주 음악방송 '1위 올킬' 1 file 2018.06.01 성효진 16812
한국 축구의 미래 U-20 축구 대표 팀 아디다스컵 우승! file 2017.04.02 서재성 16811
골든벨을 울려라! 정읍역사골든벨 1 file 2016.07.20 이봉근 16805
전주 3.13 만세운동 재현행사 2 file 2018.03.14 이정찬 16802
한 여름밤의 꿀 '달밤 소풍' file 2017.08.21 송주영 16801
호이 호이 둘리는 초능력 내 친구! 1 2017.05.14 한승훈 16798
한국 천주교 순교자들의 역사, 오륜대 한국 순교자 박물관 file 2017.09.26 허재영 16796
똑똑한 악동 토끼와의 당근밭 전쟁! 영화 '피터 래빗' file 2018.05.28 김수인 16794
책가방 대신 카메라를 메고 교실 밖으로 나온 여고생 슬구를 아십니까? 2 file 2016.05.27 김윤정 16794
최신 반도체 기술 선보여, 코엑스에서 열린 제22회 반도체대전(SEDEX 2020) 1 file 2020.11.04 김민주 16793
대형마트가 고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1 file 2017.04.25 현소연 16793
장하준의 경제학강의 - 정치학에서 파생된 학문에 관한 간결하고 명료한 입문서 file 2019.05.28 홍도현 16788
무더운 날씨 속 과거 '석탄' file 2016.08.25 김민지 16788
2017 쇼트트랙 세계 선수권 대회, 한국 선수들에게만 깐깐한 심판들로 인해 억울한 패배를 맛본 한국 선수들? file 2017.03.25 이예성 16784
스티븐 스필버그, 그의 한계는 어디인가: 레디 플레이어 원 file 2018.04.04 김민하 16783
영화의 기억, 영화 굿즈 스토어 1 file 2020.12.30 이준표 16781
모리를 통해 느끼는 삶의 의미와 죽음 1 file 2018.10.05 박채윤 167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