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하멜은 조선에게 무엇을 주었는가

by 4기김용준기자 posted Jun 28, 2017 Views 1486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7세기에서 19세기까지 서양인들이 조선을 접할 수 있는 책은 하멜 표류기가 거의 유일했다. 하멜 표류기는 하멜이 13년간 밀린 임금을 받기 위해 동인도회사에 제출한 보고서이다. 서구 중심적이고 조선을 폄하하는 내용이 많이 담겨 있다는 비판도 존재하나 17세기 조선의 생활사를 자세하게 기록한 최초의 서양 도서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있다.

KakaoTalk_20170625_12513949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김용준 기자]

하멜은 1652년 일본 나가사키로 향하던 중 제주도 부근에서 폭풍을 만나 표류하게 된다. 정부에서 보낸 군대에 의해 압송되어 한 달간 한양으로의 긴 여정을 하는 중 조선에 큰 관심을 갖게 된다. 당시 북벌을 계획하던 효종이 하멜을 기술자로 이용하려 훈련도감에 소속시키지만 일반 선원이었던 그는 딱히 정부에서 원하는 기술들을 갖고 있지 않았다. 그래서 하멜 일행은 효종의 친위대로 이용된다. 신기한 외모에 우람한 체격이 효종의 권위를 높여준다는 생각에서였다. 그런데 하멜 일행 중 두 명이 탈출을 시도하는 사태가 벌어지면서 정부에서 이들을 신뢰하지 못하게 된다. 사형 직전까지 갔던 일행은 효종의 극심한 변호로 전라병영 유배로 감형된다. 1666년 즈음 일행은 전라 좌수사가 요구한 노역을 회피하고 돈을 모아 동네 어부의 어선을 구매한다. 북벌에 대한 희망도 사라지고 하멜의 기술력 또한 별 볼 일 없으니 정부에서 이들의 탈출을 방조했다는 설도 있다. 일본에서 1년간의 체류 후 네덜란드로 송환된 하멜이 펴낸 책이 하멜 표류기와 조선 왕국기이다. 하멜 표류기에 대한 관심이 커지자 동인도회사에서는 하멜에 13년 치 봉급을 모두 지급하고 조선과 직접 교역할 계획을 세운다. 하지만 일본의 반대로 무산된다. 한편 일본은 하멜의 일본 체류 당시 조선에 대한 정보를 캐물을 목적으로 억류시켰다고 한다. 하멜 표류기에 있는 몇 가지 주요 내용을 보면서 조선의 당시 상황을 파악해보자.

-이 나라는 인구가 많지만 생산력이 풍부해 삼남지방의 곡물과 면화로 자급자족한다.

-조선은 산맥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다.

- 양반과 노비는 세금을 내는 것 외에는 의무가 없으며 국민의 절반은 노비다.

- 왕에게 항거하거나 왕위를 찬탈하려는 사람은 멸족을 당했다.

- 조선인들은 단지 12개의 국가만 알고 있으며 우리를 남만국으로 불렀다.

- 승려들은 거의 존경을 받지 못하며 그 나라의 노비와 다를 바 없었다.

- 일반인들은 장님이나 무당을 의사로 삼으며 그들의 충고를 따랐다.

- 양반과 평민들은 자식들의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다.

- 남자는 그의 부인이 몇 명의 아이를 낳았어도 내쫓을 수 있고 다른 여자를 부인으로 맞아들일 수 있었다.

- 부모가 여든 살 정도 되면, 맏아들이 재산을 물려받아 부모의 여생을 돌봤다.

- 조선인들은 너무나 착하여 남의 말을 쉽게 듣는 대신에 훔치고, 거짓말하는 등의 성격이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4기 김용준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0546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771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0963
'서울환경영화제' 성공리에 막을 내리다 1 file 2016.05.28 임선경 16027
전농로 벚꽃 축제, 외국인도 즐기고 싶어요! file 2016.05.28 임주연 15701
동남아시아의 빈부 격차, 과연 해결이 가능할까? 1 file 2016.05.28 임주연 23836
부천시 석왕사 연등축제 성료 file 2016.05.28 백재원 17633
지구촌이 한마음 한뜻으로 벌이는 즐거운 축제 file 2016.05.27 박가영 14900
책가방 대신 카메라를 메고 교실 밖으로 나온 여고생 슬구를 아십니까? 2 file 2016.05.27 김윤정 17032
변화를 향한 목소리!, 제13회 "서울환경영화제" 폐막 file 2016.05.26 신재윤 15228
2016년 공정무역 축제를 다녀오다 2 file 2016.05.26 이지은 15278
제 13회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6.05.26 강지희 14877
소신을 실천으로! 서산학생자치연합동아리 '너나들이' 1 file 2016.05.25 김승원 26637
제 13회 서울환경영화제가 열리다! 2 file 2016.05.25 강예린 15590
뜨거웠던 오월의 그날을 우리는 이렇게 기억해요! ? 제 16회 518마라톤대회 file 2016.05.25 오지은 14413
기성용의 현재날씨는 '구름많음'입니다. [한국인 프리미어리거 총결산 ?기성용] file 2016.05.25 이진호 15240
서울삼육고등학교배 축구대회 개최! 2016.05.25 임은석 15298
서울의 이색 대회 '멍때리기 대회' 1 file 2016.05.25 최찬미 15506
느낌이 있는 방송? 설움이 있는 방송! 2 file 2016.05.25 이세빈 15596
쉽게 읽히고 강하게 와닿는 작가 박완서 1 file 2016.05.25 박정선 16249
세상을 변화시키는 윤리적 소비, 공정무역 file 2016.05.25 김태경 17630
5월 5일 어린이날, 꿈 키움 축제 현장 file 2016.05.25 류보형 15888
압구정중학교 영자신문반 살리기 프로젝트 file 2016.05.25 박지우 18579
세종대왕 탄생일을 아시나요? 1 file 2016.05.25 강기병 19141
[5.17~5.19] '약속의 땅 포항' 삼성, 한화에 위닝시리즈 1 2016.05.25 백소예 14558
양평 속 하늘, '천사의 집' file 2016.05.24 조혜온 19203
왓챠, 새 스트리밍 서비스의 장을 열다 3 file 2016.05.24 이지원 23453
현대인들의 운동부족,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6.05.24 김나연 28017
놀자 페스티벌에서 놀자!! file 2016.05.24 김보현 15650
새로운 전략만이 살아 남는다 file 2016.05.24 박지윤 15796
어서와, 펜팔은 처음이지? file 2016.05.24 김은진 19444
마지막을 장식하다 2016.05.24 김지현 13966
C페스티벌 file 2016.05.24 박상민 17657
부산 세계인과 함께하는 어울마당 개최 file 2016.05.24 노태인 14735
아듀 경기도차세대위원 16기 그리고 새로운 발걸음을 내딛은 경기도차세대위원 17기 file 2016.05.24 송윤아 14740
이해찬 선거사무소 조상호 실장을 만나다 file 2016.05.23 최선빈 15066
당신의 역사 상식 수준은? 2 file 2016.05.23 이민정 15443
부처님 오신날 우리들의 시민의식 1 file 2016.05.23 신동현 14648
포항의 경제 중심지, 죽도시장으로 오이소! file 2016.05.23 권주홍 18119
나라 사랑 캠페인, 그리고 애국 file 2016.05.23 이지웅 16078
수원에서 하나된 다문화 가족들!!! file 2016.05.22 박성우 18863
제 2의 윤동주를 찾는다! 제 9회 구로구민백일장 file 2016.05.22 백현호 13914
외국인 연수자들에게 뜻 깊은 시간을 선사하자 KOICA 학생도우미 봉사단 file 2016.05.22 최윤철 16539
여주의 자랑, 제 28회 여주도자기축제 file 2016.05.22 최서영 16739
오늘따라 더 행복한 소리가 들렸던 것 같은 그 곳, '프란치스코의 집' file 2016.05.22 심세연 17560
2016년 트렌드, 정교한 감각과 평범함의 향연 file 2016.05.22 한세빈 16732
5.18의 정신, 하나로 달리는 마라톤 file 2016.05.22 3기김유진기자 15990
자연과 먹거리, 13회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6.05.22 김현승 16248
수원의 자랑, 외국인들을 위하여 file 2016.05.22 김현구 15459
우리시대의 전태일을 응원한다! file 2016.05.22 이강민 14293
요즘은 '소논문'이 대세?! 1 file 2016.05.22 천예영 179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