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중국의 모바일 기기의 확산이 바꾸어 놓은 중국의 독특한 소비문화

by 4기박태림기자 posted Jun 28, 2017 Views 1598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70cf637857660926379dd7bd2326b9c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박태림기자]



중국 현지를 돌아다녀보면 QR코드가 안 보이는 곳이 없다. 광고부터 하여 식당과 심지어는 택시에까지 그 모습을 드러냈다. 무엇이 QR코드의 확산을 도와준 것일까?


QR코드 확산의 배경에는 중국 사람들의 스마트폰 보급률의 상승이 있다. 중국이 급격한 경제성장을 이룸에 따라 IT산업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기존에는 다른 국가의 제품을 따라하는 정도의 수준밖에 안되었다면, 이제는 모방을 바탕으로 추가적인 연구를 하여 그 어느 제품보다도 싸고 질 좋은 스마트 폰을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나 샤오미와 화웨이 같은 자국의 회사에서 싼 제품들을 내놓자 경제적 부담이 낮아져 많은 이들이 스마트 폰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그들의 채팅문화도 큰 변화를 보였다.


비록 1978년부터 강제 시행된 중국의 산아제한 정책(한 가정에 한 아이만 낳도록 하는 정책으로, 이후 출산하는 아이에 대해서는 높은 벌금을 부과하였다.)2014두자녀 정책으로 바뀌었지만 그 여파는 아직 남아있다. 중국의 빈민층은 아이를 낳고도 벌금을 부과하기 힘들어 주민등록을 안 하는 경우도 허다했었다. 국민으로 등록이 안 되어있는 학생의 경우 기본 교육과정을 배울 수 없으므로 이는 중국 문맹률의 상승을 일으켰다. 그 자녀들이 이제 성인이 되어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되었지만, 글을 읽고 쓸 줄 모르는 그들에게 채팅은 무의미했다. 이에 텐센트 사의 위챗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은 짧게 이야기를 전달하는 시스템을 삽입하였다. 덕분에 문맹인 국민들 역시 손쉽게 소통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음성매체사용 위주의 중국 채팅문화의 배후에는 또 다른 이유가 있다. 전자기기의 자판은 기본적으로 영어를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많은 획으로 구성된 중국어사용에는 불편한 점이 있다. 이것이 중국인들이 문자매체보다 음성매체를 주로 사용하게 된 이유 중 하나이다.


그들의 문맹률은 채팅문화 뿐 아니라 소비문화도 바꾸어 놓았다. 산아제한정책으로 인하여 몇몇 중국인들은 언어를 못 배운 것뿐만 아니라 수학역시 배울 수 없었다. 이 때문에 그들은 물건을 사고 팔 때에도 계산이 쉽지 않았다. 그러나 위챗페이를 이용하면 그러한 모든 고민이 사라진다. 카드번호와 비밀번호 입력만으로 카드가 위챗으로 연결된다. 후에는 별다른 과정 없이 채팅을 통해 돈을 송금하기도 하고 이를 이용하여 휴대폰 요금 충전 (중국은 통신 요금 선불제의 경우 본인이 충전하는 돈 만큼의 양을 사용할 수 있다.)도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QR코드를 찍음으로써 정말 간단한 결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서민들의 이용이 잦아졌고, 이는 자연스럽게 QR코드의 확산으로 이어졌다.


중국 베이징을 가면 QR코드로 구걸하는 걸인들도 목격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소비문화의 확산은 어마어마하다. 노점상부터 식당까지 이를 통해 가격을 지불받고, 택시역시 이를 통해 요금을 받기도 한다. 이는 IT를 기반으로 한 4차 산업혁명을 중국이 이끌어 갈 수도 있다는 여지를 보여준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4기 박태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박승미기자 2017.07.03 12:12
    문맹률이 높은 중국에서는 QR코드는 정말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앞으로 중국의 발전이 궁금해지네요. 좋은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0461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7623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0832
박원순 서울시장,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기자들에게 축하 메시지 보낸다 file 2017.07.18 온라인뉴스팀 27736
삼성전자, 게이밍 특화 노트북 ‘오디세이’ 라인업 확대 file 2017.07.17 온라인뉴스팀 14543
학교안 정크푸드, 그린푸드로 4 2017.07.16 김영은 16776
일본을 덮친 맹독성 불개미 1 file 2017.07.15 박형근 19273
수학사 최대의 난제, ‘리만 가설’ 1 file 2017.07.15 정승훈 19476
씨앗의 신비, 먹지만 말고 바라보자 1 file 2017.07.15 백준채 15237
삶의 편리를 증진시켜 주는 인공지능기술! file 2017.07.15 권하민 14636
함꼐 나누는 지구촌 문화 2 file 2017.07.15 조은가은 14887
주민들간에 소통의 벽을 허물어준 평화동네 작은 음악회 2 file 2017.07.13 최희주 16785
[우리는 왜 사진전을 가는가?] 라이프 사진전, 역사와 삶의 ‘리얼’ 이야기를 담다 4 file 2017.07.12 김혜원 34207
보육원의 식사, 건강할까? 1 file 2017.07.11 유지예 15756
교보교육재단, 창의적 인재육성프로그램 체인지 프로그램 성공적 개최 1 file 2017.07.11 이태양 16032
즐거운 하루를 보내고 싶다면 영화 <하루>와 함께 file 2017.07.10 김보미 14512
[사설]시민(時敏) file 2017.07.09 이하영 25278
" 끝나지 않은 전쟁 " 2 file 2017.07.07 이지은 14495
좋아하는 사람과 카톡하면 몇 분 안에 답장할까? 5 2017.07.06 장민경 25310
구름의 생성과정 4 2017.07.04 장민경 17289
놀이기구 속의 숨은 과학 1 2017.07.04 장민경 21803
서울대에서 직접 실험하자 1 2017.07.04 정예림 14876
나영석 피디, 리얼을 재료로 판타지를 만들다 2 file 2017.07.04 김혜원 20198
양파를 썰 때 눈물이 나오지 않게 할 수 있다고? 2017.07.03 장민경 16548
갑자기 사라진 성취도 평가 1 file 2017.07.02 한한나 14164
여행과 가방의 역사 속으로, '비행하라, 항해하라, 여행하라 ? 루이 비통' 전시 file 2017.07.02 김지우 17071
YMUNK, THIS IS OUR WORLD 1 file 2017.07.02 정혜윤 15117
어떤 고민이든 상담해 드립니다. '나미야 상담소' 2 file 2017.07.01 윤하은 14515
6월 5일은? 세계 환경의 날! 2017.07.01 정채린 13391
국민프로듀서님 잘 부탁드립니다; 현대고의 프로듀스 101 시즌 2 열풍 2 file 2017.07.01 김가빈 18743
삼성을 몰락시킨 KIA 타선 2 file 2017.07.01 서재성 15256
내가 직접 만들어서 팔아요. 2017.06.30 박승미 83710
평창 올림픽 D-228, 평창호 탑승자가 되는길! 3 file 2017.06.29 김채현 15035
중국의 모바일 기기의 확산이 바꾸어 놓은 중국의 독특한 소비문화 1 file 2017.06.28 박태림 15982
하멜은 조선에게 무엇을 주었는가 2017.06.28 김용준 14860
워싱턴 Ford's Theater, 링컨의 마지막 흔적을 찾아서 file 2017.06.28 박세은 14268
약학의 눈부신 발전 file 2017.06.28 신온유 16484
가뭄 피해, 남의 일이 아니다. 1 file 2017.06.28 장나은 18154
오프라인 서점이 고전하는 이유 file 2017.06.28 현소연 15212
몸무게를 줄이고 싶다면? file 2017.06.27 오정윤 17451
신개념 공포영화 <겟 아웃>, 관객들에게 놀라움을 선사하다 2 file 2017.06.27 윤혜인 14646
인천 동구의 자랑, '달빛거리 송현 야시장' file 2017.06.27 한지민 28743
6월은 호국보훈의 달 1 file 2017.06.26 조희경 13906
되돌아온 AI, AI에 대해 알아보자 file 2017.06.26 조민재 15951
에어버스의 야심작, A350 file 2017.06.26 신준영 15163
우리의 외출을 방해하는 미세먼지! 예방법은? file 2017.06.26 곽서영 14912
지역 간 불균형 성장,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file 2017.06.25 박수지 20457
새로운 소비생활을 창출하다, 노브랜드. 1 file 2017.06.25 윤선애 14840
환경문제 인식? 어렵지 않아요! 1 file 2017.06.25 안옥주 20786
2017 민주평통 고등학생 통일골든벨 경북지역 본선대회 개최 1 file 2017.06.25 정명주 17591
네팔 아이들과 함께했던 꿈 같았던 9일 1 file 2017.06.25 이가은 147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