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졸업이 실업” 청년층 체감 실업률 22% ‘사상 최악’

by 5기김욱진기자 posted Sep 06, 2017 Views 242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7년 2월 8일 통계청이 비공식으로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4년제 대학교 이상을 졸업한 고학력 청년층의 체감 실업률이 2년 연속 22%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년층 공식 실업률인 9.8%의 두 배를 웃도는 수치이다.


우리나라 고교생의 대학 진학률은 70%로, 매년 대학교를 졸업한 고학력 구직자들이 취업에 뛰어들고 있다. 하지만 최근 경제성장률이 2%대로 하락하고 주력 산업의 구조조정과 경기 침체로 인해 취업 시장이 얼어붙게 되면서 대졸자들의 취업 꿈은 점점 멀어지고 있다.


최근 경제성장률이 움츠러든 주된 이유는 작년 성장을 예상했던 건설투자가 대폭 둔화하고 구조조정의 여파로 부진했던 소비가 더욱 위축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또한 ‘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한국 정치의 불안정함과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당선으로 인한 보호무역주의의 증대 가능성도 한몫했다.


‘최순실 게이트’에 국내 기업인 삼성, LG, 롯데, 한진 등의 기업들이 연루됨으로 인해 투자 역시 위축되면서 가뜩이나 낮은 대기업 입사율이 더욱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삼성그룹은 ‘최순실 게이트’의 여파로 상반기 대졸 신입사원 공채 일정이 미뤄졌다.


이처럼 상당수 국내 기업이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 등 여파로 대졸자 공채 규모를 연기 및 축소하면서 구직 행렬은 갈수록 길어지는데 취업 시장의 문은 오히려 더 좁아지는 현상이 계속되고 있다.


10대 그룹 가운데 올해 채용 규모를 늘리겠다는 그룹은 거의 없다. SK그룹만 지난해보다 100명 늘어난 8,200명을 채용하겠다고 밝혔다. 삼성, 현대, 엘지 등 나머지 10대 그룹은 “작년 수준으로 뽑을 방침”이라고 밝혔지만 채용 규모를 늘릴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고용부 조사에서도 상시 근로자 300인 이상 대기업은 올해 상반기 대졸자 공채 규모를 지난해보다 8.8% 정도 줄일 예정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러한 취업 시장의 위축과 불안정한 사회경제현상과 함께 대부분의 고교생이 대졸자가 되는 학력 인플레이션까지 겹치면서 청년 실업자의 수는 사상 처음으로 전체 실업자의 43%에 가까워졌다.


123.PNG

자료: 통계청 (각 연도별 4월 기준)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김욱진기자]


2017년의 20대 청년 실업률인 11.3%는 외환위기 직후인 2000년 9.6%보다 더 높은 수치이다. 청년 실업률은 2013년까지 8.1%로 점점 줄었지만 4년 만에 3.2%가 상승하면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15~24세 대졸 이상 청년층 실업률은 전년도 6.7%에서 15.1%까지 치솟았다.


통계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며 입사시험을 보러 다니는 청년과 공무원 시험 준비생, 고시생 등까지 합하게 되면 대졸 이상 청년의 실업률은 훨씬 더 높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해가 거듭할수록 악화되는 청년층의 실업률을 줄이기 위해 거액의 예산을 청년 일자리 창출과 고용지원 사업에 투자했다. 경기도 성남시는 청년 배당을, 서울시는 청년활동 지원 사업인 일명 ‘청년수당’을 실시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이 무색하게 청년 실업률은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5기 김욱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620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417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8230
변화해야 할 대학교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10 file 2016.02.22 박나영 17091
지역 아동센터 지원, 이대로 괜찮을까? 9 file 2016.02.22 이하린 19655
"여주인님으로 모신다면.." 미성년자 상대 페이스북 변태행위 심각 15 file 2016.02.22 김현승 157282
돌고래들의 권리는 안녕합니까? 13 file 2016.02.22 김승겸 17486
한일 위안부 협의, 그 후.. 13 file 2016.02.21 안성미 27090
윤기원 선수의 의문의 죽음, 자살인가 타살인가 10 file 2016.02.21 한세빈 19271
끝나지 않은 위안부 문제, 시민들이 바라는 해결책은? 11 file 2016.02.21 김미래 18252
미국 연방수사국(FBI)의 명령을 거부한 애플 7 file 2016.02.20 장채연 16672
필수 한국사, 과연 옳은 결정일까? 11 file 2016.02.20 정민규 19400
"어르신, 노란조끼 왔어요~" 9 file 2016.02.20 김민지 18808
커피 값으로 스마트폰을 사다?! 11 file 2016.02.20 목예랑 20581
표지판 외국어표기 오류 여전 16 file 2016.02.19 노태인 28116
'표현의 자유'의 정당성에 관하여 13 file 2016.02.19 김지현 18564
갈수록 줄어드는 청소년 정치 관심도...선거가 언제죠? 12 file 2016.02.19 박소윤 37778
대책위 보성-서울 도보순례, 광주지역에서도 백남기 농민 쾌유 빌어 13 file 2016.02.17 박하연 19905
"언니야 이제 집에가자" 7만명의 시민들이 만든 일본군 위안부 영화 '귀향' 눈물 시사회 23 file 2016.02.17 고유민 19485
국회의원 총선 D-56 ... 선거구 획정 아직도? 13 file 2016.02.17 이예린 24313
사드 배치, 남한을 지킬 수 있는가 17 file 2016.02.16 고건 17147
밸런타인데이의 유래, 신생 기념일 vs 전통 기념일 14 file 2016.02.15 박민서 17489
설 세뱃돈, 어디에 쓰나 10 file 2016.02.15 이민정 18870
2월 14일, 밸런타인데이에 가려진 슬픈 역사 20 file 2016.02.14 김혜린 18821
시민의 손으로 세워진 소녀상이 설치되기까지 18 file 2016.02.14 3기신수빈기자 19900
'자발적인 청소년 정책 참여의 첫걸음' 제 1회 청소년정책학술회, 성공리에 개최 그러나 10 file 2016.02.14 박가영 18542
‘후보 000입니다…’ 문자, 선거법 위반인가 27 file 2016.02.14 전채영 22119
[미리보는 4월 총선키워드] 노회찬 후보 사퇴, 최대 격전지 노원병 9 file 2016.02.14 이강민 17904
북한 장거리 미사일 '광명성 4호' 발사 성공 11 file 2016.02.14 구성모 18714
2016년 동북아시아를 뒤흔든 "THAAD(사드)" 12 file 2016.02.14 진형준 18826
멀어가는 눈과 귀, 황색언론 15 file 2016.02.13 김영경 18872
[현장취재]가게 옆 거대눈사람이 품은 따뜻한 이야기 10 file 2016.02.13 박다온 16050
내 손 안의 판도라... 스마트기기 14 file 2016.02.13 한종현 17148
지카 바이러스,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7 file 2016.02.12 오시연 23013
글로벌 여성 인권대사 2기, 그 화려한 막을 내리다 15 file 2016.02.10 이유수 20252
선거구 획정안, 국회는 어디로 사라졌나? 13 file 2016.02.07 진형준 20599
[현장취재]'제 16회 서울청소년자원봉사대회' 나눔을 실천하는 청소년들 2 file 2015.11.23 박성은 22501
물의 하수 처리과정을 살펴볼까요? 6 file 2015.11.01 홍다혜 34308
자칭 언론사? 정보화 시대와 우리의 과제 2 file 2015.10.25 김진아 28952
제11회 부산불꽃축제, 그 화려한막을 내리다 2 file 2015.10.25 안세영 24358
[현장취재]청소년이하는 청소년 인식개선 프로그램!<쉬는 날, 왜 쉬어?> file 2015.09.19 박성은 23335
국가보훈처, 제4회 애국가 부르기 UCC 공모전 개최 file 2015.09.09 온라인뉴스팀 25873
대한민국 인구의 충격, 놓쳐버린 골든타임 3 file 2015.08.24 김동욱 41399
김해 중앙 병원 화재, 50대 남성 1명 숨져 file 2015.08.23 정영우 25793
[현장취재] 장흥 물축제가 주변 상권들을 살리다. 2 file 2015.08.04 이세령 21534
아동 살인 공소시효 폐지법 '태완이법' 1소위 통과 [종합] 1 file 2015.07.21 김종담 25186
무더운 여름, 예민해진 눈, 내가 지킨다!! 1 2015.07.19 구민주 22748
우리의 땅 제주 이대로 가도 될까? 1 file 2015.05.25 박다혜 23442
봄바람과 함께 떠나는 문학기행 file 2015.05.25 정영우 24557
은여울 역사동아리, 서대문형무소에 가다 1 file 2015.05.24 이세령 29554
따뜻한 봄날 피크닉, 그 뒤에 남은 쓰레기들 4 2015.05.24 신정은 259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