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그 시절 빼앗긴 행복, 아직도 그들의 상처는 깊어간다.

by 5기박민수기자 posted Aug 28, 2017 Views 1028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8월 15일 수요일은 제72주년 광복절로 전국 곳곳에서 축하행사가 열려 많은 이들이 72년 전으로 돌아가 광복의 기쁨을 함께 누렸다. 하지만 72년 전에도, 오늘날에 이르러서도 광복절에 마냥 기뻐하며 미소만은 띨 수 없는, 때로는 한숨마저 나오는 상황에 놓인 이들이 있다. 그들은 바로 일제강점기 징용 또는 강제노역의 피해자들이다.


징용 노동자상.jpg

용산역에 위치한 강제 징용 노동자상.

[이미지 제공=네이버 블로그 천국나그네님,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징용 피해자들은 불합리한 노동의 대가를 아직도 제대로 지급받지 못한 상황이다. 이들은 광복을 맞이한 지 벌써 70년이 넘는 세월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일제에 빼앗긴 시간, 청춘, 그리고 인생을 제대로 보상받지 못한 채 다시 광복절을 맞아 기쁜 날에도 차마 기뻐할 수 없는 상황인 것이다. 징용 피해자의 일부로 사할린 한인 문제의 피해자들을 직접?만나 취재한 결과, 피해 보상이 지급되었냐는 질문에 한목소리로 일본 정부나 한국 정부로부터 피해보상은 아직도 지급되지 않았다고 답한다. 하지만 피해 보상을 청구하자 돌아온 정부의 답변이 그들을 더 허탈하게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김 모 할머니를 비롯한 대부분의 사할린 강제 노역에 동원되었던 피해자들은 사망 신고를 늦게 했다는 이유로 정부가 피해 보상 지급을 피하고 있으며 손 모 할머니의 경우에는 징용 피해자의 자녀임은 인정하나, 호적에 등록된 이름이 다르다는 이유로 정부가 사기 가능성을 제기하여 피해 보상 지급을 거부당했다고 설명했다.


강제 징용.jpg

일제의 강압에 의해 사할린 등지에서 노동에 시달린 징용 피해자들.

[이미지 제공=네이버 블로그 천국나그네님,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손해 배상을 거부하는 정부의 답변을 받을 때마다 피해자들의 시름은 점점 깊어지고 있다. 징용 피해자들을 위로하고 그들이 광복절을 기쁘게 맞이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은 바로 그들의 손해를 한시라도 빠르게 배상해주는 것이다. 최근에는 문 대통령이 외신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징용 피해자들의 민사 청구권을 인정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아직 피해자들의 상처를 치유하기에는 부족해 보이지만 앞으로의 문 대통령의 행보와 징용 피해자 보상 문제의 해결이 가능할 것이라는 추측에 대해 기대감이 생기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5기 박민수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114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851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2771
과연 본인 돈으로는 본인 표만을 사면 안 되는 것일까? file 2019.11.14 조서윤 10654
미국 캘리포니아주 '한글날' 제정 1 file 2019.11.15 이지현 12112
올해만 7차례 지나간 것은 무엇인가 1 file 2019.11.15 김선우 10436
하늘의 별이 된 설리, 우리가 해야할 숙제는? 2 file 2019.11.15 정다은 13274
불거지고 있는 인터넷 실명제 논쟁... 해결책은? 3 file 2019.11.18 박수빈 13401
일본군 '위안부' 피해, 오해와 진실 file 2019.11.25 정혜인 10196
한국 청소년들, 정치에 관심 없다 2 file 2019.11.25 이세현 15225
클라우드 기술, IT 업계가 주목하는 이유는? file 2019.11.27 이선우 14206
어린이가 안전한 나라...? file 2019.11.28 김두호 10275
SNS는 사람이다 file 2019.11.29 전혜은 14695
국공립 어린이집의 확대 file 2019.11.29 임소원 12538
대한민국 가요계의 그림자, 음원 사재기 file 2019.12.02 조은비 11504
지소미아 연기로 고비 넘겼지만...방위비 분담금 협상에 주목 2019.12.05 박채원 9562
경제효과 5조 원, ‘방탄이코노미’ 1 file 2019.12.11 백지민 11294
영국 총선, 보수당 승리... 존슨 총리의 향후 과제는? file 2019.12.20 김지민 11961
영국의 조기 총선 file 2019.12.23 홍래원 8816
세계의 양대산맥, 미국-중국의 무역전쟁 file 2019.12.23 전순영 10808
한중정상회담의 개최, 향후 전망은? file 2019.12.24 신주한 9047
Netflix가 시작한 OTT서비스, 과연 승자는 누구일까? file 2019.12.24 이지현 13192
부정선거와 선거 불복...혼돈의 볼리비아 2019.12.26 신주한 9105
주한 외국인 증가율 file 2019.12.27 김희서 8408
학생참여가 가능한 캐나다 선거 Student Vote Day file 2019.12.30 이소민 11998
계속 더워지는 지구... 최근 5년이 가장 더웠다 file 2019.12.31 유승연 9421
미중 무역전쟁, 승패없는 싸움의 끝은? file 2020.01.02 임수빈 8318
음원차트 순위 꼭 있어야 하나? 1 file 2020.01.02 전혜은 9368
흔들리던 새벽, 우리도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 file 2020.01.06 정다은 11457
악성 댓글, 이대로 괜찮을까? 2 file 2020.01.13 조연우 11873
전쟁의 변화 속 고찰 2 file 2020.01.16 최준우 9657
불거지는 미국과 이란의 국제 관계...경제적 영향 끼칠것 4 file 2020.01.16 김수진 9402
조국 전 장관의 서초동집회 근황 file 2020.01.17 윤태경 8715
'세월호 기억의 벽'을 지켜주세요 2 file 2020.01.17 하늘 10683
미 하원에서 통과된 트럼프 탄핵안, 상원에서는? 1 file 2020.01.20 전순영 9151
'통제된 화재'가 무엇인지 아시나요? file 2020.01.22 권민서 9250
"그는 집을 잘못 골랐어" 괴한을 물리친 82세 할머니의 이야기 file 2020.01.22 김수현 10462
노동자들의 파업, 비난 아닌 연대의 시선으로 1 file 2020.01.23 박효빈 11475
중국 전역을 덮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이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책은? 3 file 2020.02.03 고기찬 11594
미 전역서 4번째 '여성행진'..."여성들이여, 일어나 소리쳐라" file 2020.02.11 박채원 9095
교육부, 대학 개강 시기 "4주 이내 조정 권고" file 2020.02.12 박가은 9774
희망을 주는 무료 급식소와 취약계층의 피해... file 2020.02.12 정다현 9876
리디노미네이션, 그게 뭐야? file 2020.02.12 박하진 12007
반복되는 바이러스 2 file 2020.02.13 전혜은 9379
점점 사라져가는 생물들...생물 다양성을 보전하자! 1 2020.02.13 윤혜림 14896
'기생충' 축하로 시작해 '코로나바이러스'로 끝난 수석·보좌관 회의 1 file 2020.02.14 김도엽 9023
우리가 한번쯤 생각해봐야 할 문제, 고독사 2020.02.19 이수미 11022
여성과 청소년들에게 뻗는 담배회사들의 검은 손 1 file 2020.02.19 남진희 10083
모두 마스크를 쓰세요, 코로나바이러스 5 file 2020.02.20 이도현 9695
대설주의보와 대설경보, 미리 알고 대비하자 1 file 2020.02.21 우선윤 10397
개 구충제인 펜벤다졸, 정말로 암 치료에 효과가 있을까? 5 2020.02.24 배선우 107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