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국민행복카드로 우리나라 저출산·고령화에도 드디어 희망이!

by 김나현4기기자 posted Aug 06, 2017 Views 1499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00년대로 접어들면서 저출산·고령화 문제가 대두되자, 정부는 2005515저출산·고령 사회 기본법을 제정·공포했다. 이어 200591일 대통령 직속 기관으로 저출산 고령 사회 위원회를 구성하고, 200681일 제1차 저출산·고령 사회 기본 계획 새로마지 플랜 2010’20101026일 제2차 저출산·고령 사회 기본 계획인 새로마지 플랜 2015’을 수립·발표하는 등 출산장려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출산장려정책들 중 임산부들을 위한 고운맘카드 제도가 있다. 이는 2008년부터 시행되어, 임산부에게 부담을 줄여주고 출산을 격려하며 건강한 태아의 분만과 산모의 건강관리를 위해 발급되는 카드로, 국가에서 임신 및 출산과 관련된 진료비를 지원해준다.


과거 정부지원카드는 고운맘카드(임신, 출산 의료비 지원 등), 맘편한 카드(청소년 산모의 등), 희망e든카드(산모, 신생아의 건강관리 지원 등)으로 3종류였다. 그러나 20155월부터는 이 3가지의 카드가 통합되어 국민행복카드라는 이름으로 발급되어 신용카드나 체크카드인 2형태로 지원된다.

또한 이 카드는 사용자가 지원금을 모두 사용한 후에도 일반신용카드로 사용이 가능하다. 임신이 확인된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인 임산부라면 누구나 발급 대상자에 해당한다. 다만, 출산 이후에는 신청이 불가하니 임신 중에 신청해야 한다.



- 국민행복카드 사용 범위 및 혜택

임신과 출산 관련된 진료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임신 1회당 50만 원, 다태아 임신부의 경우 90만 원, 추가로 복지부에서 정한 34개의 분만 취약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20만 원까지 추가 지급된다. , 분만 취약 지역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분만취약지에 주민등록 기간이 30일 이상 되어야 한다.


아래의 표는 카드 사용이 가능한 곳이다. 이 카드를 사용할 시, 진료 당일 국민행복카드를 지참하고 제시해야 하고, 타 진료 과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11.png

[이미지 제작 =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4기 사회부 김나현 기자]





- 국민행복카드가 발급 가능한 카드 사 : 삼성카드, 롯데카드, NH농협카드, 우리카드

22.png

[이미지 제작 =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4기 김나현 기자]



임신을 하게 되면 각종 검사부터 임신과 출산에 관련된 지출이 많아지고, 부담이 늘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전국 결혼 및 출산력·가족 복지실태 조사에 따르면, 대학을 졸업시킬 때까지 드는 자녀 1일당 총 양육비는 비용이 3896만 원으로, 4년 만에 양육비가 18% 증가했다. 이렇듯 자녀 양육과 관련하여 우리나라의 저출산·고령화를 해결하고자 정부는 임산부와 보호자, 그의 가족들에게도 여러 혜택을 주려고 노력하고 있다.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4기 사회부 김나현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5기송가현기자 2017.08.08 00:20
    우리나라 출산장려정책이 편리하고 임산부들에게 많은 혜택이 가도록 되었네요! 고운맘카드제도는 쓸 수있는곳이 많고 편하기도 해서 도움이 많이 될것같아요 그렇지만 고운맘카드제도에서 출산을 했다고 해서 임신을 하지 않았던것도 아니고, 오히려 출산율을 올렸음에도 불구하고 왜 출산 후에 카드신청이 불가한건지 아쉽네요!! 그래도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
    4기김유나기자 2017.08.09 17:44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 맞는 좋은 카드네요
    하나 알고 가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58056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5230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78052
마스크 착용! 우리의 생명을 지키는 유일한 방법 1 file 2020.12.29 정주은 14442
마스크 귀걸이 자르기?…우리의 작은 노력으로 지키는 생태계 2 2021.11.22 정지운 15625
마누 프라카시의 인류의 공존을 위한 끊임없는 도전. file 2017.03.22 김민정 16443
린드블럼 14승, 반슬라이크 KBO리그 데뷔 '첫 홈런' file 2018.08.16 옥나은 14728
리콴유(Lee Kuan Yew) - 내가 걸어온 일류국가의 길 file 2018.05.18 홍도현 17050
리움미술관, '조선의 백자, 군자지향'전 개최 2023.04.11 박도현 7238
리움미술관 카텔란전, 관람객 눈길 끈 작품 3가지 file 2023.04.19 김민준 9147
리우 올림픽의 새로운 기술들 2 file 2016.08.11 황지혜 15226
리우 올림픽, 정말 끝일까? 4 file 2016.08.25 신수빈 20889
리본 공예, 장애인 마음도 환하게 비춰주다 file 2016.03.20 김현구 16930
리베라CC 벚꽃축제를 개최하다. file 2018.04.23 이지은 16306
리노베이션 앞둔 부산시립미술관...마지막 전시에 가다 file 2024.01.28 서채은 6183
롱주 게이밍, 2017 롤챔스 서머 우승컵을 들어 올리며 새 역사를 쓰다 file 2017.09.13 최민규 15613
롯데제과, ‘왓따 스크류바’ 껌 출시 1 file 2017.08.14 디지털이슈팀 15701
롯데월드타워는 어떻게 지어졌을까? file 2019.03.11 봉하연 19212
롯데월드 '호러 할로윈 2 : He’s BACK' 1 file 2017.10.26 서주현 17047
롯데월드 'Friday Burning 나이트파티' , 그 뜨거웠던 현장으로 2 2017.02.25 최민규 14369
롯데리아의 새 모델, 대세 아이돌 그룹 워너원 발탁 3 file 2017.11.30 김다정 19887
로봇과 함께하는 인류의 미래는 밝은가? 1 file 2017.08.23 이윤진 15405
로봇과 인간: Uncanny Valley 2017.10.30 송경아 14398
로봇 경진 대회 '2017 STEAM CUP' 개최 2 2017.08.08 임채민 17848
렌즈, 올바른 사용법과 부작용 3 file 2020.09.09 김현수 16931
레진엔터테인먼트, 저작권해외진흥협회(COA)와 함께 해외 저작권 침해 대응 예정 1 file 2017.02.17 문정호 14622
레알 마드리드 VS 아탈란타 BC , '수비가 다 했다' file 2021.03.03 이동욱 13265
레슬링 김현우, 오심에도 값진 광복절 세리머니 1 file 2016.08.24 장은지 17916
레드벨벳 조이의 티셔츠 한 장이 불러온 네티즌들의 반응 file 2020.08.25 홍지원 13101
런던, '친환경 생태 도시'로 탈바꿈한다 file 2018.04.03 김환 14949
런던 '껌딱지' 아티스트 Ben Wilson을 만나다! 2 file 2018.12.07 이한올 15687
런닝맨 리벤져스, 여름방학 맞은 극장가 애니메이션 영화 개봉 file 2023.08.22 박도현 8738
러시아 속의 강원도, '강원장터' 개설 file 2021.08.25 김수연 11116
랜섬웨어에 대한 모든 것 file 2017.05.22 정승훈 15239
랜섬웨어, 그 대책은? file 2017.05.22 조유림 13572
랜덤채팅, 채팅 앱 속 유흥업소 5 file 2017.02.25 박유은 24948
락스 마시는 페북 스타가 좋아요? 1 2017.03.31 정명주 15710
라온시큐어, ‘원가드’를 통해 군 보안 시장 공략 file 2018.06.20 성소현 16222
라라랜드를 걷어찬 엠마왓슨의 복귀작 미녀와야수 1 file 2017.03.24 김민재 15794
뜨겁던 1990년대를 엿보다, 슈퍼소닉 3 file 2017.02.21 최윤정 14168
뜨거웠던 현장 코엑스 c-festival file 2017.05.31 안수현 16346
뜨거웠던 오월의 그날을 우리는 이렇게 기억해요! ? 제 16회 518마라톤대회 file 2016.05.25 오지은 14385
뜨거웠던 3?15의거, 민주주의 역사 속으로 file 2017.02.24 안연수 14695
뜨거운 태양을 피해 ‘해질녘에 듣는 도란도란 한옥마을 이야기’ file 2018.08.27 김수인 14066
뜨거운 코트를 가르며 BOOM UP 1 file 2019.02.08 이귀환 16673
뜨거운 올림픽의 열기. 식어가는 민족의 열기 4 file 2016.08.21 한종현 13593
뜨거운 열기의,2017 드림 콘서트! 1 file 2017.06.04 전예인 17743
뜨거운 열기로 가득한 별고을 나들이, ‘2017 성주생명문화축제' 1 file 2017.05.19 김나현 16378
뜨거운 열기가 가득한 재판현장! <청소년 모의재판 경연대회> 현장을 찾아가다 3 2017.08.22 신효철 14095
뜨거운 열기 속으로, 2017 FEVER FESTIVAL file 2017.11.06 오소현 135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