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자사고 폐지 찬반 여론? "학생 없이 교육 없다."

by 4기한훤기자 posted Jul 19, 2017 Views 1153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대표 없이 과세 없다." (No taxation without representation.) 이 슬로건은 미국 독립 전쟁 당시에 사용된 것으로 미국이 영국의 식민지 시절 가지고 있었던 비애를 가장 적나라하게 표현하였다고 평가받는다. 당시 영국은 7년 전쟁이 남긴 막대한 빚을 충당하기 위해서는 돈이 필요하였다. 영국은 이 같은 문제를 비교적 쉽게 해결하고자 당시 식민지였지만 의원을 가지고 있지 않은 미국에 설탕법이나 인지세법 등을 통과시켜 세원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미국은 이에 불복하였고 보스턴 차사건을 계기로 미국 독립 전쟁이 발발하게 된다. 식민지인들을 무시하고 깔보았던 영국이 제대로 곤욕을 치르게 된 사건이었다.


대한민국 교육 그리고 청소년 관련 문제들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올해 크게 대두되었던 교육 및 청소년 관련 문제는 만 18세 투표권과 문재인 대통령이 공약으로 내걸었던 자사고 폐지 공약이다. 찬성과 반대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문제들이었고 실제로 많은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사회 문제이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 두 문제에는 불편한 공통점이 있다. 바로 당사자들이 빠져 있다는 점이다. 만 18세 투표권아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칠 사회 집단은 만 18세이다. 자사고 폐지 정책이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칠 사회 집단은 대한민국의 현 초, 중, 고등학생이다. 하지만, 그 누구도 이들의 목소리에 귀담고자 하는 노력을 한 적은 없었다. 만 18세 투표권에 반대하는 주요 입장은 고등학교 교실의 정치, 선거장화이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을 한 것은 주로 학교와는 거리가 먼 고령층이었다. 찬성 여론도 마찬가지였다. 일부 정당의 경우, 만 18세 투표권이 대상자들에게 미칠 영향을 분석하기보다는 자신의 정당의 유리한지 불리한지를 비교하고 입장을 바꾸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자사고 찬반 여론도 마찬가지이다. 양측 모두 사교육비와 소득 계층이 어느 학교에 많이 분포하는가? 등으로 정치적 선동 요소가 다소 포함된 것들에만 온 관심을 집중시켰고 학생들이 사교육비로 느끼는 불행이라던가 아니면 자사고와 관련하여 학생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정말로 교육의 문제가 무엇인지를 모색해 본다는 노력은 정당, 언론, 정부를 막론하고 어느 집단에게도 보이지 않았다.

39bcd06df979f773a0e5d025085719c4.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한훤기자]


학생들이 이러한 사회 문제에 무관심하여 벌여진 것은 아니었다. 인터넷 커뮤니티 상에서도, 아니면 학교 자체에서도 학생 및 청소년에 관련된 문제는 꾸준하게 지속적으로 다루어져왔다. 단지, '어른 세계'는 이것이 정치적 혹은 경제적 이익이 되지 않았기에 가볍게 무시할 수 있었던 것이다. '어른 세계'에서 학생의 행복, 권리, 생활 등의 보편적인 것들은 챙기기에는 너무 보잘것없이 보였던 것이다. 그야말로 학생은 '대표 없는 식민지인'에 불과한 것이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한훤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223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954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3859
다문화 가정의 증가, 혼혈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나 2019.05.02 박경주 13167
다뉴브강 유람선 침몰 사고 file 2019.06.07 최예주 10628
다가올 민중총궐기, 혼란의 정치권 file 2017.02.24 진우성 13653
다가오는 추석,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file 2020.09.25 김민지 9330
다가오는 대선과 떠오르는 수개표 3 file 2017.05.03 박윤지 10628
닌텐도 스위치의 가격 폭등 file 2020.05.27 백진이 9930
늙어가는 대한민국, 위기? 기회! 5 file 2016.04.02 김지현 16474
늘어난 14만여 명의 유권자들, 총선거에 어떤 영향 미칠까 file 2020.03.13 이리수 8720
늘어나는 평화의 소녀상에 관하여 5 file 2017.05.16 정수빈 11961
늘어나는 아동학대... 4년 새 2배 늘어 7 file 2016.03.13 남경민 24254
늘어나는 다문화 가정, 한국인 인식은 제자리걸음 2017.12.22 김민지 27806
뉴질랜드 속 코로나19 2020.04.28 박혜린 8102
뉴질랜드 모스크 사원 테러, 어떻게 된 것인가? file 2019.03.29 배연비 12386
뉴욕타임스 전직기자 앤드류 새먼이 전하는 "한국이 매력적인 이유" 2019.05.31 공지현 10381
뉴욕 연은 총재 빅 스텝 가능성 시사…본격적 긴축 시작되나 file 2022.03.28 윤초원 6367
눈물 흘리며 대회장 떠난 초등생들...부산시교육청 드론대회 '수상자 내정' 의혹 file 2023.11.07 김가빈 7215
눈 감을 수 없는 아이들, 눈 감아서 안되는 우리들 2 file 2016.03.25 이봄 15372
누진세 완화 정책 발표, 전기료 부담 줄일 수 있을까? 2018.08.20 김원준 10125
누이 좋고 매부 좋은 '공유 경제' 1 file 2016.03.24 김태경 16775
누림센터,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콘텐츠 제작 및 보급 file 2022.12.30 이지원 5696
누군가의 대변이 치료제가 될 수 있다? 2020.06.18 박혜린 8079
누구의 외교부인가? 4 file 2017.02.25 구성모 14784
누구에 의한, 누구를 위한 9시 등교인가 2014.09.30 권경민 25428
누구를 위한 법인가? 2 file 2018.05.24 심윤지 10712
누구를 위한 건강보험인가 1 file 2017.08.20 김주연 14145
누가 영웅을 쓰러뜨리려 하는가 3 file 2017.05.02 김수민 10544
농정원, 코로나19 전후 명절 선물 트렌드 변화 분석 결과 발표 file 2022.08.31 이지원 6708
농업의 공익적 가치를 헌법에, 1천만 명 서명운동 2017.11.21 강승필 11524
농산물이 일으킨 수출의 문 file 2020.10.05 김남주 8848
논란의 중심인 국적법, 도대체 뭐길래? file 2021.05.24 서호영 8389
논란의 중심 배달의민족 file 2020.04.27 박채니 8827
논란의 정답은 외인사로 끝나지 않는다.; file 2017.06.25 김유진 9075
논란의 기안84... 이번에도 여성 혐오 논란 2 file 2020.08.19 김민결 9390
논란 속의 '페미니즘' 1 2018.04.18 이가영 12457
논란 속 국정화 교과서... 시범학교 신청마감 1 file 2017.02.21 김리아 16369
논란 많은 한국의 페미니즘, 왜? 5 file 2018.08.23 김성백 13242
노화? 제대로 알고 방지하자! 1 2019.01.08 이지은 12359
노트르담 대성장 화재, 그리고 한 달 file 2019.05.21 최예주 11363
노트르담 대성당의 붕괴 file 2019.05.14 양재성 11233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 재건 해야 하나? file 2019.05.10 유예원 12972
노점상, 생계를 위한 불법? 1 file 2016.03.24 김현승 18227
노인 지하철 무임승차, 과연 경제적으로 합당한가? file 2017.11.20 김진모 13130
노인 자살, 도대체 왜? file 2019.05.23 진찬희 12223
노인 복지 정책, 어떻게 얼마나 변했는가? file 2018.07.26 장서진 11838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8주기,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file 2017.05.25 임재우 13087
노로 바이러스, 너의 정체가 궁금하다! file 2018.04.23 박기상 10268
노랑나비, 위안부 할머님들을 위해 날다. 1 file 2016.03.24 강민지 20694
노란 물결이 일렁이는 4월 16일 file 2017.04.16 이지연 119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