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우리나라 먹거리의 잔혹사 첫 번째, 우지파동

by 5기오동민기자 posted Sep 04, 2017 Views 1658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올 8월 들어서, 우리의 먹거리는 3번이나 파동을 겪고 있다. 음식 파동은 1년에 한 번 일어나기 힘든, 그만큼 한 번 터지면 식품업계, 소비자, 정부 모두에게 피해를 입힌다. 그런데 올해 8월에 일어난 것만 살펴보자면 유럽산 수입 계란과 국내 유통 계란에서 간·콩팥등을 손상시키는 발암물질인 피프로닐(진드기 등의 해충을 죽이는 살충제)이 잔류됐다는 논란이 난 살충제 계란 파동, 유럽산 햄과 소시지에서 E형간염을 일으키는 HEV 바이러스가 검출 됐던 소시지 파동, 그리고 하림 계열사의 닭고기가 기준치 6배 이상의 구충제 성분에 노출됐다는 닭고기 파동까지 가공육, 양계업 업계는 물론, 식약처와 소비자의 미래까지 걱정스러울 지경으로 사태가 커졌다. 이런 상황에서 본 기자는 과거에 일어났던 식품 파동을 재조명하며 과거의 일을 통해 어떤 교훈을 얻어야 할지, 또 그걸 통해 지금 현재의 사태를 어떻게 현명히 대처를 하고 인식을 할까 하는 취지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식품 파동인 ‘우지 라면 파동’ 사건을 취재해보았다.

a3ed249731e698bc4c4ecd7f0d905473.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오동민기자]

그 전에 라면의 역사를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다. 1963년, 삼양식품 전 회장인 전종윤이 5만달러의 지원을 받고 일본 기업에게 라면 제조 기계와 기술을 전수받아 ‘삼양라면’이라는 우리나라 최초의 라면을 만들었다. 당시 가격은 100g당 10원이었는데, 처음에는 라면이라는 음식이 한 끼 식사로는 익숙하지 않았고 닭고기 베이스의 비린 맛은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지 못했다. 여기서 정부가 가뭄의 단비와 같은 밀가루 음식 보급 정책(혼분식 보급정책)을 펼치며 라면이 소비자들에게 보급됐고, 맛 역시 지금의 ‘매운 라면’으로 바뀌면서 ‘삼양라면’은 1980년대까지 농심과 오뚜기와 함께 라면업계의 메이저기업으로 우뚝 섰었다. 하지만 절정의 끝은 내리막길이 오듯이, 1989년 ‘삼양라면’은 물론 라면 업계를 뒤흔들 사건이 터진다.

5c20b4b3d18ea774b703b1441d90671a.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오동민기자, 이미지 제공=동아일보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음']

‘우지라면 파동’은 1962년에 식품위생법이 시행된 이래 최초의 식품 파동인데, 1989년 검찰 측이 삼양식품을 포함한 5개 기업에서 공업용으로 분류된 우지를 미국에서 수입해 마가린, 라면 등을 만들었다는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해 삼양식품 대표를 포함한 간부 10명을 소환해 조사를 했다. 이유는 제조과정에서 쓰인 우지가 식용으로 쓸 수 있는 산가 기준치를 초과했고, 이는 윤활유에서나 쓰이는 수준이라 식품위생법을 위반했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여기서 반전이 일어난다. 증거 조사를 위해 삼양식품의 모든 라면의 제조 원료를 조사했는데 모두 이상이 없다는 결론이 나온 것이다. 이런 파동이 벌어진 데에는 사실 ‘공업용’으로 판명이 난 미국산 우지는 소의 지방에서 짠 기름 중에서 2~3등급으로 판명이 난 것인데 우리나라는 2~3등급 우지는 과자와 같은 유탕처리 식품에 쓰이는 식용우지라고 판단하지만, 미국 기준으로는 숟가락으로 바로 떠먹을 수 있는 1등급을 제외한 나머지 기름을 공업용이라고 보기 때문에 이런 논란이 난 것이다. 실제 일본의 라면 업체에서는 2~3등급 우지와 돼지기름(돈지)으로 라면을 튀겨서 제조를 한다. 정상적인 제조 과정으로 만들었음에도 불구하고 ‘공업용’이라는 이유로 억울한 조사를 받은 ‘삼양식품’은 9년 뒤, 1997년 최종 무죄선고를 받는다.

e843b986b19b527a634f412bc006fdc3.jpg

[이미지 제공=듀프레인 블로그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음']

하지만, ‘삼양식품’은 9년의 시간 동안 많은 손해를 봤는데 원래 60%의 업계 점유율을 유지하다가 우지파동 이후 15%까지 떨어졌다고 알려졌지만, 사실은 80년대부터는 ‘농심’이 ‘신라면’과 ‘안성탕면’, 그리고 ‘짜파게티’를 앞세워 ‘삼양’을 밀어내고 업계 1위로 급부상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삼양식품’은 이 사건 이후로 다시는 1위로 올라갈 저력을 잃고 재기불능 상태에 몰렸고 이후 ‘오뚜기’가 새롭게 도약을 하면서 2013년 기준으로는 3위로 밀려났고, 2017년 현재는 3위마저 위태로운 상황이 되었다. 결국 이 사건은 검찰의 선동과 언론의 왜곡, 잘못된 식품 정보와 인식이 삼위일체를 이루어 ‘삼양식품’이라는 라면 업체를 몰락의 길로 몰아넣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5기 오동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5기박선형기자 2017.09.04 22:59
    요즘 식품 문제가 많이 생기면서 대체 언제부터 이런 문제가 생겼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었는데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된 것 같네요
  • ?
    5기손수근기자 2017.09.11 11:54
    사회부기자 손수근입니다.
    '이런 파동이 벌어진 데에는 사실 ‘공업용’으로 판명이 난 미국산 우지는 소의 지방에서 짠 기름 중에서 2~3등급으로 판명이 난 것인데 우리나라는 2~3등급 우지는 과자와 같은 유탕처리 식품에 쓰이는 식용우지라고 판단하지만, 미국 기준으로는 숟가락으로 바로 떠먹을 수 있는 1등급을 제외한 나머지 기름을 공업용이라고 보기 때문에 이런 논란이 난 것이다' 라는 기사 일부분을 보면서 삼양라면은 사회적 낙인으로 인해 업계 1위에서 밀려나야 했고, 무고한 사람들이 피해를 볼 수 밖에 없었다는 생각이 드네요. 정부가 기업의 잘못된 점을 시정하기 위해 단속하고 제재하는 것은 옳지만 정확하지 않은 사실을 기반으로 사회적여론형성을 통해 여러 기업들이 피해보지 않는 일이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 ?
    6기오지석기자 2017.09.22 13:50
    부모님께서 예전 쓰레기만두 사건도 얘기해 주신적이 있습니다. 못생긴 단무지의 끝부분을 썰어 넣었다는 이유로 기사에 그렇게 실렸고 만두업체 사람들이 사업체부도로 자살한 경우도 있었다고. 식품안전감시는 당연 필요하지만 정확한 근거와 기준을 가지고 기사를 써야겠어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601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294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6943
아동성범죄 가해자 어디까지 용서받을 수 있나 3 file 2018.02.02 이승현 11199
우리가 즐겨하는 게임, 과연 바람직하게 하는 방법은? 2 file 2018.05.16 석근호 11198
나비가 되신 위안부 피해자, 김군자 할머니 8 file 2017.07.23 송다원 11198
문재인 대통령 광복절 경축사, 그 안에 담겨 있는 새 정부의 메세지 file 2017.09.05 이지훈 11190
아동·청소년의 목소리를 듣다, 아동·청소년 정책박람회 'Be 정상회담' 2017.10.30 류영인 11189
작지만 큰 그녀들의 외침 4 file 2018.07.26 김하은 11185
'재팬 패싱'은 현실화될 것인가 1 file 2018.06.12 이후제 11182
백악관에 닥친 권력 전쟁, 백악관 내전 1 file 2017.08.11 박우빈 11182
광화문에 나온 청소년들, 그들은 누구인가? 2 2017.03.26 민병찬 11179
세상에 진실을 알리는 우리의 목소리: 1365차 수요시위 2018.12.26 하예원 11176
문재인 대통령의 일정 공개, 국민을 위한 것? file 2017.10.26 이지현 11168
이게 선진국 일본의 코로나19 대처방식이라고? 2 file 2020.04.21 이예빈 11165
줄지않는 아동학대...강력한 처벌 필요 file 2018.11.23 김예원 11161
사우디아라비아의 많은 변화, 여성들 새 삶 출발하나? 3 file 2018.10.12 이민아 11156
보이지 않는 칼날 2 file 2018.03.26 김다연 11153
신고리 원전, 팽팽한 숙의민주주의·· 갈등의 끝은 존재하는가? 2017.10.23 조영지 11148
사드 보복, 경제적 손해량은 어느정도일까 file 2017.03.19 이수현 11141
조두순의 출소와 그의 형량과 해외 아동 성범죄 사례들 비교 1 2021.03.02 김경현 11139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 러시아 변호사와 만나다 1 file 2017.07.25 류혜원 11139
인터넷 실명제, 누구의 손을 들어야 하는가 file 2018.09.27 유지원 11138
한중관계, 깊어지는 감정의 골 1 2017.05.21 유승균 11138
외래종(外來種)의 세계화,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9.02.26 조원준 11136
GM 군산공장 폐쇄, 그 속내는? file 2018.03.02 백다연 11135
Marketing Taste Test - 블라인드 시음 1 file 2018.06.11 조찬미 11130
충격적인 살충제 계란, 이에 대해 방념한 정부의 대처 1 file 2017.08.25 이어진 11130
대형마트의 강제 휴무 제도 5년...현재는? 2017.09.27 허재호 11129
노트르담 대성당의 붕괴 file 2019.05.14 양재성 11125
같이 사는 세상, 층간 소음 file 2017.10.30 황현지 11123
블라인드 채용 득인가 실인가 2017.09.25 황수민 11122
설날 물가 상승, 여러분의 지갑은 안녕하셨습니까? 1 2017.03.13 임촌 11116
마크롱 정부에 반발한 '노란 조끼 운동' 시위 file 2018.12.10 정혜연 11115
노동계의 사각지대. 비정규직 그들의 외침.... 7 file 2017.09.14 서호연 11112
"잊지 않겠습니다" 지난달 16일 안산서 세월호참사 5주기 기억식 열려 file 2019.05.23 황수빈 11107
부르키나파소의 총리와 내각, 사임하다 1 file 2019.02.13 이솔 11097
'구지가'로 불거진 논란, 교권침해인가 성희롱인가 file 2018.07.24 최가영 11094
독도는 일본땅? 어이상실한 日 학습지도요령 해설서 논란 6 2017.06.30 김성미 11093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의 행보 1 file 2017.03.24 윤희수 11083
20%대로 추락한 아베 지지율, 장기 집권에 "빨간불 " 2 file 2017.08.09 이진하 11080
원전 찬반집회가 울산에서 열리다 2017.10.10 박채리 11079
살충제 계란의 해결은 동물복지농장과 정부의 철저한 관리 1 file 2017.09.01 최나연 11078
끈임 없이 존재하는 지역별, 세대별 투표 경향성에 대하여 file 2017.05.20 안준혁 11073
아직 받지 못한 사과, 당신은 알고 계십니까? 3 file 2019.05.22 이송이 11070
또다시 다가온 2018 대학수학능력시험 file 2017.11.22 김서영 11066
청소년, 권리를 외쳐라! - 'Be 정상회담' 성료 2 file 2017.10.23 김현서 11065
오랜 침묵을 깬 국제앰네스티, '군형법 제 92조 6조항을 폐지하라' 2019.07.19 신주한 11064
북한인권법은 미국의 정치적 카드? 2 file 2017.05.23 김윤혁 11062
벼랑 끝에 선 한의학, 해결 과제는? file 2019.08.19 최양현 11054
개인의 문제가 아닌 모두의 문제 2 file 2018.02.21 신화정 110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