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연인'을 가장한 '악마'들

by 6기김나림기자 posted Jul 29, 2017 Views 1207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최근 들어 실제 연인 간에, 혹은 연인을 빙자한 채 폭력과 사기가 늘어나고 있다. 모든 인종, 연령, 경제 수준, 사회 계층을 막론하고 발생하며 발생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어떤 유형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첫 번째, 로맨스 스캠(Romance scam)이다. 이는 페이스북, 트위터 등 글로벌 SNS 망을 통해 사랑이나 애정을 앞세워 사기를 치는 수법을 의미한다. 지난 4월부터 727일까지 국내에서 40여 명에게 약 6억 원을 챙긴 나이지리아인 2명이 27일 경찰에게 붙잡혔다. 이런 로맨스 스캠의 특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우선, 거의 다 여자가 등장한다는 특징이 있다. 예쁜 여자를 앞세워 남성의 감정을 자극한다. 그러나 그 여성은 실제 인물이 아니라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예쁜 여성들의 얼굴을 합성한 것이다. 제일 많이 등장하는 여자는 미 여군들로, 평화 유지군으로 아프가니스탄이나 중동에 파견되어 있다며 자기소개를 하고 남자들을 유혹한다. 또한 중동 난민캠프에 수용되어 있는 왕족 출신이라는 식으로 접근하기도 하는데 이는 동정심을 유발하기 위한 것이다. 거액의 유산이나 한국에서의 투자를 통해 귀가 솔깃해지는 이윤을 앞세워 함께 하자는 사기를 치고 있다.


IMG_8334.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김나림 기자]


두 번째는 데이트 폭력(Dating abuse)이다. 서로 교제하는 미혼의 동반자 사이에서 둘 중 한 명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폭력의 위협 또는 실행되는 것을 말한다. 타인으로의 존재감을 존중해주며 사랑의 감정을 서로 나눠야 하는데 내 것이라는 소유적 정신이 강해지며 발생한다. 성폭행, 성희롱, 협박, 물리적 폭력, 정신적 폭력, 언어폭력, 사회적 매장, 스토킹 등 다양한 형태로 일어날 수 있다. 가해자와 피해자들을 살펴본 결과 비슷한 특징이 나타나고 있었는데, 먼저 가해자는 강박적으로 질투심과 소유욕이 강하며 자신감이 지나치고 감정 기복이 심하다. 또한 동반자를 가족, 친구, 동료들에게서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피해자는 발생한 폭력의 원인을 자기 자신에게 돌리거나 폭력의 심각성을 최소화로 인지하는 특징이 있었다. 718일 새벽, 신당동에서 술 취한 20대 남성이 길가에서 여자친구를 무차별적으로 폭행한 후 트럭을 몰고 돌진한 사건이 있었다. 하지만 데이트 폭력에 대한 법이 따로 없어 살인, 성폭행, 상해 등 일반적인 형사 사건의 유형으로 분류해 처리하고 있어 처벌이 약한 편이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 데이트 폭력으로 숨진 사람은 290, 연간 48명이 연인을 가장한 악마에게 목숨을 잃은 셈이다. 지난해 데이트 폭력 입건자 8367명 중 구속된 이는 단 449명밖에 되지 않는다.


로맨스 스캠과 데이트 폭력의 사건 발생 수는 점점 늘어나고 있고 행패 역시 점점 심해지고 있다. 그렇지만 여전히 처벌은 약한 편이다. 앞으로 이에 대한 처벌을 가중시키고 피해자들이 쉽게 신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김나림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5기박유진기자 2017.08.03 19:07
    요즘 데이트폭력이 점점 늘어가고 있어서 마음이 아프네요.
  • ?
    4기신예진기자 2017.08.03 22:55
    정말 이제는 사회가 너무 흉흉해져서 연애도 쉽게 맘놓고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네요..
    배우자 혹은 남자친구 여자친구 모두 신중하게 선택해야 할 것 같아요. 점점 데이트폭력이나 나아가 살인으로까지 이어지는 사건들이 증가하는 추세인게 정말 안타까운 우리 사회의 모습이네요. 어쩌다 이런 강력범죄가 하루에도 수십건씩 일어나는 사회가 된걸까요. 특히나 데이트폭력같은 경우는 서로 사랑하던 사이인데 어떻게 저렇게까지 상대를 참담하게 해치고 힘들게하고 큰 상처를 줄 수 있는건지 가끔은 이해가 정말 안돼요. 정말 무섭네요.
    좋은기사 감사합니다!
  • ?
    5기정서현기자 2017.08.10 22:58
    최근 들어 데이트 폭력 기사를 자주 접해서 너무 무섭네요ㅠ ㅠ 이젠 좋아하는 이성까지도 조심해야한다니.. 로맨스 스캠이란 단어는 처음 들어보는 것 같아요 좋은 기사 감사드려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544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220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6155
대재앙 코로나19, 논란의 일본 코로나 학생 재난지원금 차별 file 2020.05.27 송승연 18165
대왕 카스텔라의 부활 1 file 2020.03.19 강민경 9467
대안 문화에서 미숙한 문화로 2014.07.31 조민지 27514
대세론과 상승세, 문재인과 안희정의 공약은 무엇일까 4 file 2017.03.09 손유연 14013
대설주의보와 대설경보, 미리 알고 대비하자 1 file 2020.02.21 우선윤 10306
대선에만 치우친 시선, 2022년 재보궐선거는? file 2022.02.25 고대현 9339
대선 토론회 북한 주적 논란, 진실은 무엇인가 3 file 2017.04.20 김동언 17336
대선 전 마지막 TV 토론, 코로나19 대응 관련 주제로 팽팽히 맞선 트럼프-바이든 file 2020.10.27 박수영 7649
대부분의 학생들이 하루를 보내는 학교, 그런데 이런 곳에 1급 발암 물질이 있다? 3 2018.08.24 공동훈 12376
대보름과 함께 떠오른 민중의 목소리 2 file 2017.02.12 오지은 16802
대법원, 이기택 대법관 후임 인선 착수, 28일 후보자 추천 시작 file 2021.06.11 김준혁 7423
대만의 장세스, 그는 과연 영웅인가 살인자인가 file 2017.02.22 이서진 20291
대륙이 손을 폈다, 하지만 이제 시작일 뿐 file 2017.03.26 김지한 9730
대낮에 주황빛 하늘? 미 서부를 강타한 최악의 산불 file 2020.09.28 김시온 8519
대구시민의 관심이 집중된 신청사 건립, 대체 무엇일까? 1 file 2019.05.29 김민정 9801
대구·경북 신공항 특별법.. 균형 발전을 위해 제정 필요 file 2021.05.04 이승열 7239
대구 '평화의소녀상' 희망을 달다 2 file 2017.03.29 김나현 12137
당진시장, 시민들의 소리를 들어 1 2017.01.24 박근덕 17215
당연하게 된 사교육, 원인은? 3 file 2017.05.27 김혜원 14518
당신은 알고 있었는가,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파업 3 file 2016.06.18 정현호 14896
당신은 가해자입니까? 아니면 정의로운 신고자입니까? 10 file 2016.02.23 김나현 16829
당사자인가, 연대인가? 인권운동의 딜레마 file 2018.12.26 김어진 14956
당사자 없는 위안부 합의, 미안하지만 무효입니다. 4 file 2017.02.12 윤익현 16241
담배연기에 찌든 청소년들 2014.08.01 송은지 22723
담배로 인한 피해는 누가 책임지나. 6 file 2016.03.26 김민주 18673
담배 회사의 사회 공헌 활동,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2 file 2020.07.27 김민결 11655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왔다. 3 file 2017.03.11 김지민 12640
닭 쫓던 개 신세 된 한국, 외교 실리 전혀 못 찾아 4 file 2016.02.28 이민구 14840
달콤한 휴식처? '졸음쉼터'의 이면 2 file 2017.01.31 김성미 18215
달라진 미국 비자 발급... 내 개인정보는? file 2019.08.16 유예원 15237
달걀 가격 4000원대로 하락...농가들은 울상 file 2017.10.11 김주연 11820
단식 투쟁으로 얻은 작지만 큰 희망. 2018.01.15 서호연 12239
다함께 외쳐요, “사지 말고 입양하세요!” 11 file 2016.02.24 박예진 17604
다이지에서 울산 고래 전시간까지...돌고래의 끝없는 고통 3 file 2017.02.28 박설빈 14645
다음, 카카오톡에 이어 이제는 네이버까지... file 2019.06.26 이채린 11752
다시금 되새겨 봐야하는 소녀상의 의미 file 2017.03.26 박서연 10652
다시 한번, 국민의 힘을 증명하다. file 2017.03.21 정영우 11539
다시 찾아오는 광복절, 다시 알아보는 그 의미 5 file 2017.08.10 홍동진 11489
다시 재현 된 우리 민족의 역사, 전주 3·13 만세운동 file 2015.03.25 김진아 31239
다시 일어난 미국 흑인 총격 사건, 제2의 조지 플로이드 되나 2020.08.31 추한영 9038
다시 시작된 코로나19 file 2020.08.26 손혜빈 9644
다시 불거진 문단 내 성폭력, 문단계도 '미투' file 2018.02.28 신주희 12148
다시 보는 선거 공약... 20대 국회 과연? 1 file 2016.04.24 이예린 20600
다시 모습을 드러내기까지 '1073'... 엇갈린 입장 1 file 2017.03.31 4기박소연기자 14159
다시 돌아보는 일본불매운동, 과연 성과는 어느 정도일까? 4 file 2020.10.16 정예람 15417
다시 도마 오른 소년법, 이번에는 바뀔까? file 2020.04.06 한규원 11907
다스는 누구 겁니까? 3 file 2018.02.20 연창훈 11220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 4 2017.03.14 추연종 210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