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그 시절 빼앗긴 행복, 아직도 그들의 상처는 깊어간다.

by 5기박민수기자 posted Aug 28, 2017 Views 1018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8월 15일 수요일은 제72주년 광복절로 전국 곳곳에서 축하행사가 열려 많은 이들이 72년 전으로 돌아가 광복의 기쁨을 함께 누렸다. 하지만 72년 전에도, 오늘날에 이르러서도 광복절에 마냥 기뻐하며 미소만은 띨 수 없는, 때로는 한숨마저 나오는 상황에 놓인 이들이 있다. 그들은 바로 일제강점기 징용 또는 강제노역의 피해자들이다.


징용 노동자상.jpg

용산역에 위치한 강제 징용 노동자상.

[이미지 제공=네이버 블로그 천국나그네님,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징용 피해자들은 불합리한 노동의 대가를 아직도 제대로 지급받지 못한 상황이다. 이들은 광복을 맞이한 지 벌써 70년이 넘는 세월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일제에 빼앗긴 시간, 청춘, 그리고 인생을 제대로 보상받지 못한 채 다시 광복절을 맞아 기쁜 날에도 차마 기뻐할 수 없는 상황인 것이다. 징용 피해자의 일부로 사할린 한인 문제의 피해자들을 직접?만나 취재한 결과, 피해 보상이 지급되었냐는 질문에 한목소리로 일본 정부나 한국 정부로부터 피해보상은 아직도 지급되지 않았다고 답한다. 하지만 피해 보상을 청구하자 돌아온 정부의 답변이 그들을 더 허탈하게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김 모 할머니를 비롯한 대부분의 사할린 강제 노역에 동원되었던 피해자들은 사망 신고를 늦게 했다는 이유로 정부가 피해 보상 지급을 피하고 있으며 손 모 할머니의 경우에는 징용 피해자의 자녀임은 인정하나, 호적에 등록된 이름이 다르다는 이유로 정부가 사기 가능성을 제기하여 피해 보상 지급을 거부당했다고 설명했다.


강제 징용.jpg

일제의 강압에 의해 사할린 등지에서 노동에 시달린 징용 피해자들.

[이미지 제공=네이버 블로그 천국나그네님,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손해 배상을 거부하는 정부의 답변을 받을 때마다 피해자들의 시름은 점점 깊어지고 있다. 징용 피해자들을 위로하고 그들이 광복절을 기쁘게 맞이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은 바로 그들의 손해를 한시라도 빠르게 배상해주는 것이다. 최근에는 문 대통령이 외신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징용 피해자들의 민사 청구권을 인정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아직 피해자들의 상처를 치유하기에는 부족해 보이지만 앞으로의 문 대통령의 행보와 징용 피해자 보상 문제의 해결이 가능할 것이라는 추측에 대해 기대감이 생기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5기 박민수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511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185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5721
강제로 뺏어 간 자연을 다시 되돌려주는 일, 환경과 기후 변화 협약 file 2021.05.03 박연수 10334
6월 20일 세계 난민의 날 ? 난민들의 서글픈 현실 file 2017.06.23 노태인 10327
난민에 대한 국민들의 반감과 청와대의 답변 file 2018.08.09 이수지 10325
정치인의 길 file 2017.03.22 윤영민 10325
관심 대상의 창원시 성산구 보궐선거 file 2019.04.01 김현우 10316
지구상 마지막으로 여성 운전을 허용한 국가, 사우디아라비아 file 2018.07.26 김채용 10314
가자! 416노란버스를 타고 김제동과 함께 file 2017.04.18 김하늘 10314
태국에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는 반정부 시위. 왜 일어나고 있는가? file 2021.01.21 김광현 10312
JSA 공동경비구역, 평화의 시작점으로 변화하나 2018.10.26 허이령 10307
북 핵실험장, 남 취재진만 접수 받고 풍계리로 1 file 2018.05.24 노원준 10307
치열했던 선거 경쟁, 이후 후보들의 행적은? 2 file 2017.05.25 정유림 10305
대설주의보와 대설경보, 미리 알고 대비하자 1 file 2020.02.21 우선윤 10304
페루, 7.1의 강진 file 2018.01.22 임규빈 10297
난민 문제, 과연 언제부터 시작된 것일까? file 2020.08.24 이수연 10295
미국 대법관이자 미국 여성 인권 운동의 상징인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별세 file 2020.09.25 임재한 10290
격해지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유승민 전 의원의 표절 공방 file 2021.09.27 송운학 10283
뉴욕타임스 전직기자 앤드류 새먼이 전하는 "한국이 매력적인 이유" 2019.05.31 공지현 10280
국민의당 27일 전당대회 통해 새 지도부 선출 1 file 2017.09.04 황예슬 10277
#힘을_보태어_이_변화에 file 2021.03.18 김은지 10273
‘n번방 사건 영화화’ 논란되자 제작 취소 file 2020.05.26 유시온 10271
140416 단원고.. 그리고 잊혀진 사람들 2 2018.05.08 김지연 10271
사회적 사각지대 속 청소년 부모, 긴급복지지원 법 발의되다 file 2020.07.27 김예한 10264
문재인 정부 15일, 야 4당의 자세는? file 2017.05.23 박찬웅 10264
보행자의 안전을 지키는 LED 조명등 2 file 2018.05.04 박소윤 10262
자발이 확보하지 못하는 강제성, 어디서 찾을까? 1 file 2018.02.09 김현재 10261
‘최저임금 1만 원 인상’ 의 일장일단(一長一短), 그리고 알지 못했던 주휴수당 file 2018.08.17 송지윤 10260
이 게시물은 블라인드 처리된 게시물입니다. 2017.08.29 이유한 10258
꿈의 직장, 인천공항 ‘정규직 전환 논란’ file 2020.06.25 유시온 10254
드디어 임박한 토론, 후보들의 앞에 놓인 과제는? file 2022.02.03 김희수 10252
방송업계의 열악한 노동환경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8.08.13 지윤솔 10247
1281번째, 9241일째 나비들의 날개짓 2 file 2017.05.08 이다은 10246
매장 내 일회용 컵 규제, 현장 반응은? 2 file 2018.08.27 손지환 10244
우리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는 주범, 미세먼지를 알아보자 2 file 2018.05.23 배민정 10241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국민들에게 희로애락을 안겨주다. 2 file 2018.03.06 최다영 10241
살충제 달걀에 이은 물의 식료품 안전 문제 1 file 2017.10.12 장예진 10241
미국에서 1개월 동안 '어린이 감염자'가 4배 이상 증가 file 2021.09.23 안태연 10240
한국문학의 거장, 최인훈 떠나다 file 2018.07.25 황수환 10239
끝나지 않는 싸움... 쌍용양회를 향한 사투 file 2019.04.01 임승혁 10238
2년만에 진행된 남북 고위급 회담 file 2018.01.12 정성욱 10238
구별되고 분리되었던 공진초, 그리고 지금은? file 2017.09.25 김유진 10238
떠오르는 세월호 떠올라야 할 진실 file 2017.03.25 김지원 10236
북한은 왜 핵무기를 버리는가 2 file 2018.05.28 황수환 10235
개인투자자 급증,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20.04.06 이민기 10232
최저임금 인상과 자영업자... 그리고 사회적 공약 file 2021.07.15 변주민 10228
뜨거웠던 제 19대 대통령 선거 2 file 2017.05.11 김태환 10228
미세먼지, 이렇게 계속 안심하고 있어도 되는가? 2 file 2017.05.30 김보경 10223
미세 먼지, 정말 우리나라의 탓은 없을까? 1 file 2018.07.11 김서영 10222
한미 미사일 지침 47년 만에 폐지! 자주국방에 한 걸음 더 가까이! 1 file 2021.05.24 하상현 102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