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꾸준히 흥행하는 2인극 뮤지컬, 그 매력이 무엇일까? (feat. 쓰릴미, 키다리 아저씨)

by 4기오희연기자 posted Aug 09, 2017 Views 176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언제부턴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어느새인가 극장가에 '2인극'으로 진행되는 뮤지컬이 조용히, 그리고 꾸준히 상승세를 타고 있는 추세이다. 작품이 수출된 나라 중 한국에서 가장 큰 흥행 성적을 거뒀다는 뮤지컬 '헤드윅' 역시 모노드라마 형식이긴 하나 2인극이라고 볼 수 있고, 엄청나게 두터운 마니아층을 형성하며 매 시즌마다 매진 행렬을 이어가고 있는 쓰릴미 역시 2인극이다. 과연 2인극이 가진 매력이 무엇이길래 이렇게 뮤지컬 마니아층에서 유독 큰 인기를 얻는 것일까? 애석하게도 일반 관객들은 2인극이 가진 매력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데, 그 매력을 파헤치기 위해 필자가 관람한 '쓰릴미'와 '키다리 아저씨'라는 두 작품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15823444_1303293386402073_2260078936927211149_n-horz.jpg

[이미지 제공 = 달컴퍼니 /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일단 두 작품의 특징부터 살펴보도록 하자. 올해 10주년을 맞아 성황리에 공연되었던 뮤지컬 '쓰릴미'는 2007년 초연된 이후로 무려 9 시즌이나 공연을 올릴 정도로 꾸준한 흥행 성적을 거뒀던 작품이다. 동성애, 살인 등 국내 정서에 맞지 않을 수 있는 자극적인 소재를 다뤘다는 이유로 초연이 개막되기 전에는 흥행 성적에 대한 우려가 많았지만, 정작 뚜껑을 열어놓고 보니 중소극장 뮤지컬의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공연계에 큰 변화를 이끈 작품임이 틀림없다. 많은 뮤지컬 마니아들의 의견에 따르면한 공연을 몇 차례씩 관람하는 일명 '회전문 관객'이 본격적으로 급증하게 된 계기도 '쓰릴미'이고, 로맨틱 코미디가 주를 이루던 중소극장 뮤지컬계에 실험적인 작품이 많이 들어서기 시작한 것도 '쓰릴미'가 흥행하고 난 뒤부터라고 한다. 오케스트라 없이 피아노 한 대로 넘버 전 곡이 연주되고 단 두 명의 남자 배우가 팽팽하게 감정을 주고받는 것이 바로 이 작품의 매력이다.

17966310_1412510748813669_3087331121700963623_o.jpg

▲일명 '꽃뉴페어'로 인기를 얻은 정동화-정욱진 배우

[이미지 제공 = 달컴퍼니 /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마니아층이 쓰릴미에 열광하는 또 다른 이유는 배우들 간의 합을 보는 재미라고도 할 수 있다. 두 명만 출연하는 극이다 보니 캐스트 조합별로 이뤄진 '페어(일을 함께 하거나 특별한 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쌍, 두 사람)'를 모두 관람하기 위해 극장을 다시 찾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작품을 관람하는 데 고려하는 요인 중 하나인 '배우'는 특히 한국 뮤지컬 시장에서는 더욱 그 비중이 크기 때문인지 이렇게 페어를 고려하여 재관람하는 경우가 유독 많은 것으로 보인다. '쓰릴미' 같은 경우 적은 회차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회차가 다 고정 페어로 이뤄진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예를 들면 '최재웅-김무열', '정동화-정욱진' 이런 식으로 페어가 고정되어 있음) 페어별로 그 매력을 비교하면서 관람하는 재미는 아주 쏠쏠하다.


17952911_1415533918511352_9051012027885129434_n.jpg

[이미지 제공 = 달컴퍼니 /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달 컴퍼니에서 2016년에 선보인 혼성 2인극 뮤지컬 '키다리 아저씨'. 이 작품은 세계 뮤지컬 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시상식이라고 할 수 있는 영국의 올리비에상과 미국의 토니상에서 각각 연출상을 받은 존 케어드, 그리고 그와 뮤지컬 '제인 에어'에서 호흡을 맞춘 바 있는 작곡가 폴 고든이 합심하여 제작한 따뜻한 감성 뮤지컬이다. 미국 초연 당시 각종 호평을 얻은 뒤 공연의 성지인 브로드웨이에 입성하기도 전에 일본에서 러브콜을 받아 일본 뮤지컬계에 전례 없는 흥행 기록을 세운 저력이 있었는데, 한국에서도 작품이 관객들과 잘 통했는지 작년 7월 19일 DCF대명문화공장 1관 비발디파크홀에서 개막한 초연은 한국 뮤지컬계에서 보기 드문 혼성 2인극인 데다가 초연인데도 불구하고 판매점유율 12.6%로 인터파크 티켓 뮤지컬 랭킹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실은 초연 개막 전 '월요 쇼케이스'를 통해 관객들에게 작품을 먼저 선보였는데, 스타 캐스팅도 없고 작품 자체가 널리 알려지지 않은 상태임에도 작품이 기대된다는 호평이 자자했던 바 있다.


18664658_1453804521350958_5315189030582024434_n.jpg

▲2017년 공연 당시 제루샤 역의 유리아, 제르비스 역의 강동호

[이미지 제공 = 달컴퍼니 /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뮤지컬 '키다리 아저씨'의 가장 큰 흥행 요인은 무엇일까? 필자는 그 매력이 '담백함'에서 나오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뮤지컬 시장이 급속도로 확대되면서 나오는 상업성을 띠는 뮤지컬, 그리고 겉으로는 화려하나 정작 작품이 담고 있는 의미는 흐지부지한 대극장 뮤지컬들이 잇따라 개막하면서 관객들에게 진정 어린 감동과 기쁨을 선사하지 못하는 경우가 때때로 생기는데, 이에 따라 오히려 관객들은 이렇게 억지로 감정을 꾸미려 하지 않고 자연스레 감동을 전달하는 극을 더 많이 찾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뮤지컬 '키다리 아저씨'는 제루샤가 제르비스에게 편지를 쓰면서 독백 연기를 하는 식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제루샤는 극이 진행되는 내내 제르비스를 향해 쓰는 편지를 대사로 표현하는데 제르비스가 공연 내내 한 무대 안에 있는데도 정작 이야기를 전달하는 시선은 제르비스가 아닌 관객들을 향해 있다. 이 작품은 극에 등장하는 두 사람이 편지를 통해 서로 교감하면서 성숙해져 가는 과정을 이야기로 전달받는 식이라 그런지 원작 소설을 그대로 구연동화 듣는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하는데 이러한 진행 방식은 편지를 받아 읽는 제르비스의 반응을 직접적으로 보고, 제루샤의 감정과 생각을 직접적으로 알게 되기 때문에 관객과 호흡하는 느낌이 강하게 들어서 '쓰릴미'와는 다른 방향으로 집중하게 만드는 힘이 있는 듯하다.


 필자가 재밌게 관람한 2인극 뮤지컬의 두 편의 특징을 살펴보면서 확실히 알게 된 매력을 크게 네 가지로 정의해보자면 이러하다.


1. 극 전체를 이끄는 단 두 명의 배우에게만 집중함으로써 부각되는 흡입력

2. 각각의 페어가 지닌 다양한 매력을 보는 재미(feat. 회전문)

3. 배우마다 다른 작품 해석을 통해 같은 공연도 다른 시각으로 보게 되는 재미

4. 극에 등장하는 인물들과 직접적으로 호흡하는 듯한 느낌


 현재 국내에 개막 예정인 2인극 뮤지컬은 스테디셀러 락 뮤지컬 '헤드윅'뿐이다. 앞으로 더욱 다양한 2인극 뮤지컬이 국내에 소개되길 바라며, 또한 중소극장 뮤지컬도 더욱 활성화되길 바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4기 오희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5기정서현기자 2017.08.10 22:49
    평소에 뮤지컬 좋아하는데 2인극 뮤지컬은 처음 들어보는 것 같아요! 두 뮤지컬 모두 기회가 된다면 보고싶네요 !!
  • ?
    4기오희연기자 2017.08.22 23:25
    둘 다 정말 매력있는 작품이에요! 다른 2인극 뮤지컬을 먼저 접해보고 싶으시다면 '헤드윅'을 추천드립니다!ㅎㅎ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57768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4910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77753
드림스프링스, 청소년의 꿈을 응원합니다! 1 file 2017.02.27 김보경 547821
[PICK] 삼성전자의 3세대 폴더블 Z Filp 3를 살펴보다 2 file 2021.08.25 김승원 467353
[PICK] 혼자가 더 편한 이들에게 건네는 공감과 위로, 영화 <혼자 사는 사람들> 1 file 2021.08.26 한수민 466229
최초의 유화 애니메이션, <러빙 빈센트> file 2017.11.28 신현민 404912
[포토]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이재준 고양시장 인터뷰 진행 file 2020.11.10 디지털이슈팀 280002
[PICK] KBO 역사상 최대 위기, 팬들의 마음은 이미 돌아섰다 file 2021.07.26 지주희 255036
애니메이션 속 숨겨진 명대사 5 file 2020.04.28 권빈 241776
베이킹 속에 숨어있는 과학 원리 file 2018.02.01 정용환 213714
여자배구 대표팀, 2021 VNL 참가 18인 명단 공개...도쿄올림픽 향한 첫걸음 1 file 2021.04.12 김하은 191304
[PICK] 국제백신연구소 사무총장과 화이자 백신 R&D 사업본부, 코로나 백신에 대해 이야기하다 1 file 2021.06.18 이주연 168878
[PICK] '대통령 특별사절 1호 가수' 방탄소년단, "사명감 갖고 긍정과 희망 에너지 전하고파" file 2021.07.26 김수인 167776
[PICK] 쓰레기로 만든 신발 나이키 레디메이드 블레이저 file 2021.07.27 류태영 167302
[PICK] 가까워지는 코로나 종식, 문화생활 시작될까 1 file 2021.06.28 이소현 158053
[PICK] 남자농구 대표팀, 4승 2패로 아시아컵 본선 진출 확정 file 2021.06.28 윤서원 156495
“이게 한국?”...내셔널지오그래픽에 한국인들이 뿔난 이유 file 2021.07.27 박지훈 138197
청소년기자단봉사회, ‘시각장애인·정보소외계층 위한 기사녹음 봉사활동’ 운영 file 2018.10.31 디지털이슈팀 108144
서초구를 뒤흔들다. 2017 서초구 서리풀 페스티벌 file 2017.09.27 김서영 105884
'신흥 강자'로 불리던 게임들이 유독 한국에서 부진한 이유는? 1 file 2020.09.21 김상혁 89718
프랑스의 깊은 맛, 대표 음식 Top 3 file 2017.10.18 박미진 83816
내가 직접 만들어서 팔아요. 2017.06.30 박승미 83656
녹색교육센터, 2022년 글쓰기로 마음을 키우는 숲놀이터 '글꽃숲' 글 모음집 발간 file 2023.01.02 이지원 82628
청소년들에게 일상이 되어버린 비속어 1 file 2017.03.20 김재윤 82081
공룡 대멸종, 그 원인은 무엇일까? file 2018.06.21 최수영 73542
필환경이 트렌드로 주목되다, 이 변화에 기여한 자들은? file 2020.04.13 남지영 64838
순우리말 간판, 돌아오다. 11 2017.02.22 장나은 57655
FTA의 장점과 단점 file 2017.10.09 최현정 51318
마케팅의 기본, 분석법을 배우자!! file 2016.06.04 김성현 49633
엄마! 소고기는 왜 돼지고기보다 비싸요? 3 file 2019.09.02 김도현 49426
10대들이 받고 싶어 하는 선물은? file 2020.01.03 이채희 48285
청소년 아이돌 팬덤 문화의 양면성 2017.07.29 정혜원 48190
블루투스는 왜 한 개만 연결이 가능할까? file 2021.05.27 장은솔 45438
대기 중 이산화탄소로 망가져가는 해양을 살릴 수 있는 기술들 1 file 2020.12.31 이지민 45167
성격 유형에 따른 MBTI, 나는 어떤 유형일까? 7 file 2020.07.03 윤소영 44807
'탈석탄'을 위한 온라인 엽서 쓰기 4 file 2021.05.24 김태희 44684
자극적인 콘텐츠 속 블루오션, '무자극 컨텐츠 연구소' file 2017.08.01 김재윤 44551
세계의 의식주①: 다양한 전통의상 2018.01.30 김민지 43807
청소년들의 새로운 문화공간, '청소년 클럽' 5 file 2018.03.02 박건목 41923
세계로 나가는 자랑스런 한국의 맛! <제12회 전주국제발효식품 엑스포> 1 file 2014.10.23 최다혜 41424
10대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패션 브랜드 '키르시(KIRSH)' 9 file 2019.04.12 김세린 41366
원숭이와 친해져볼까?! 에버랜드 '몽키밸리 리얼대탐험' file 2015.06.07 김민정 41116
서울시 교육감과 함께한 명덕여고 학생자치법정 1 file 2015.08.11 심희주 40721
사람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 MBTI 1 file 2020.01.03 조은비 40703
새로운 기자단 tong, 시작을 알리다 4 file 2015.07.28 김혜빈 40183
SKY캐슬 예서는 '이기적 유전자'를 이해하지 못했다? 2 file 2019.03.22 이연우 39902
[곰이 문 화과자] ' 2월 ' 문화행사 A to Z 19 file 2016.02.11 박서연 383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