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충격적인 살충제 계란, 이에 대해 방념한 정부의 대처

by 5기이어진기자 posted Aug 25, 2017 Views 1126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유럽연방의 네덜란드, 독일을 포함한 13여 개국의 살충제 계란이 보도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지금 국내의 살충제 계란은 국민들에게 엄청난 충격과 공포를 가져다주었다. 국내의 살충제 계란은 닭의 진드기나 이와 같은 해충을 위해 사용한 피프로닐, 비펜트린와 같은 발암물질이 검출된 달걀을 일컫는다. 살충제 계란에 검출된 피프로닐은 개, 고양이 등의 진드기 살충제로 쓰이며 사람 몸에 축적되면 간이나 신장에 손상을 일으키는 물질이다. 피프로닐과 함께 검출된 비펜트린은 닭 진드기 살충제로 미국 환경 보호청에서는 발암물질로 분류된 독성 물질이다. 


국민들에게 살충제계란의 보도가 처음 이루어졌을 때 정부의 대처는 차분하지 못했다. 식약처에서는 아무 관련 없는 농장의 살충제 계란에 문제를 제기하고 하루에 두 번씩 발표를 정정하기도 하였다. 또 농식품부와 식약처에서 다른 발표를 하면서 국민들에게 더 큰 혼란을 안겨주었다. 15일에 처음으로 보도되었던 살충제 계란은 일주일이 지난 지금 사태가 진화되기는 커녕 논란이 배가되고 있다. 식약처는 살충제 계란을 먹어도 건강에 문제 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지만 의사단체와 학계에서는 살충제 계란은 명백한 문제가 있다고 서로의 의견이 충돌하는 지금 국민들은 그 누구도 믿지 못한 채 당황하고 있다. 


그렇다면 유럽에서 살충제 계란의 논란이 붉어졌을 때 그들은 어떤 대처를 했는가. 영국, 독일, 프랑스는 홈페이지에 빠르게 업데이트된 정보를 제공하였고 강력한 처벌을 취하겠다는 입장을 가졌다. 유럽연방(EU)는 사람에게 유해하며 금지되어 있는 살충제를 닭 농장에 방역 작업에 이용한 것은 범죄 행위와 다름없다는 인식을 남기며 유럽 자국의 사람들에게 신뢰를 얻게 되었다.


국내의 정부가 현재 여러 차례의 수정 끝에 발표한 살충제 계란은 총 52개의 농장에서 생산된 것으로 알려진다. 살충제 계란 논란은 국민들 모두 놀라고 혼란스럽게 한 보도였다. 이 가운데 제대로 된 대처가 빠르고 신속하지 못했기 때문에 국민들의 정부에 대한 신뢰가 땅에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살충제 달걀.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이어진기자]


소비자들의 혼란이 여러 이유로 가중되는 가운데 많은 판매처들에서는 판매하기 전 자체적으로 검열하여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큰 마트들은 안내문을 붙여 식약처에서 공개한 살충제 달걀은 없음을 밝혔다. 그렇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따로 하나하나 확인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안전한 달걀을 구매할 수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5기 이어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TAG •
  • ?
    4기윤익현기자 2017.08.25 20:50
    저도 계란이 들어간 음식을 많이 즐기던 편이였는데 이런 살충제 계란과 같은 일이 일어나니 정말 화가 나네요 이건 정부뿐만이 아니라 농민과 업자들의 문제가 심각한 일이니 그에 대한 강한 처벌이 이루어졌음하는 바람입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644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436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8442
더불어민주당, 또다시 법안 단독 표결 나서나… 17일 문체위 전체회의 개최 예고 file 2021.08.17 김은수 8705
더불어민주당, 野의 만류에도 언론중재법 단독 통과 실현되나 file 2021.08.27 고대현 8031
더불어민주당 예비당원협의체 ‘더 새파란’, 회원정보 유출돼...논란 file 2020.12.03 김찬영 14503
더불어민주당 2022년 대선 후보, 이재명 후보로 지명 file 2021.10.12 이승열 10809
더불어 민주당 1차 선거인단 모집 시작, 경선의 시작을 알리다. 3 file 2017.02.16 이정헌 15975
더민주, 한국당, 국민, 바른 여의도 4당의 운명은? 1 file 2017.12.26 전보건 17348
더 이스트라이트 폭행사건, 결국 계약해지까지... file 2018.10.29 박현빈 10943
더 이상 남일이 아닌 지진피해, 우리의 안전은? 2 file 2016.09.25 김혜빈 15747
더 빈곤해지는 노인 3 file 2016.11.09 임지민 16831
더 나은 대한민국을 만들 첫걸음, 4·15 총선 file 2020.04.08 박소명 8204
대형마트의 강제 휴무 제도 5년...현재는? 2017.09.27 허재호 11315
대형마트 의무휴업, 누구를 위한 휴업일인가? 4 file 2016.05.22 이소연 17140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오마이뉴스 사실왜곡, 명예훼손 도넘어..법적 대응할 것” (공식 입장) file 2018.08.14 디지털이슈팀 16825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악성루머 유포자 법적조치, 사이버수사대 의뢰…선처없다" (공식입장) file 2017.06.06 온라인뉴스팀 13110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기자단 단톡방에서 성차별적 표현 쓴 회원에 대해 경고조치 검토중” file 2017.08.16 디지털이슈팀 12676
대한민국의 흐린 하늘을 만드는 주범, 미세먼지 2 file 2018.05.24 노채은 10866
대한민국의 하늘은 무슨색으로 물드나, file 2017.03.24 장채린 11367
대한민국의 탄핵 사태,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 file 2017.03.23 박수민 9884
대한민국의 최저임금 인상, 그리고 이건 옳은 선택일까? 1 file 2018.08.13 이동욱 11062
대한민국의 조기대선, 후보는? 8 2017.01.31 유태훈 17082
대한민국의 새로운 시작을 누구와 함께 할 것인가? 1 file 2017.03.26 구성모 9655
대한민국의 미래를 책임질, 새로운 대통령의 탄생. file 2017.05.12 김수연 11339
대한민국의 미래, 청소년들은 실질적인 정치교육을 받고있는가? 5 file 2015.03.25 이원지 30911
대한민국의 다음 5년은 누가 이끌어갈 것인가? file 2022.03.08 강준서 6031
대한민국을 뒤흔든 '차이나게이트' file 2020.03.03 정승연 10950
대한민국에 다시 돌아온 바둑 열풍 7 file 2016.03.20 유지혜 17949
대한민국도 흔들린다 - 공포에 휩싸인 한반도, 더이상 안전지대가 아니다. 2 file 2018.01.08 고은경 11456
대한민국, 일본 계속 되는 무역전쟁 우리가 받는 피해만 있을까? file 2019.08.20 정예람 15655
대한민국, 생명보다 성적? file 2017.12.04 전세연 11626
대한민국 제 20대 총선이 불어온 변화의 폭풍 3 file 2016.04.17 진형준 16739
대한민국 정부 핀란드에 방역 노하우 전하다 file 2020.04.27 신동민 8953
대한민국 인구의 충격, 놓쳐버린 골든타임 3 file 2015.08.24 김동욱 41400
대한민국 시민, 진정한 민주주의를 행하다 1 file 2016.11.25 전지우 16552
대한민국 국민과 언론이 타협하여 찾은 진실, 미래에도 함께하길... file 2017.03.25 김재원 9796
대한민국 국민... 광화문에서 대통합하다? 3 file 2016.11.25 김예지 18274
대한민국 교육정책, 장미대선으로 뒤바뀌다. 1 file 2017.06.24 윤은서 9712
대한민국 교육의 주체는 누구인가? 1 file 2018.07.13 강민지 12761
대한민국 공직사회...잇따른 과로사 file 2017.03.17 최시현 12499
대한민국 가요계의 그림자, 음원 사재기 file 2019.12.02 조은비 11617
대학원 조교들의 현실 2 file 2017.03.22 최동준 13889
대학교 군기문화 해결방안은 없는 것인가? 6 file 2017.03.23 박민서 15783
대통령의 경제공약, 어디까지 왔는가 file 2019.05.22 김의성 12907
대통령 후보, 그들이 얻는 것은 무엇인가 7 file 2017.04.03 김민주 12010
대통령 후보 국민의당 안철수, 안양 범계에서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선거운동 벌여 file 2017.05.01 정유리 12212
대체 그 '9시'의 의미는 무엇인가 2 2014.10.30 이민지 23240
대책위 보성-서울 도보순례, 광주지역에서도 백남기 농민 쾌유 빌어 13 file 2016.02.17 박하연 19906
대중을 사로잡는 한마디,슬로건 4 file 2017.03.30 강민 14953
대중교통도 마스크 의무화 1 file 2020.06.05 최윤서 107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