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영화 ‘택시운전사’그리고 현재의 ‘택시운전사’

by 4기김민진기자 posted Aug 29, 2017 Views 11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170816_23233422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4기 김민진기자]


1980년 5월, 900만 울린 그날의 택시운전사


최근 영화 '택시운전사'가 900만 관객을 돌파하면서 올해 첫 천만 기록 달성을 앞두고 있다. 지난 2일 개봉한 '택시운전사'는 1980년 5월의 광주 민주화운동을 독일 기자 '힌츠페터'와 그를 도운 택시운전사 ‘김사복’ 씨의 시선에서 그려낸 영화이다. 실제로 이들은 광주에서 총알을 피해가며 취재를 위해 힘썼고 결국 5.18 민중항쟁을 세상에 알리는 데 기여했다. 이 영화는 힌츠페터가 아닌 김사복 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처음에는 단지 10만 원을 위해 떠났던 광주로의 여정이었지만 이는 결국 한국의 현대사를 기록한 위대한 역사가 되었다. 이 스토리는 많은 관객들의 감동을 이끌었고 결국 900만이라는 흥행을 기록할 수 있었다.


이렇게 영화 택시운전사로 5.18 민주항쟁뿐만 아니라 과거의 용감했던 기자와 택시기사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과거의 택시운전사에게 쏠리는 관심을 계기로 현재의 택시기사에게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80년 택시기사 김사복 씨가 밀린 월세로 고생했던 것처럼 현재 택시기사들도 적은 임금에 고생하고 있다.


2017년 8월,택시기사들 울린 근로기준법 제58조


현재 택시운전사들은 최저임금도 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계약서상의 근무시간을 낮추는 택시회사들의 꼼수에 법인 택시기사들에 대한 최저임금마저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택시회사들이 최저임금 상승분만큼 근무시간을 줄임으로써 기본급을 비슷하게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근로기준법 제58조에는 '사업장 밖에서 근로해 근로시간을 산정하기 어려운 경우 소정 근로시간을 근로한 것으로 본다.'고 쓰여 있다. 이 법의 허점 때문에 택시기사들이 10시간 일했는데도 임금은 6~7시간 치밖에 받지 못하는 사태가 일어나고 있다.



현재 영화 ‘택시운전사’의 흥행으로 과거 용감했던 한 택시기사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리는 이 계기로 지금도 밤낮으로 길거리를 달리고 있는 택시기사에게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택시 기사들이 최저임금에도 미치지 못하는 급여를 받는다는 것은 매우 주목받아 마땅하다. 모든 법은 사각지대가 생기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런 법의 문제점이 발견되면 즉시 이를 위한 해결방안을 찾아야 한다. 지금,  최저임금도 받지 못하는 택시기사들의 현실을 바로잡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이런 법의 사각지대를 하루빨리 없애는 것이다. 이를 위해국회는 제대로 된 개정안을 내놓아야 한다. 과거의 택시기사가 현재 우리의 세상을 바꾸고 감동을 줬듯이, 현재 우리의 작은 관심이 미래의 택시기사들의 삶을 바꿀 수 있다. 영화 '택시기사'의 흥행을 바탕으로 현재 택시기사들을 힘들게 하는 근로기준법도 하루빨리 개선되기를 바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4기 김민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521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192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5841
''우리는 요구합니다'', 스쿨미투 집회 1 file 2019.02.21 안예슬 10430
SNS 마케팅에 대하여 1 file 2019.02.21 김세진 12902
이번 설날 연휴, 고속도로 정체가 발생한 이유는? 1 file 2019.02.20 권민성 12507
낙태죄 폐지를 둘러싼 찬반 대립, 내면은? 4 file 2019.02.19 하지혜 17392
페이스북 메신저, 청소년들이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5 file 2019.02.19 노영우 21921
경제를 움직이는 빨대효과 file 2019.02.19 김해인 11945
지방 인프라 부족 현상, 이대로 보기만 할 수 없다 3 file 2019.02.18 김지현 20227
미세먼지의 주범, 질소산화물이 도대체 뭐길래 1 file 2019.02.18 임현애 17888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② 자이가르닉 효과 2 file 2019.02.18 하예원 15093
부르키나파소의 총리와 내각, 사임하다 1 file 2019.02.13 이솔 11085
지방의회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2.08 이남규 10896
실생활의 많은 부분 기여한 21세기의 기술, '나노기술' 1 2019.02.07 송지윤 19223
점점 불편해지는 교복, 이대로 괜찮을까? 5 file 2019.02.07 고유진 25625
인류의 달 탐사 경쟁, 중국의 선취점 1 file 2019.02.07 백광렬 12950
순환되지 못하는 경제, 젠트리피케이션 2 2019.02.01 권오현 11715
SNS상 신조어 사용, 영화 말모이를 통해 돌아보다 3 file 2019.02.01 김수민 23498
UAE 홈 팬들의 물병 투척, 당당하지 못한 행동 file 2019.01.31 박상은 10455
우주의 탄생, 작은 점이 폭발하다 1 file 2019.01.31 김가영 9740
카카오톡 대화 삭제 기능, 득일가 실일까 3 2019.01.31 이현림 15432
학폭위 이대로 당하고 있어야만 하나? 1 2019.01.29 김아랑 12669
최악의 폭염, 얼마 남지 않은 골든타임 1 file 2019.01.29 김사랑 9810
몰카 범죄...하루빨리 해결책 내놓아야 file 2019.01.28 김예원 10772
설 연휴를 건강하게 보내기 위한 홍역 예방법 file 2019.01.28 김태은 10755
고 김용균, 비정규직의 안타까운 죽음을 애도하다 file 2019.01.28 최경서 9620
‘박항서 효과’로 인한 대한민국의 경제 발전 1 file 2019.01.28 이유성 12789
잘못된 생각으로 실생활 속 결정에 많은 영향을 주는 생존 편향(Survivorship bias) file 2019.01.25 송지윤 19801
지구 온난화: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1.24 신지수 15838
증가하는 노인 복지 정책 예산.. 효과는? file 2019.01.23 허재영 11009
청소년 아르바이트, 보호 vs 인정 2 file 2019.01.22 박서현 16481
일본군 '위안부' 문제-현세대가 풀어나가야 할 숙제 2 file 2019.01.21 황민주 12374
'금모으기 운동'은 어떤 운동이었을까? 1 file 2019.01.21 강민성 15600
자유한국당 ‘5·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 위원 발표’,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 “안타까운 일···” file 2019.01.21 이진우 10071
광명고등학교 학생 10명 중 7명, "소년법 개정 필요하다" 2 file 2019.01.14 류주희 13585
언론으로 인한 성범죄 2차 피해, 언론은 성범죄를 어떻게 보도해야 하는가? 8 file 2019.01.11 하영은 16610
청소년들이 던져야 할 질문 하나, 과연 문명의 발전은 인류를 행복하게 해주었을까? 2 2019.01.11 임효주 12558
미·중 무역협상은 무역전쟁의 피날레를 결정짓는 결정타가 될 수 있을까 2 file 2019.01.11 한신원 11348
노화? 제대로 알고 방지하자! 1 2019.01.08 이지은 12243
문 대통령이 밝힌 기해년의 목표는 무엇인가 file 2019.01.08 권나영 9437
백악관에서 출입금지시킨 CNN기자 백악관 귀환 file 2019.01.07 강신재 10355
명성이 떨어져 가는 블랙 프라이데이, 그 뒤에 사이버 먼데이? file 2019.01.07 이우진 10793
음주운전과 윤창호법 1 file 2019.01.07 조아현 10421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① 리플리 증후군 file 2019.01.04 하예원 14219
플레디스 유튜브 계정 통합. 팬들의 의견은? file 2019.01.03 김민서 13769
강릉 가스 사고, 그 책임을 묻다 file 2019.01.03 박현빈 11727
버려져야 하는, 난민에 대한 고정관념 1 2019.01.02 권오현 15584
FOOD TECH라고 들어보셨나요? 1 file 2018.12.31 채유진 13009
사라져가는 교복의 의미 4 file 2018.12.27 정지혜 17985
'국가부도의 날'로 보는 언론의 중요성 3 2018.12.27 김민서 122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