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유엔 자유 대한민국을 위해 나서다

by 5기전보건기자 posted Aug 14, 2017 Views 1468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유엔의 6·25전쟁 참전 과정

유엔기.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전보건기자]

제1, 2차 세계대전 이후 유엔은 지구상에 다시는 전쟁이 일어나지 않으며 국제 평화를 유지할 목적으로 연합국을 중심으로 1945년 10월 24일 창설되었다. 국제 평화 유지와 회복을 담당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이하 안보리)는 북한의 기습남침으로 6 · 25 전쟁이 일어나자 미국의 요청으로 회의를 열고 대한민국을 지원하기 위한 결의안을 채택하였다. 이후 유엔 회원국은 자국의 군대를 한국에 파병함으로써 유엔 창설 이후 최초로 유엔 현장에 따른 집단안전보장 조치를 취하게 되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1차 결의

1950년 6월 25일 북한이 대한민국에 대해 불법적으로 무력공격을 감행하자 주한 미국대사 무초는 이 사실을 미 국무부에 보고하였다. 미국을 이를 유엔에서 해결하기로 결정하였다. 미국의 요청에 의해 유엔 안보리는 한국시간 6월 26일에 개최되었고 소련을 제외한 10개국이 회의에 참석하였다. 미국 대표가 제출한 결의안은 찬성 9표, 반대 0표, 기권 1표로 가결되었다. 유엔 안보리는 결의를 통해 북한 정권에게 즉각적인 전투행위 중지, 북한군의 38도 선 이북 철수를 권고하였다.

제 1차 결의문.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전보건기자]


트루먼 대통령의 참전배경

트루먼 대통령은 에치슨 국무장관으로부터 한국에서의 전쟁 상황을 보고받았다. 그는 북한의 남침을 방치하면 제3차 세계대전의 도화선이 될 뿐만 아니라 유엔의 평화정신과 존립이 위태롭게 될 것으로 판단하였다. 더불어 트루먼 대통령은 자유세계의 힘으로 공산세력을 단호하게 응징하며 나아가 유엔의 권위를 수호하겠다는 신념에 따라 한국 참전을 결정하였다.

-트루먼 대통령의 최초 조치

트루먼 대통령은 한국 사태가 심상치 않게 돌아가자 국방, 외교 관련 참모들을 소집하여 대책 회의를 주재하였다. 그는 한국에 조사단 파견과 한국이 요구한 미 해군과 공군을 지원하고, 대만 해협에 미 제7함대를 파견하라고 지시하였다. 특히 "미국은 유엔의 권위 아래 행동할 것이며, 미국의 철수를 보호하기 위한 군사행동은 제한할 것"을 강조하였다.

유엔 한국 위원단 보고.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전보건기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2차 결의

북한이 유엔 안보리 제1차 결의안을 무시한 채 전쟁을 계속하자, 한국시간 6월 27일(1950년) 유엔 안보리는 다시 회의를 개최하였다. 회의에는 소련 대표를 제외한 10개국이 참여하였다. 미국이 제출한 결의안은 8시간의 마라톤 회의 끝에 찬성 7표, 반대 1표, 기권 2표로 가결되었다. 유엔 안보리는 결의를 통해 유엔 회원국에게 "대한민국이 무력 침략을 격퇴하고, 그 지역에서 국제 평화와 안전을 회복하는데 필요한 원조를 제공하여줄 것"을 권고하였다.

2 차 결의문.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전보건기자]


유엔군사령부 설치 결의

유엔 안보리는 1950년 7월 7일 유엔 회원국의 군대를 통합 지휘하게 될 유엔군 사령부 설치에 대한 영국과 프랑스의 공동 결의안을 가결하였다. 결의안은 "유엔군 사령부의 설치 및 사령관의 임명권을 미국에 부여하고, 유엔기 사용을 승인한다."는 것이다. 이는 유엔이 국제 평화를 파괴하거나 침해하는 국가나 단체에 대해 최초로 무력을 행사할 수 있는 군사지휘기구를 설치했다는 점에서 중요했다.

미국은 7월 10일 맥아더 원수를 유엔군 사령관에 임명하였고, 맥아더 원수는 7월 24일 도쿄에서 유엔군 사령부를 창설하였다. 모든 유엔 회원국 군대는 통합하여 군사작전을 수행하였고 국군도 작전지휘권을 유엔군 사령관에게 이양함으로써 유엔군의 일원으로 싸우게 되었다.

유엔 군 결성.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전보건기자]

파병된 유엔 군의 모습

유엔 군 모습.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전보건기자]


참전국가와 지원국가


미국.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전보건기자]

6 · 25 전쟁에는 연합군이라는 이름과 함께 16개의 국가가 참전하였다. 가장 많은 병력을 지원한 미국은 1,789,000명이라는 거대한 규모의 육···군, 해병대를 지원하였고 33,642명의 전사자, 92,134명의 부상자를 기록하였다. 영국은 영연방 군을 편성하여 지원하였고 "형제의 나라 " 터키는 대규모 여단급 부대를 지원하였으며 필리핀은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먼저 참전하였다.

그 외에 남미의 유일한 참전국 콜롬비아, 캐나다, 호주, 태국, 네덜란드, 그리스, 에티오피아, 뉴질랜드, 프랑스, 벨기에, 남아공, 룩셈부르크가 전투부대를 파병하였고 또한, 인도,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이탈리아가 의료지원부대를 파병하였으며 일본, 이스라엘, 리히텐슈타인 등 39개국(파병국 제외)이 물자 및 재정을 지원하였다.


추모 동판.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전보건기자]

그들의 숭고한 희생

그들은 알지도 못하고 듣지도 못한 나라가 전쟁을 한다는 소식을 들었다. 동양에 있는 먼 나라에 자식과 친구, 애인을 오랫동안 어쩌면 영원히 보내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군인들 또한 먼 타국에서의 전쟁에 대한 두려움을 가질 것이다. 그러나 전쟁이 일어난 지 이틀 만에 미국 참전, 나흘 만에 영국 참전, 그리고 일 년도 채 되지 않아 콜롬비아 까지 총 1,938,285명의 군인들이 참전하였다. 그들은 듣도 보도 못한 나라에 목숨을 걸고 왔다, 자유를 위해, 평화를 위해, 가장 공정하고 아름다운 민주주의를 위해. 그들은 누구보다 용기 있고 용맹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전쟁 후에도 세계에서 가장 못 사는 나라를 위해 우리가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그리하여 우리는 세계에서 손꼽히는 뛰어난 나라이자 원조를 제공하는 나라로 성장하여 우리가 받은 도움을 되돌려 주고 있다. 바람직한 모습이다. 그러나 우리는 자유 대한민국을 위해 싸운 그들을 종종 잊는다. 원조를 제공하는 모습도 매우 아름답지만 이러한 일을 하게 싸워주고 봉사해준 그들을 잊지 않고 감사한 마음으로 살아야 한다. 이 자리를 빌려 대한민국을 위해 희생하신 참전국, 지원국에 감사를 표합니다.

마지막.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전보건기자]


The names of UN forces soldiers killed in the Korean War inscribed on the wall liveth?

forevermore.

이곳에 새겨진 유엔군 전사자들의 이름은 영원히 살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5기 전보건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5기정용환기자 2017.08.20 01:14
    칼럼같은 기사네요.
    알던 사실에 대해 더욱 자세히 알게 되었어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241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977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4098
美, 웜비어 씨 사망 한 달 만 "북한 여행 전면 금지" 결정해 1 file 2017.07.24 이윤희 9994
전세계가 랜섬웨어에게 공격당하고 있다. 2017.07.24 최민영 9659
나비가 되신 위안부 피해자, 김군자 할머니 8 file 2017.07.23 송다원 11281
교권이요? “선생님 수업하실 때 선생님 성함 제일 크게 외치는 사람이 이기는 게임도 하고요…” 5 file 2017.07.23 신아진 17424
파격적인 최저임금 두 자릿수 인상, 과연 좋은 일일까? 1 file 2017.07.22 이승희 10616
문재인 정부, 고소득층, 대기업에 대한 소득세, 법인세 인상발표 1 file 2017.07.21 홍도현 14343
2018년, 최저임금 인상 5 file 2017.07.21 최현정 12516
네티즌 충격, 인천 초등생 살인사건의 전말 1 file 2017.07.21 이다빈 24584
기아자동차 스팅어, 시승차 화재에 이어서 고객 출고차량 엔진 과열로 차량교체.. file 2017.07.19 김홍렬 13267
자사고 폐지 찬반 여론? "학생 없이 교육 없다." file 2017.07.19 한훤 11540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누가 차별당하는 것인가 4 file 2017.07.19 윤익현 17212
미투 브랜드, 경제시장의 약일까, 독일까? 1 file 2017.07.18 오수정 14939
우리가 류샤오보를 기억해야 하는 이유 3 file 2017.07.18 박우빈 11590
여름철을 맞아 횡단보도 그늘 쉼터를 마련한 정자동 주민센터 1 file 2017.07.18 박소윤 10962
'대한청소년이공계학술연합' 이번엔 국내 유명 청소년 행사인 ‘한국청소년학술대회’ 표절·베끼기 의혹 (종합 2보) file 2017.07.17 온라인뉴스팀 21255
한국, 디지털화 수준 60개국 중 7위…"성장성은 49위에 그쳐" file 2017.07.17 온라인뉴스팀 11082
국경없는의사회, 한국사무소 설립 5주년 기념 ‘미니 체험관’ 텐트 전시회 개최 file 2017.07.17 온라인뉴스팀 11311
생활쓰레기문제, 한국인의 저력을 보여 주자. 2 2017.07.17 박수지 12655
‘대한청소년이공계학술연합’ 접속하니 사기 사이트로 연결돼..해당 사이트 클릭 주의해야 file 2017.07.16 온라인뉴스팀 24568
블라인드 채용 법 발의 5 file 2017.07.09 송선근 14607
文정부의 인사, 聞인가 問인가 2017.07.09 김세현 10212
명성황후 시해사건을 아시나요? 2 file 2017.07.08 이가현 12610
6.25 67주년,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 1 file 2017.07.05 정지원 10505
경상북도 안동에서의 위안부 소녀상 건립, 그 미래는? 1 2017.07.01 윤나민 11913
독도는 일본땅? 어이상실한 日 학습지도요령 해설서 논란 6 2017.06.30 김성미 11185
미국 전역 애도 물결 , 웜비어 3 file 2017.06.27 조채은 10872
외고 자사고 폐지, 과연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는? 3 2017.06.27 고은빈 12123
올해 다사다난했던 영국 사건들 1 file 2017.06.27 이태호 10464
문대통령 '사드 합의 공개' , 한·미 정상회담에 미칠 영향은? file 2017.06.26 곽다영 9697
스윙 보터? 게리맨더링? 캐스팅보트? 1 file 2017.06.26 강민 14960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통역 없는 접견'에 대한 엇갈린 반응 1 file 2017.06.26 이소영 11041
도넘은 야당의 발목잡기 file 2017.06.25 손수정 10120
논란의 정답은 외인사로 끝나지 않는다.; file 2017.06.25 김유진 9081
공정한 취업의 신호탄, 블라인드제 1 file 2017.06.25 황현지 11919
문재인 대통령 사교육폐지, 외고와 자사고 일반고 전환까지? 3 file 2017.06.25 박유진 10987
자율형 사립고와 외국어고 폐지, 과연 올바른 해결책인 것인가? 2 file 2017.06.25 이지연 12469
'오토 웜비어'의 사망 이후, 상반된 북미 반응 2 file 2017.06.24 이윤희 11042
대한민국 교육정책, 장미대선으로 뒤바뀌다. 1 file 2017.06.24 윤은서 9650
쓰촨 성에서 산사태 발생, 140여 명 매몰 1 file 2017.06.24 박유빈 10933
6월 20일 세계 난민의 날 ? 난민들의 서글픈 현실 file 2017.06.23 노태인 10408
한반도의 판도라의 상자, 고리 1호기의 영구폐로 3 file 2017.06.22 이빈 11386
트럼프와 러시아 사이에는 과연 무슨 일이 있었는가? file 2017.06.21 박우빈 11808
런던 시민들의 분노가 폭발했다 3 file 2017.06.19 박형근 11341
미국의 파리협약 탈퇴- 위기의 기후협정 file 2017.06.10 김민진 14628
전세계의 관심을 받은 그의 경제 정책 2 file 2017.06.08 이종은 11489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악성루머 유포자 법적조치, 사이버수사대 의뢰…선처없다" (공식입장) file 2017.06.06 온라인뉴스팀 13074
2017 대선, 그리고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 2 file 2017.06.06 최현정 11315
광화문 1번가-국민의 목소리 file 2017.06.05 한지선 107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