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역사를 품은 영화들. 군함도 그리고 택시운전사.

by 5기최담비기자 posted Aug 25, 2017 Views 173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7년 여름, 대한민국의 아픈 역사를 다룬 영화 두 편이 개봉됐다. 일제강점기 때 조선인들을 강제 징용한 내용의 군함도5·18 민주화운동이 배경인 택시 운전사’. 두 영화가 개봉되기 전, 캐스팅된 배우들과 우리나라의 아픈 역사가 배경이라서 많은 사람이 큰 기대감을 안고 있었다. 하지만 영화가 개봉된 후, 두 영화의 반응은 극과 극이었다. 군함도와 택시운전사의 감상평을 10대부터 30대까지 두 영화를 모두 본 50명의 대상자에게 설문조사를 했다.


군함도 포스터.jpg


택시운전사 포스터.jpg

[이미지 제공=트위터,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군함도 평.JPG택시운전사 평.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최담비기자]


우선 726일에 개봉된 군함도를 응답 결과를 보면 좋은 영화다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4, “그냥 그렇다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23, “별로였다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23명이었다. 50명의 설문 대상자가 같은 영화를 봤는데 왜 다른 답변들이 나온 것일까? 그렇게 생각한 이유를 물어보니 우리나라 사람들의 성격상 한 번에 단합되기가 쉽지 않은데, 영화 군함도에서는 힘든 상황에서도 죽을 각오를 하고 함께 탈출하려는 모습과 그에 대한 과정이 잘 나온 것 같다.”, “한국인이라면 알아야 하는 가슴 아픈 이야기이다.” 등 군함도에 대한 가슴 아픈 진실을 알아서 좋았다는 호평들이 있었다. 반면에 탈출 블록버스터 영화 같고 배우와 감독의 인터뷰를 보고 나서 본 걸 후회했다.”, “군함도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이 없는 시점에서 역사적 사실에 대한 피해 내용을 왜곡하여 전달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군함도라는 제목을 썼기에 그에 맞는 일제강점기 때 있었던 사건과 내용을 다룰 것으로 생각했으나 그저 대중들의 흥미를 이끌기 위한 수단으로 군함도를 사용했다고밖에 느껴지지 않았다.”, “가볍게 볼 수 있는 영화였다. 하지만 결코 군함도라는 소재는 가볍게 봐서는 안 될 영화였다.” 등 군함도의 역사 왜곡에 대한 혹평도 자자했다.


그렇다면 82일에 개봉한 택시운전사의 반응은 어떨까? “좋은 영화다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45, “그냥 그렇다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5, “별로였다라고 대답한 응답자는 0명이었다. 군함도와 다르게 택시운전사는 왜 응답자의 90%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을까? 이유를 물으니 그때 현실을 잘 보여주는 것 같다.”, “억지로 울음을 짜내지 않았는데도 보면서 자연스럽게 눈물이 났다 유쾌하면서도 큰 감동을 준 영화.”, “잊어서는 안 될 역사 중 하나이고 또 그걸 잘 담았다. '화려한 휴가'를 교육 목적으로 해서 사용되는 걸 봤는데 '택시 운전사'도 같이 쓰면 정말 좋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영화를 보고 나면 우리가 살아가면서 잊고 있었던 역사적 사실을 다시 생각해보게 되고 그저 옛날에 이런 일이 있었어, 이런 사건이 있었어, 가 아닌 외부인의 시선으로 객관적인 사실을 그대로 보여주면서 표면적으로는 한 목적을 향해 전개되는 것 같지만 진짜 이야기는 개인의 양심을 따라 이야기한다는 거. 그 시대의 상황을 개인은 어떻게 받아들였고 어떤 고민을 했는지. 그게 영화의 포인트 같다! 정말 슬프고 가슴 아픈 영화지만 한 번쯤은 꼭 봐야 할 영화.” 5·18 민주화 운동의 슬픔을 그대로 재현해 감동적이라는 긍정적인 반응이 나왔다. 택시운전사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이 있지만, “군함도를 보고 택시운전사를 봐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훨씬 더 그 상황에 집중해서 이야기를 구성한 것 같다.”, “군함도와는 달리 실제 있었던 사실을 완벽하게 잘 재현해 낸 것 같다.”처럼 택시운전사와 군함도를 비교해 대답한 응답자도 있었다.


두 영화의 반응이 극과 극인 이유는 '역사적 사실을 정확히 담았는가'에서 많이 갈리는 것 같다. 군함도의 혹평 이유를 보니 대부분 '역사 왜곡'이었다. 역사를 배경으로 한 영화는 역사가 왜곡되지 않게 역사적 사실을 그대로 재현해야 할 것 같다.


20178월 21일 기준으로 군함도의 누적 관객 수는 6,556,064명으로 예매율 9, 택시운전사의 누적 관객 수는 10,503,015명으로 예매율 1위를 차지하며 흥행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5기 최담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5024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4738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69609
충청남도의 문화를 책임질 '충남도서관' 2018.08.23 오가람 14627
[2019 아시안컵] 대한민국, 카타르에 충격패... 무엇이 문제였을까 2 file 2019.02.11 강민재 14630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이끈 E스포츠, League Of Legends MSI 그룹 스테이지 성황리에 종료 2 file 2017.05.19 정인영 14633
기자단 초청받은 스마트 디바이스 쇼 2017에 다녀오다! file 2017.09.01 한유진 14633
3차흡연, 과연 안전할까? 2017.08.31 최세린 14634
한국은 지금 '젠트리피케이션' 몸살 중 file 2018.11.21 박태준 14634
청소년 항공교실로 초대합니다! 2 file 2017.05.28 임상희 14638
눈과 입이 즐거운 '밤도깨비 야시장' file 2018.05.16 마하경 14638
8월 14일, 위안부 할머니들을 기억하다 4 file 2017.08.24 고다현 14640
미래를 이끌 사람은 바로 우리! 공주시 청소년 참여위원회 위촉식에 가다! file 2017.04.17 정가영 14641
더 새로워질 교육의 도시, 경기도를 만나다 file 2018.07.05 이지은 14645
뜨거웠던 3?15의거, 민주주의 역사 속으로 file 2017.02.24 안연수 14646
국립광주과학관, 2030 미래도시 강연 개최 file 2017.08.28 오경찬 14648
신고리 5·6호기 설치에 관한 엇갈린 입장, 미래세대의 소리를 들어보다. file 2017.10.11 김해온 14650
안 그래도 똑똑한 AI, 더 똑똑해졌다고? file 2019.12.19 권민서 14656
그날의 감정도 메모처럼-감정 기록 애플리케이션 MOODA 알아보기 1 file 2022.02.25 조수민 14656
진정한 나눔의 현장 ; 대한민국 나눔 대축제 2 file 2017.11.06 정연 14657
어둠을 탓하지 말고 촛불을 켜라-함께 사는 지구를 위한 영화, 서울 환경 영화제 개최 file 2016.05.08 이시영 14658
린드블럼 14승, 반슬라이크 KBO리그 데뷔 '첫 홈런' file 2018.08.16 옥나은 14663
아듀 경기도차세대위원 16기 그리고 새로운 발걸음을 내딛은 경기도차세대위원 17기 file 2016.05.24 송윤아 14664
빅 벤, 마지막 종을 울리다 2017.09.05 김정환 14665
마스크에 대한 서로 다른 생각 2 file 2020.04.03 백진이 14667
청소년들의 정책, 이제는 서울시가 들어주세요 1 file 2016.12.25 김태윤 14668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경기여고와 재난대응 안전훈련…'효과적 대처'에 초점 file 2018.05.18 디지털이슈팀 14671
부산 세계인과 함께하는 어울마당 개최 file 2016.05.24 노태인 14672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하는 1. 2. 3 어울림 파크 골프 대회 성황리에 끝마쳐 2017.07.26 정인영 14672
대학생들이 들려주는 진짜 대학생이야기 1 file 2017.11.15 이지현 14674
KBO리그 S존과 퇴장... 선수와 심판 사이에 불신의 늪 깊어지나 3 2018.05.03 문준형 14675
2017 제21회 한국 결정 성장 콘테스트에 대하여 file 2017.04.24 유승민 14677
‘네고왕’이 쏘아 올린 '스킨푸드' file 2020.11.19 정유정 14677
개도 안 걸린다는 여름 감기, 건강관리는? 1 file 2017.08.27 이서윤 14678
사회의 변화, 무조건 좋은 것인가? file 2017.07.21 김다희 14679
바람처럼 지나가버린 가슴아픈 그날, 경술국치일 2 file 2017.09.06 김나림 14680
지역사회의 5개의 학교가 모여 따뜻한 나눔활동 3 file 2017.06.01 최희주 14682
스마트 세상에 살아갈 우리를 위한 '제5회 테크+ 제주' 1 2017.09.08 신온유 14682
청소년의 참여권을 보장하기 위한 광주광역시 청소년의회 설명회 2016.08.21 신경민 14683
세계를 떨게 한 워너 크라이 랜섬웨어 1 file 2017.05.28 김다은 14683
5월 5일은 어린이날, 5월 3일은 어른이의 날! file 2018.05.08 김현재 14683
대구 도심 속, 무더위를 날려버리는 이월드만의 이벤트 file 2018.09.05 노나영 14683
한계를 이겨내고 싶다; 축구선수 권윤수 file 2020.02.04 이지훈 14683
2월 20일, 무명의 기념일에서 유명의 기념일로 4 file 2017.02.20 조수민 14687
캄보디아의 아픈 기억, 킬링필드(Killing Fields) file 2020.02.14 윤하은 14688
눈의 의지로 별을 기리다. file 2017.03.25 임소진 14689
무료로 오징어를 먹을 수 있다고 !? file 2017.10.18 조은가은 14689
산업혁명이 또 일어난다고? 2 file 2018.03.01 손정해 14691
네팔 아이들과 함께했던 꿈 같았던 9일 1 file 2017.06.25 이가은 14693
나라 꽃 무궁화 수원축제-한여름 밤을 수놓은 꽃빛 향연 1 file 2017.08.06 한지선 14693
한국스카우트연맹·토당청소년수련관, 청소년 나눔김장 사업 진행 file 2017.11.26 디지털이슈팀 1469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