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반려동물에서 한순간에 유기동물로..대한민국 유기동물의 현주소

by 신정은기자 posted Feb 26, 2015 Views 2713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취재지역 405-815 인천광역시 남동구 백범로 267, (간석동)


해마다 증가하는 유기동물의 개체수가 점차 사회적 문제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국민 5명 중 1명 꼴인 19.7%가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고, 그 중 81%가 반려견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추세가 더해져가는 만큼 반려동물에 대한 책임이 경시화 되며 유기동물의 개체 수가 늘어나고 있다. 2008년 2012년 사이에 길가에 버려진 유기동물은 해마다 약 9만 마리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들 중 구조되어 유기동물 보호소에 보내지는 동물들은 6만 마리로 추정되고 있다.


우리나라 유기견들의 현주소

유기동물 문제의 현실을 취재하고자 '행복한 유기견 세상' 에서 운영하는 인천광역시 남동구 간석동에 위치한 유기견 보호소인 '사랑터'를 찾았다. 지역단체가 아닌 개인이 운영하는 단체인 '행복한 유기견 세상'은 인터넷으로 봉사신청을 받아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유기견들을 돌보고 있었다. 사랑터의 책임자 중 한 분인 A(가명)씨와 이야기를 나눠보았다.



크기변환_크기변환_20150224_140153.jpg


[▲자원봉사자와 사랑터의 유기견들(기자 본인 촬영)]


Q. 평소에도 많은 자원봉사자들이 오는가?

A. 주말에는 선착순으로 신청을 받을 만큼 봉사자분들이 많이 찾아오시지만 평일에는 아무래도 많은 분들이 오지 못하신다. 봉사자 분이 없는 날에는 혼자서 개들을 돌보는 편이다.

Q.'사랑터'의 개들은 어떤 경로로 데려오게 된 것인가?

A. 이 개들 모두 인천시에서 운영하는 유기견 보호소에서 입양해온 아이들이다. 아무래도 유기동물로 시보호소는 공간상, 재정상의 여우가 없기 때문에 열흘 정도 보호를 받는데 그 열흘 안에 주인을 찾거나 입양되지 못하면 안락사를 당한다. 그래서 '사랑터'뿐만 아니라 많은 개인단체에서 유기동물들을 입양해서 돌보기도 한다.


Q. 시보호소에서 입양을 할때 따로 정한 기준이 있는가?

A. 여기있는 개들 중 절반은 몸이 아픈개들이고 절반은 마음의 상처가 아직 많이 남아있는 개들이다. 한마디로 딱히 정해진 기준을 없다는 것이다. 나도 사람인지라 보호소에서 입양을 해올 때 더 눈길이 가는 아이를 데려오는 것 같다.



'행복한 유기견 세상'를 비롯한 많은 개인, 지역 단체에서 유기동물들을 보호하고자 힘쓰고 있다. 그러나 이 순간에도 무책임한 사람들에 의해 힘 없이 거리에 버려지고 있는 동물들이 있다. 사람과 교감하며 함께 살아가는 동물을 반려동물이라고 한다. 사랑받던 반려동물에서 유기동물이 되어버린 그들의 상처는 누구에게 있는 것일까. '나 하나쯤 버려도..'라고 생각한 우리가 만든 비극은 아닐까.


<2기 수석팀 신정은기자(jungeun1116@naver.com)>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2기박하영기자 2015.02.26 20:38
    동물들도 감정이 있는 생물인데 하찮게 생각하지 말고 끝까지 책임지는 사회 분위기가 하루빨리
    만들어져서 유기견들이 더 이상 생겨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515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320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7175
성숙한 시민의식 1 file 2020.03.17 전혜은 8048
한-카자흐스탄 경제협력, 카자흐 경제발전의 발판되나 file 2021.08.26 허창영 8057
체포 과정에서 용의자를 질식사하게 한 미국 경찰, 그리고 이어진 '플로이드 사망 시위' file 2020.06.02 김가희 8083
미국과 FTA 체결 원하는 대만..미·중 신냉전 체제의 새로운 요소로 급부상 file 2020.08.20 조승우 8088
6.25 D-DAY, 국민들 우려대로 전쟁 일어날까? file 2020.06.29 임지안 8099
9년 만에 돌아온 폭우 file 2020.09.08 홍채린 8106
故 노태우 전 대통령과 전두환 전 대통령에 대한 사회적 인식 왜 다른가? file 2021.12.07 오유환 8122
청년, 공공주택과 위기의 징조들 file 2021.07.19 전인애 8123
뉴질랜드 속 코로나19 2020.04.28 박혜린 8127
"부르카 안 썼다고 총살" 또다시 여성 인권 암흑기 접어드나 file 2021.08.31 양연우 8135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19일 0시부터 1.5단계로 격상 file 2020.11.18 이유진 8141
누군가의 대변이 치료제가 될 수 있다? 2020.06.18 박혜린 8142
한국도서관협회 입장문, '2023년 신규 사서교사 정원 동결, 즉각 철회하라' file 2022.08.05 이지원 8144
삼성전자 이 부회장의 2년 6개월 실형 선고... 또 다른 리스크인 보험업법 개정 결과는? file 2021.01.19 김가은 8146
2020년 의사 파업 그리고 현재 file 2021.03.03 이채령 8148
집주인의 거주권 VS 세입자의 계약갱신청구권 file 2021.03.30 조혜민 8160
코로나19 뉴노멀 file 2021.03.02 박현서 8161
코로나19! 어디가 가장 위험할까? 충격적인 결과! file 2020.04.29 민아영 8173
"우한은 코로나19 기원지 아니다" 다시 시작된 중국의 주장 1 file 2020.11.23 박수영 8175
정세균 총리, '코로나 대규모 확산의 길에 서 있는 일촉즉발의 상황' 1 file 2020.11.23 명수지 8176
'만취해 인천 모텔에서 女 폭행한 20대 남성...알고 보니 현직 경찰관' file 2021.07.01 김혜성 8178
광복절 집회에 대한 법원의 판결, 적절한가? file 2020.08.31 김근영 8185
'코로나19'로 소상공인 피해 입다 2020.03.26 이수미 8193
더 나은 대한민국을 만들 첫걸음, 4·15 총선 file 2020.04.08 박소명 8199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11일 만에 휴전으로 멈춰 file 2021.05.25 민호윤 8206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는 코로나 확진자 수에 정부의 대책, 특별 방역관리주간 file 2021.04.26 이효윤 8211
사은품 가방 얻고 난 후 버려진 커피 300잔 file 2020.05.28 김태희 8218
헝다그룹, 유동성 위기 극복 기대난 file 2021.09.29 윤초원 8218
최대 90% 효과? 코로나 백신 화이자 1 file 2020.11.26 김태완 8221
3월 9일부터 실시된 마스크 5부제의 현재 상황은? file 2020.03.27 박가은 8222
청와대, "5월 13일부터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준비" file 2020.05.04 박가은 8222
고조되는 美中 갈등, 어디까지인가? 2020.09.16 김나희 8234
코로나19에 의한 경제적 양극화 현상.. 그 이면에는 거대기업들과 무책임한 정부가 있다? file 2021.10.05 이성훈 8235
창원 남창원농협 발 코로나 확진자 급증, "공동체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 file 2021.08.20 우한인 8245
[기자수첩] 의대 쏠림 현상, 의대 정원 늘려 해결해야 file 2023.06.24 이래경 8248
독감백신 사망자 점차 증가 1 file 2020.10.29 박정은 8263
탄화규소 전력반도체 웨이퍼의 대량 도핑 기술 개발... 대량생산 원천기술 확보 file 2022.02.28 한건호 8275
초대형 선박 좌초로 마비된 수에즈 운하 file 2021.03.29 박수영 8283
신재생⋅친환경 에너지 활성화로 주목받는 '은' file 2021.02.10 이강찬 8290
코로나19로 힘든 시기에 한강, 과연 안전할까? file 2020.08.24 고종현 8303
불법이 난무하는 도로, 범인은 전동 킥보드? 1 2020.10.12 이삭 8303
코로나19 사태, 숨겨진 일등공신은? file 2020.05.27 임서현 8316
레바논의 수도, 베이루트에서 폭발이? file 2020.08.10 허예진 8318
독감백신 종이상자로 유통 file 2020.09.28 윤지영 8322
수에즈 운하 열렸지만 문제는 여전히 file 2021.04.02 김민주 8327
의도적인 트럼프의 발언? 1 file 2020.03.06 권수현 8328
임대료없어 폐업 위기, 소상공업자들의 위험 file 2021.02.01 최은영 8335
사회를 갉아먹는 '인간바이러스' file 2020.09.03 김예한 83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