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구리시 사랑의 도시락, 소외된 이웃들에게 사랑을 전해요.

by 4기오경서기자 posted Aug 20, 2017 Views 1447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구리시 종합사회복지관에서는 결식아동 및 독거 어르신들을 위한사랑의 도시락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구리시 종합사회복지관은 저소득층의 자립능력 배양을 유도하고 지역사회주민의 복지증진을 목적으로 2008년 설립되었다복지관에서는사랑의 도시락 사업'과 더불어저소득 가정 일상생활지원 서비스', '청소년 진로탐색 멘토링', '어르신 취미여가 활동사업등 종합적인 사회복지사업들을 시행중이다.


20170807_160646.jpg

[이미지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오경서 기자]


'사랑의 도시락'은 구리지역 내 요보호대상 아동 및 어르신을 위해 도시락을 주5(-지원밑반찬을 주1(지원하는 사업이다. 2002구리시 지원으로 시작된 도시락 지원 사업은 현재 300여명의 조리봉사자, 200여명의 배분봉사자들과 함께 하고 있다.

복지관에서는 사랑의 도시락을 전달하는 행위를 '배달'이 아닌 '배분'이라 칭할 것을 배분봉사자들에게 권유한다도시락봉사는 보수를 지급받지 않는 무대가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배분'이라는 명칭이 적절한 것이다.

배분봉사자들은 단순히 도시락만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결식아동 및 독거 어르신들의 상황을 파악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방학기간동안 독거어르신들을 대상으로 하는 배분봉사자로 참여했던 구리고 함동현 학생은도시락을 건네받으시면서 고마워하시는 어르신들의 모습을 바라보며 보람을 느꼈고 앞으로도 배분봉사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싶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20170807_145755.jpg

[이미지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오경서 기자]


현재 구리시에는 238여명의 결식아동과 독거어르신들이 사랑의 도시락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지금까지 '사랑의 도시락 사업'이 원활히 운영되고 있는 것도 구리시 공무원들과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력덕분이다앞으로도 소외된 이웃들을 돕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4기 오경서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염가은기자 2017.08.20 23:38
    저희도 사랑의 도시락을 시행하고 있어요! 어디서나 이런 좋은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 같네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오경서기자 2017.09.01 22:04
    네. 댓글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
    5기안지민기자 2017.08.20 23:49
    요즘 사회에서 보기 힘든 따뜻한 장면인것 같습니다. 좋은 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
    4기오경서기자 2017.09.01 22:05
    좋은 댓글 감사해요~
  • ?
    4기양원진기자 2017.08.21 00:29
    우리가 관심을 갖고 있지 않았을 뿐 우리 주위에도 소외된 이웃들이 많은데 이렇게 사랑의 도시락을 시행하니 소외된 이웃들에게 관심도 갖게되고 정말 따뜻한 일인 것 같아요. 저도 사랑의 도시락에 참여해봐야겠네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오경서기자 2017.09.01 22:08
    저도 도움이 필요한 이웃들이 내주위에 이렇게 많았다는것을 보고 놀랐습니다. 앞으로도 시민들의 따뜻한 관심이 계속됬으면 좋겠네요.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343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6160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6622
일본을 덮친 맹독성 불개미 1 file 2017.07.15 박형근 19336
일본의 대국민 사과가 알려지지 않은 이유 4 file 2017.09.07 류희경 21050
일본의 반성 없는 역사 왜곡의 순환으로 몸살 앓고 있는 '평화의 소녀상' 4 file 2020.10.23 김태환 19187
일본의 숨겨진 작은 제주도 1 file 2017.09.21 김하은 17533
일본의 음식 여행 4 file 2019.07.08 이지수 22592
일본의 한 시골 마을 5 file 2017.03.22 최유정 14970
일본인 원장에 맺힌 한, 소록도 병원 file 2020.05.18 홍세은 16084
일본인이 기억하는 시인 윤동주 2 file 2020.12.09 유승호 15847
일부 한국인 관광객들의 잘못된 윤리의식,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7.06.23 김다정 16747
일산에서 제 6회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가 열리다 file 2014.10.24 양세정 20854
일상 속에 녹아있는 '약자 혐오', 우리들의 '인식'을 위하여 2 file 2017.04.16 이서현 15984
일상 속의 생생한 과학을 찾아봐! file 2017.10.27 공지윤 15249
일상 속의 숨쉬는 역사, 김해 율하유적공원을 찾아가다. file 2017.12.18 최희수 18357
일상생활에 활용되는 과학 원리, 내부 저항값 측정으로 확인하는 배터리의 상태 2020.11.02 신찬우 21466
일상을 스마트하게 만드는 '스마트 디바이스 쇼 2017' file 2017.08.29 신수빈 16355
일상의 과학을 만나러, ‘두뇌 스타트! 과학 놀이터’ 1 file 2018.02.12 우소영 17257
일자리 구하기 힘든 청년들, 사회적 문제 예방 위해 프랜차이즈산업박람회 개최하다 file 2017.11.06 조윤서 14525
일자리와 복지를 한번에! 고용복지플러스 센터 5 file 2017.02.14 서혜준 15144
일제강점기 시절 파괴된 광화문 앞 경복궁 월대 복원돼 file 2023.11.27 이유찬 5520
일제강점기의 역사를 찾아서,서대문형무소 1 file 2016.08.25 이다혜 19791
일제의 탄압을 이겨낸 민족의 목소리 file 2016.06.12 전지우 15947
일주일의 하이라이트, 주말보호! 1 file 2017.08.25 유소연 13785
일코노미의 경제적 파급력 file 2018.01.19 배정은 15744
일하는 청년통장, 한 달에 10만 원을 모아 3년 안에 1000만 원으로! 1 file 2017.11.28 오경서 19535
읽고, 보고, 들으면 내 방이 여행지로 바뀌는 여행 콘텐츠들 3 file 2022.03.08 오은진 9731
잃어버린 파란 하늘 1 file 2017.03.31 한정원 15424
임금명세서 교부 의무화, 아르바이트도 무조건 줘야... 위반 시 과태료 file 2021.11.22 조민채 10652
임기자의 매3문: NCT DREAM 의 마지막 첫사랑 뮤직비디오 논란 4 file 2017.02.26 임정연 16342
임산부 배려석을 지키는 곰돌이를 보셨나요? 1 file 2017.05.25 강지현 14487
임산부 뺏지를 아시나요 2 file 2016.04.28 이서연 16856
임진왜란 3대첩지 ‘행주산성’ file 2017.05.17 허선주 16742
입소문 탄 '경이로운 소문' 4회만에 OCN 역대 최고 시청률 2위 1 file 2020.12.11 홍재원 15727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를 소개합니다. file 2016.10.25 이진호 19700
잊고 있었던, 하지만 계속 되는 것 _ 4.16세월호 참사 3 file 2016.08.17 김미래 13633
잊어서는 안 될 기억, 서대문형무소 file 2019.11.18 서지수 17599
잊지 말아야 할 그날, 3월 26일 3 file 2017.05.04 민정연 14389
잊지 말아야 할 삼일절, 더는 보기 힘든 태극기 file 2017.02.24 박예림 13083
잊지 말아야 할 우리의 가슴아픈 역사 , 위안부 4 file 2017.10.02 강승연 16591
잊지 못할 또 하나의 아픈 우리 역사, 제주 4.3 사건 1 file 2018.02.27 강진현 15932
잊지못할 추억을 선사한 하프마라톤대회 file 2015.05.25 구민지 28947
잊혀져 가는 과거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넣다 file 2019.01.31 양윤서 15527
자가격리, 어떻게 하는 걸까? file 2021.11.26 정서진 11624
자격증 정보 플랫폼 자격증넷, 대한민국 교육박람회 자격증 특별관 운영 file 2022.12.26 이지원 8772
자국보다 전범국에 더 헌신적인 나라 file 2016.07.23 이유수 15445
자극적인 콘텐츠 속 블루오션, '무자극 컨텐츠 연구소' file 2017.08.01 김재윤 44711
자기가 파일 암호화를 해놓고 돈 주면 해독키를 준다고? 기가 막힌 '랜섬웨어' 2 file 2017.05.18 김재윤 33750
자도 자도 피곤한 당신, 수면 주기를 확인하라? file 2019.10.25 이선우 18176
자동차 에어백으로 옷을 만들다 file 2021.09.28 류태영 100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