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B-Sal로 인해 멸종위기에 처한 도롱뇽, 그에 응답한 연구진과 학생들

by 4기박서영기자(IT과학) posted Aug 08, 2017 Views 238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최근 발병원인을 정확히 알 수 없는 질병들이 양서류를 위협하고 있다그 중 한 예시가 바로 B-Sal이다. B-Sal은 박트라코키트리움 샐러맨드리보란스(Batrachochytrium salamandrivorans)’의 줄임말로지난 2010년 네덜란드에서의 도롱뇽 떼죽음을 일으킨 곰팡이다.

네덜란드에서의 떼죽음 이후 행해진 벨기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B-Sal은 유럽의 도롱뇽 10종류 중 9종류를 감염시켰다감염된 9종류의 도롱뇽 44마리 중 41마리는 죽음에 이르렀다.

이처럼 계속해서 발표되는 연구결과에 의해 최근 서양의 양서파충류 학계는 비상사태다유럽이나 미국에서는 이러한 곰팡이로 인해 도롱뇽이 멸종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에 휩싸였다.

한국의 경우는 어떠할까다행스럽게도 한국에는 현재까지 이 곰팡이가 발견된 적 없다하지만 현재 B-Sal이 발견되지 않은 미국의 경우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하여 도롱뇽 수입 금지조치를 내린 만큼 우리나라도 이에 대한 경계를 늦출 수는 없다대한민국에 서식하는 도롱뇽 중에서도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대한민국에서만 서식하는 이끼도롱뇽(Karsenia)의 경우 B-Sal에 취약할 것으로 생각되어 우리나라의 많은 양서파충류학자들을 이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끼도롱뇽.PNG

이끼도롱뇽(Karsenia)

[이미지 제공=야생동물유전자원은행]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B-Sal과 같은 곰팡이의 경우건강한 개체도 이를 보유할 가능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보유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외양적인 증상은 찾기 어렵다따라서 연구를 위해 많은 도롱뇽 개체 수가 필요한 상황이다이러한 상황 속 서울대학교 브루스 월드만 교수는 국내 도롱뇽 질병(B-Sal) 생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각 지역에 도움을 요청했다이 도움에 응답한 학생 중 일부는 울산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었다.

박서영(18) 학생을 포함한 일부 학생들은 약 3개월간 3회 이상의 채집활동을 실시하였다비 오는 날 돌 밑이나 유속이 빠르지 않은 연못 속수로농지 주변이 도롱뇽 발견 및 채집에 유리한 점을 이용하여 도롱뇽을 포획한 후 세척 및 개체의 피부 표면 문지르기(Swabbing) 과정을 거쳐 채취한 조직의 DNA를 보관하고 표식의 과정을 거쳤다박서영 학생을 포함한 울산과학고학생들은 이와 같은 경험을 통해 생태학 및 동물행동학 분야의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체험해 봄으로써 환경 분야의 중요성을 알게 된 좋은 기회가 되었다고 의견을 밝혔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4기 박서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57274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4447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77296
드림스프링스, 청소년의 꿈을 응원합니다! 1 file 2017.02.27 김보경 547810
[PICK] 삼성전자의 3세대 폴더블 Z Filp 3를 살펴보다 2 file 2021.08.25 김승원 467332
[PICK] 혼자가 더 편한 이들에게 건네는 공감과 위로, 영화 <혼자 사는 사람들> 1 file 2021.08.26 한수민 466216
최초의 유화 애니메이션, <러빙 빈센트> file 2017.11.28 신현민 404903
[포토]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이재준 고양시장 인터뷰 진행 file 2020.11.10 디지털이슈팀 279998
[PICK] KBO 역사상 최대 위기, 팬들의 마음은 이미 돌아섰다 file 2021.07.26 지주희 255026
애니메이션 속 숨겨진 명대사 5 file 2020.04.28 권빈 241764
베이킹 속에 숨어있는 과학 원리 file 2018.02.01 정용환 213713
여자배구 대표팀, 2021 VNL 참가 18인 명단 공개...도쿄올림픽 향한 첫걸음 1 file 2021.04.12 김하은 191300
[PICK] 국제백신연구소 사무총장과 화이자 백신 R&D 사업본부, 코로나 백신에 대해 이야기하다 1 file 2021.06.18 이주연 168865
[PICK] '대통령 특별사절 1호 가수' 방탄소년단, "사명감 갖고 긍정과 희망 에너지 전하고파" file 2021.07.26 김수인 167771
[PICK] 쓰레기로 만든 신발 나이키 레디메이드 블레이저 file 2021.07.27 류태영 167295
[PICK] 가까워지는 코로나 종식, 문화생활 시작될까 1 file 2021.06.28 이소현 158049
[PICK] 남자농구 대표팀, 4승 2패로 아시아컵 본선 진출 확정 file 2021.06.28 윤서원 156490
“이게 한국?”...내셔널지오그래픽에 한국인들이 뿔난 이유 file 2021.07.27 박지훈 138192
청소년기자단봉사회, ‘시각장애인·정보소외계층 위한 기사녹음 봉사활동’ 운영 file 2018.10.31 디지털이슈팀 108136
서초구를 뒤흔들다. 2017 서초구 서리풀 페스티벌 file 2017.09.27 김서영 105883
'신흥 강자'로 불리던 게임들이 유독 한국에서 부진한 이유는? 1 file 2020.09.21 김상혁 89714
프랑스의 깊은 맛, 대표 음식 Top 3 file 2017.10.18 박미진 83809
내가 직접 만들어서 팔아요. 2017.06.30 박승미 83654
녹색교육센터, 2022년 글쓰기로 마음을 키우는 숲놀이터 '글꽃숲' 글 모음집 발간 file 2023.01.02 이지원 82626
청소년들에게 일상이 되어버린 비속어 1 file 2017.03.20 김재윤 82031
공룡 대멸종, 그 원인은 무엇일까? file 2018.06.21 최수영 73538
필환경이 트렌드로 주목되다, 이 변화에 기여한 자들은? file 2020.04.13 남지영 64836
순우리말 간판, 돌아오다. 11 2017.02.22 장나은 57651
FTA의 장점과 단점 file 2017.10.09 최현정 51317
마케팅의 기본, 분석법을 배우자!! file 2016.06.04 김성현 49632
엄마! 소고기는 왜 돼지고기보다 비싸요? 3 file 2019.09.02 김도현 49423
10대들이 받고 싶어 하는 선물은? file 2020.01.03 이채희 48279
청소년 아이돌 팬덤 문화의 양면성 2017.07.29 정혜원 48185
블루투스는 왜 한 개만 연결이 가능할까? file 2021.05.27 장은솔 45436
대기 중 이산화탄소로 망가져가는 해양을 살릴 수 있는 기술들 1 file 2020.12.31 이지민 45157
성격 유형에 따른 MBTI, 나는 어떤 유형일까? 7 file 2020.07.03 윤소영 44806
'탈석탄'을 위한 온라인 엽서 쓰기 4 file 2021.05.24 김태희 44681
자극적인 콘텐츠 속 블루오션, '무자극 컨텐츠 연구소' file 2017.08.01 김재윤 44536
세계의 의식주①: 다양한 전통의상 2018.01.30 김민지 43805
청소년들의 새로운 문화공간, '청소년 클럽' 5 file 2018.03.02 박건목 41919
세계로 나가는 자랑스런 한국의 맛! <제12회 전주국제발효식품 엑스포> 1 file 2014.10.23 최다혜 41420
10대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패션 브랜드 '키르시(KIRSH)' 9 file 2019.04.12 김세린 41361
원숭이와 친해져볼까?! 에버랜드 '몽키밸리 리얼대탐험' file 2015.06.07 김민정 41114
서울시 교육감과 함께한 명덕여고 학생자치법정 1 file 2015.08.11 심희주 40720
사람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 MBTI 1 file 2020.01.03 조은비 40698
새로운 기자단 tong, 시작을 알리다 4 file 2015.07.28 김혜빈 40176
SKY캐슬 예서는 '이기적 유전자'를 이해하지 못했다? 2 file 2019.03.22 이연우 39891
[곰이 문 화과자] ' 2월 ' 문화행사 A to Z 19 file 2016.02.11 박서연 383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