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취재파일]대구황산테러사건 16년, 그리고 태완이법

by 2기김종담기자 posted Feb 25, 2015 Views 3583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취재파일] 대구황산테러사건, 16년 그리고 태완이법

noname03.jpg

△지난 2월, 기각결정전 부모님, 가온누리반딧불이 1인시위 사진, 왼쪽부터 아범님, 어머님, 가온누리반딧불이 회원


1999년 5월 20일에 일어난 대구황산테러사건, 1999년 당시 세상을 떠뜰석하게 한 사건이다. 김태완군(당시 6살)은 온 몸과 입속에 화상을 입은 상태였고 병원에 실려갔지만 49일만에 사망한 대구황산테러사건이다.
지난 7월 4일, 공소시효를 끝나기 3일전에 (故)김태완군의 부모님이 피의자로 지목된 ‘A’씨를 고소하면서 공소시효가 종료되었다. 당시 부모님과 인터뷰에서는 “태완군은 아파서 간 아이가 아니다. 누군가에게 살인은 당하고 간 것인데, 왜 상해치사냐, 이건은 명백한 살인이다.라고 생각한다.”라고 이야기하셨다. 부모님은 증거가 이렇게 있는데도 왜 검·경이 증거로 인정하지 않냐면서 억울함을 이야기하셨다. 증거는 3가지가 있는데 첫째, ‘A’씨의 신발이다. 국립과학연구소에서 신발의 황산을 검사한 결과 매우 높은 수치가 나왔다. 둘째, 같이 가던 친구의 증언이다. 당시 친구가 보았던 옷차림과 김태완군의 증언에서 이야기했던 옷차림과 일치하였다. 하지만 경찰은 친구가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거절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장 핵심적인 증거인 (故)김태완군의 증언이다. 증언에서는 범인의 옷차림, 생김새, 범인이 범행을 저지른 상황까지 모두 진술하였다. 하지만 경찰은 아직 아이가 어리다며 증거로 채택하지 않았다. 결국 증거 불충분으로 사건은 2005년 수사본부가 해체되었다. 하지만 이 모든 증거가 일리가 있다. 지난 7월 5일 방송된 KBS 추적 60분 에서는 각종 전문가를 불러 조사한 결과 태완군의 진술은 모두 진실로 대답하였다. 그리고 친구의 증언인데, 친구의 증언도 같이 짰어도 이렇게는 증언을 안한다면서 친구의 증언도 일리가 있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범인의 신발이다. 여기서 신발에 대한 실험은 추적 60분 미방송으로 여기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이 단독으로 입수한 증거다. 피의자로 지목된 ‘A’씨는 신발에 있는 황산이 걸어가다가 모르고 밟은 거라고 진술하였다. 하지만 실험결과 신발에는 황산이 옮겨질 1424699343127.jpeg수는 없다는 실험결과가 나왔다. 이렇게 증거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경·검은 이렇게 뜸을 들이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결국 대구황산테러사건은 법원으로 넘어갔다. 그리고 6개월 후 2015년 1월 법원이 기소여부를 결정한다고 발표하면서 부모님과 시민단체인 ‘가온누리 반딧불이’가 1인시위를 하였다. 1인시위에서 어머님의 인터뷰에서는 “드디어 태완이의 억울함을 풀어줄 때가 왔다”며“죽기전 한 말을 꼭 지키도록 노력하겠다”고 이야기하셨고, 시민단체 ‘가온누리 반딧불이’에서 활동중인 금씨는 “제발 기소가 받아들여져 꼭 태완이와의 약속이 지켜졌으면 좋겠다”라고 이야기하셨다.

△(故)김태완군의 사진, 부모님 제공


하지만 2월 3일 법원은 증거가 불충분하다면 기각결정을 내렸다. 그 때 당시 부모님은 정말로 황당하다면서 오열을 하셨다. 기각 후 어머님께서 올린 글중에서는 “재정신청 기각의 결정이 더 가슴 아픕니다. 그래서 더 주저 앉아 있을수 없고, 그래서 더 힘을 내서 일어서야겠기에 잠시 눈물을 멈추려 합니다. 완이의 억울함을 풀어주는 그날까지 멈추지 않겠습니다. 또한 공소시효 폐지법도 최대한 노력하겠다”라고 하셨다. 그 후 대법원에 항소장을 재출하였다고 한다.
여기서 왜 증거가 채택이 되지 않고, 공소시효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 교수이자 한국피해자협회에서 범죄심리전문가로 활동중이신 공정식 교수님과의 인터뷰를 해 보았다.
-대구황사테러사건의 피해에 대해서 이야기하면
태완의 피해자가 볼 때 인식했던 관점에서 보면 아저씨로 보여지며 어린이를 대상한 피해를 보자면 매우 잔혹하고 무자비한 형태로 피해를 주었던 사건이다. 현재까지 범인을 처벌하지 못해 피의자 유가족들의 고통은 매우 크다라고 볼 수 있다.

-추적 60분에서 태완이의 증언을 들었을 때 신빙성은 얼마나 됬나?
아동에 대한 증언에 신빙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아이의 발달상태와 아이가 가지고 있는 개인적 특성을 맞추어 져야 하고, 김태완군과 어머님의 대화를 보았을 때 아이가 혹시나 암시를 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되는데, 태완이의 진술에서 보면 어머니가 암시를 주던 질문에도 저항하는 힘이 있었다. 결국은 아니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매우 신빙성이 있다고 한다 라고 볼 수 있다.
-태완이법이라 불리는 공소시효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자면?
물론 좋은 점도 있다. 하지만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긴 있다. 반대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또 다른 사건들을 집중하지 못한다는 점, 이런 것들을 이야기하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증거의 능력이 약화되는 점, 이렇게 해서 실제로 개별 사건에 많은 수사인력을 투입하다는 것은 비효율적이공정식 교수님다 라고 이야기할 수 있는데, 전세계 살인사건의 경우에는 과학수사가 발달하면서 범인을 빠르게 쫓을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 이야기하자면 폐지를 하는 것이 옳다 라고 생각한다.
그렇다. 이 모든 것들은 공소시효에서 시작된다. 공소시효가 없어지면 수사는 장기적으로 할 수 있지만 집중을 못한다는 점에서 찬반이 엇갈린다. 하지만 부분적으로 추진한다면 언젠가는 확실히 없어질지도 모른다.
그래서 서영교 의원은 국회에서 ‘살인사건에 대한 공소시효 폐지’안건을 국회에서 대표로 발의한다. 만약 통과될 경우 살인사건은 공소시효가 없어지며 사건은 계속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 공정식 교수님
지금 공소시효 때문에 많은 피해자들이 눈물을 흘리고 있다. 혹시 이 글을 보시는 범인들, 안녕하신가요? 사건을 저질러 놓고 피해자에게 눈물만 흘린다는 그 자체를 생각을 해 보셨는지요. 단지 하나를 얻기 위해 많은걸 잃지는 않았는지 묻고 싶습니다.

제목 없음.png


△서영교 의원 트위터


-인터뷰에 응해주신 부모님, 가온누리 반딧불이 회원들, 그리고 공정식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7월 4일 인터뷰 : http://blog.daum.net/dgsbe/762 
김종담 기자(studnetreport@daum.net)
제보 받습니다. 무단 복제시 처벌 받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에 이상이 있거나 문의, 거짓기사보도 등이 있으시다면 댓글에 달아 주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youthpress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056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793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2153
한 여성의 억울한 죽음, 그리고 그 이후의 논란 5 file 2016.05.24 유지혜 21029
한 여성의 죽음, 그리고 갈라진 여성과 남성 3 file 2016.05.22 김미래 16993
한-카자흐스탄 경제협력, 카자흐 경제발전의 발판되나 file 2021.08.26 허창영 7996
한·중 수교 25주년, 사드에 한중관계 흔들 file 2017.09.01 한결희 10616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 합의, 관계 개선될까? file 2017.10.20 박현규 11291
한겨레교육, 꼭 알아야 하는 글쓰기 교육 11월 개강 file 2022.11.01 이지원 13347
한결 나아진 무더위, 안심할 수 있을까? file 2018.08.22 안혜민 10945
한국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결선 진출 2 file 2020.10.21 차예원 11067
한국 관광업의 미래, 관광데이터분석가 file 2018.11.05 이승철 11743
한국 남성, 일본 여성 폭행... 과연 반일감정? 1 file 2019.09.26 김지은 10260
한국 드디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하나? 김빛내리 교수와 코로나19 바이러스 file 2020.04.24 윤혜림 15078
한국 첫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1차 선거 통과 file 2020.09.23 차예원 11899
한국 청소년들, 정치에 관심 없다 2 file 2019.11.25 이세현 15221
한국 최초 기관단총 K1A 2020.05.27 이영민 12917
한국 해군의 경항모에 제기된 의문들과 문제점 file 2021.02.22 하상현 12060
한국, 디지털화 수준 60개국 중 7위…"성장성은 49위에 그쳐" file 2017.07.17 온라인뉴스팀 11055
한국, 백신 부족 해소돼 ‘위드 코로나’ 준비 2 file 2021.10.25 안태연 9147
한국, 소비자신뢰지수 22년만에 최고.."1995년 이후 최고 수준" file 2017.08.22 디지털이슈팀 11111
한국거래소, 러시아 ETF 거래 정지 발표 file 2022.03.07 윤초원 6570
한국도서관협회 입장문, '2023년 신규 사서교사 정원 동결, 즉각 철회하라' file 2022.08.05 이지원 8054
한국디스펜서리 주관 ‘2022 식약용 대마 분석·보안 컨퍼런스’ 12월 23일 개최 file 2022.12.16 이지원 6119
한국목재재활용협회, 오염된 폐목재의 무분별한 중고거래 대책 마련 촉구 file 2022.09.13 이지원 6271
한국문학의 거장, 최인훈 떠나다 file 2018.07.25 황수환 10324
한국사 국정교과서, 역사 왜곡 논란에도 결국.. 2 file 2017.02.21 이주은 18339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의회, 그룹홈 아동 원가족복귀 지원 사업 완료 file 2022.08.25 이지원 5667
한국은 지금 마스크 전쟁중 1 file 2020.02.27 차현서 9239
한국의 보수가 영국의 보수당에서 배울점은 무엇인가? file 2018.03.08 김다윗 12400
한국의 조용한 축제 제21대 총선 file 2020.05.18 이가빈 7882
한국인은 잠재적 확진자? 늘어나는 한국인 입국 금지 국가 file 2020.03.02 김예정 8644
한국전쟁 70주년인데...20일간의 일촉즉발 남북 관계 file 2020.06.26 김대훈 11442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산불 진화 현장 속 '숨은 영웅' 자원봉사자 활약 소개 file 2022.06.07 이지원 7122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수해 복구 대응 자원봉사 활동 지원 추진 file 2022.08.19 이지원 6901
한국청소년재단, ‘투표한다람쥐’ 캠페인 실시 1 file 2022.05.30 이지원 5662
한글날 맞아 '한글날 휘호 대회' 가봤더니...한류 열풍에 외국인도 몰려 file 2023.10.12 조이현 6545
한글문화연대, ‘제2회 외국어 남용에 불편했던 이야기 수기·영상 공모전’ 개최 file 2022.07.01 이지원 5784
한나라의 대통령이...비난받는 브라질 대통령 1 2020.04.17 조은우 8749
한류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한령 2 file 2017.05.26 유수연 12299
한마음으로 뭉친 시민들의 광화문 집회 1 file 2016.11.06 김관영 18643
한미 미사일 지침 47년 만에 폐지! 자주국방에 한 걸음 더 가까이! 1 file 2021.05.24 하상현 10305
한반도 문제의 판이 커진다? - 북러 정상회담과 중국의 반응 file 2019.05.02 맹호 12451
한반도 비핵화 운전대 잡은 韓, 떨떠름한 中,日 file 2018.03.08 박현규 10438
한반도 평화 물꼬 튼 '평창 동계올림픽' 1 file 2018.05.02 이선철 11866
한반도, 통일을 외치다! 2018.05.02 김하영 10876
한반도를 둘러싼 외교전쟁 file 2016.09.24 이민구 16743
한반도에 봄이 온다 1 file 2018.05.02 강예진 11034
한반도의 판도라의 상자, 고리 1호기의 영구폐로 3 file 2017.06.22 이빈 11349
한일 갈등과 불매 운동, 그 속으로 file 2019.08.27 박은서 11358
한일 무역전쟁과 깊어지는 한일 갈등 file 2019.08.19 윤대호 114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