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6.25 67주년,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

by 4기정지원기자 posted Jul 05, 2017 Views 1050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4bce2008e3659938e87d481ef9a100f.jpg[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정지원기자]



6.25가 67주년을 맞았다. 당시 목숨을 던져서 싸웠던 미국의 참전용사들이 지팡이를 짚고, 휠체어를 타고 백발의 노인이 되어 한국을 방문했다. 이들은 국립현충원에 들어가 함께 전쟁을 겪었던 호국영령들에게 헌화와 분향을 하며 거수경례로 예를 표했다. 이 참전용사들은 분단의 생생한 현장인 비무장지대 판문점을 둘러보고 6.25 공식 기념행사에 참석하는 등 5박 6일의 프로그램을 가진다. 1975년에 민간단체의 주관으로 시작된 참전용사 재방한 행사는 지난 2010년을 기점으로 현재 국가보훈처가 주관하고 있다.



그럼 여기서 우리나라의 참전용사들은 어떤 대우를 받고 있을까.



현재 정부는 6·25 참전 용사들에게 한 달에 22만 원의 수당을 지급하고 있다. 이것은 과연 이것은 그들이 전쟁에서 피와 땀을 흘려 지금의 대한민국을 만들어 낸 것에 대한 적당한 보상일까.



17살에 1951년 김일성 고지 전투에 참여했던 이종훈 할아버지는 막노동을 전전하다 근육병을 앓게 되었고, 80대인 지금은 다리를 거의 쓰지 못한다. 명예수당인 월 22만 원은 치료비로 턱없이 부족했다. 당시 높은 지위가 아니었던 참전용사들의 상황도 이와 다르지 않았다. 심지어는 국가를 위해 싸웠음에도 인정받지 못해 작은 지원조차 받지 못하는 참전용사들도 있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3일 참전유공자 위로연에서 합당한 대우를 약속했다.



"참전명예수당 인상과 의료복지 확대를 추진해 그 희생과 공헌에 합당한 예우가 이뤄지도록 하겠습니다. "



자유한국당에선 6·25 참전수당을 22만 원에서 40만 원으로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75세 이상 유공자들의 진료비를 국가가 전액 부담하는 법률 개정안이 발의되었다.




6.25에 참전용사들이 있었기에 대한민국이 이러한 발전을 이룰 수 있었다는 것은 누구도 반박하지 못하는 사실이다. 우리는 참전용사들 중 한 명의 이름이라도 알고 있을까? 국민은 이들에게 관심을 갖고 국가는 예산을 확보해 이들을 위한 타당한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 = 4기 정지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이나경기자 2017.07.12 20:39
    예전부터 인식하고는 있었지만 우리나라가 6.25 참전용사분들께 합당한 대우를 못해드린다는 것을 오늘 또 느끼고 갑니다... 정말 그분들이 있었기에 지금 대한민국이 있고 이렇게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인데 정말 부끄럽고 속상합니다ㅠㅠ 이제부터는 문재인 대통령 말씀처럼 꼭 제도가 만들어져서 그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245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982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4144
6.25 D-DAY, 국민들 우려대로 전쟁 일어날까? file 2020.06.29 임지안 8049
6.25 67주년,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 1 file 2017.07.05 정지원 10508
5월, 그리고 가짜 뉴스 2019.05.20 안광무 10924
5월 9일 제19대 대통령 선거, 각 후보들 공약 꼼꼼히 알아보고 꼭 투표해요! file 2017.05.09 김채원 10479
5월 22일 진행된 文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만남 1 2018.06.05 변성우 10519
5대 비리 고위공직 원천 배제 공약 위배 논란, 그것이 알고 싶다. file 2017.05.29 4기박소연기자 12191
5년 단임제, 4년 중임제? 임기 개헌에 대한 국민의 목소리 4 file 2017.02.19 정혜정 26181
5·18민주화운동과 희생자를 기리며 file 2019.05.29 박고은 8977
5·18민주화운동 38주년, 현재는? file 2016.05.27 유진 15626
5·18 퍼지고 있는 거짓들 7 2017.05.19 김형주 10584
5·18 그 날의 광주, 드러나는 진실 file 2017.10.31 정선아 12124
5·18 광주 민주화운동 진실 규명 이뤄지나 … 발포 명령 문서 첫 발견 2 2017.09.01 손서현 10806
5G, 이제 우리의 곁으로 다가왔다 1 file 2019.05.13 11기이윤서기자 14714
5G 그것이 알고 싶다 1 file 2019.06.05 봉정근 12229
5060 신중년 정책, 국민들의 많은 관심이 필요합니다. 1 2017.09.05 김민주 11887
5000년 함께 한 무궁화, 국화가 아니다? 2 file 2019.03.07 박은서 12300
5.18 망언 3인방과 추락하는 자유한국당 file 2019.03.04 정민우 9750
5.18 광주 민중항쟁과 청소년의 사회의식 file 2016.05.22 박채원 14337
4흘째 이어지는 필리버스터,,지금 국회 상황은? 10 file 2016.02.25 최다혜 17903
4차 산업혁명을 향한 중국의 도약, 우리나라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8.03.07 김명진 11631
4차 산업혁명···기계들이 꿰차버릴 일자리? 4 file 2017.02.03 박혜신 19910
4차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시위, 작년 촛불시위와 비교해봤을 때⋯ file 2018.08.13 김진진 11015
4차 민중총궐기, 서울광장에서 진행 5 file 2016.02.27 황지연 16917
4월13일 총선에 대해 알아보자. 5 file 2016.04.10 천주연 18221
4월 한반도 위기설 뭐길래? 1 file 2017.04.21 송선근 10277
47만 명의 청소년이 흡연자, 흡연 저연령화 막아야…. file 2014.08.16 김소정 22806
40년 전 그땐 웃고 있었지만…국정농단의 주역들 구치소에서 만나다 file 2018.03.30 민솔 10793
4.7 재보궐선거 승리한 야당... '혼돈의 정국' file 2021.04.26 오지원 7132
4.7 보궐선거의 결과 그리고 그 이후의 행보 file 2021.04.26 백정훈 104400
4.7 보궐선거가 보여준 민심 file 2021.04.20 서호영 7787
4.7 보궐선거 이후 범야권의 반응은? file 2021.04.19 최원용 7929
4.3 민중의 아픔 속으로 1 file 2018.04.06 오수환 11751
4.13 총선! 야당은 분열 여당은 균열 1 file 2016.04.09 최다혜 17409
4.13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과제 1 file 2016.04.25 강예린 17291
3차 재난지원금 지급,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file 2020.11.27 김성규 24467
3주째 지속되는 미국 캘리포니아 토마스 산불, 그 사태의 현장은? file 2017.12.22 이수연 12979
3월, 어느 봄날의 노래 file 2017.03.25 박승연 10638
3월 9일부터 실시된 마스크 5부제의 현재 상황은? file 2020.03.27 박가은 8187
3월 9일 부분일식 관찰 2 file 2016.03.25 문채하 17015
3대 권력기관 개혁, 경찰 수사권 독립이란? 2018.01.23 김세정 15169
3년동안 끝나지 못한 비극 1 2017.09.28 윤난아 11598
365일 우리와 함께 하는 화학물질 file 2020.05.06 이유정 7893
32번째를 맞이하는 2020년 도쿄 올림픽, 과연 예정대로 열릴 수 있을까? 6 file 2020.02.28 장민우 15238
30년 만에 발의되는 개헌안, 새로운 헌법으로 국민의 새로운 삶이 펼쳐진다. 2 file 2018.03.27 김은서 12580
3.1운동 100주년, 배경과 전개 양상 및 영향을 알아보자 file 2019.04.01 맹호 13112
3.11 이것이 촛불의 첫 결실입니다 2 file 2017.03.18 김현재 10650
2차 북미정상회담, 평화를 위한 발걸음 file 2019.03.04 김주혁 9303
2주 남은 국민의힘 2차 컷오프 경선, 최후의 4인은 누구 file 2021.09.27 윤성현 107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