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미국 전역 애도 물결 , 웜비어

by [4기조채은기자] posted Jun 27, 2017 Views 1088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70623_004358.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조채은기자]

 


대학생 오토 웜비어는 북한에 억류됐다가 혼수상태로 미국에 송환된 직후 숨을 거두었다. 장례식이 그의 고향(웜비어의 모교인 오하이오 주 와이오밍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졌다. 많은 주민들이 이 자리에 참석해 22살 젊은 나이에 숨진 웜비어의 마지막 모습을 지켜보았다. 웜비어는 이후 고향인 신시내티에 있는 오크 힐 공동묘지에 묻혔다. 장례식 주최 측은 "가족과 함께 웜비어의 생애를 기리고자 하는 분들은 진심으로 환영한다."라고 밝혔다. 웜비어의 안타까운 소식을 접한 많은 주민들이 이 자리에 참석하며, 와이오밍에는 진중한 애도 분위기가 확대되어 미국 전역에 애도물결이 흐른다.

윔비어가 정치 선전물을 훔치려한 혐의로 체포되었고 잇따라 체제전복 혐의로 15년 노동교화형을 선고받았다. 더 자세히 알아보자면 정치적 선전물은 훔치려한 것이기보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사진이 실린 노동신문으로 신발을 샀다는 것, 신문 지면에 흙이 묻어있다는 사실에 많은 비난을 받고 이로 인해 구속된 것이다. 그는 지난해 1월 관광차 북한을 방문하였지만 결과는 비극적이었다. 이에 따라 전 세계가 20163월 평양에서의 기자회견을 하는 영상을 주목하게 되었다. 그 영상 속 웜비어는 최근의 혼수상태로 석방되던 모습과는 매우 다르게 건장한 청년의 모습으로 자신의 잘못을 호소하며 세상을 잃은 듯한 표정을 짓고 있었다.

더불어 더 주목해야 될 점은 북한은 지난해 3월, 그가 식중독 증세인 보툴리누스 중독증을 보이고 수면제 복용 후  코마에 빠졌다고 주장한다. 다만 의학 전문가들은 젊은 나이에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일도 아니고 고문 가능성도 있고, 어떤 원인이든 적절히 치료했으면 결과가 달랐을 것이라며 이송지연 책임을 주장하는 상태이다. 그의 사망원인이 미궁에 빠져있는 상태에 미국은 웜비어의 시신을 부검하여서 사망 사유를 정확히 밝혀낼 예정이었지만 유가족들의 반대로 검시관실 업무 일지에도 웜비어의 사망원인을 적는 공간에는 '미결'이라고만 적혀 있었다.

원래 미사일, 핵 실험의 도발로 국제관계가 안 좋은 지금 웜비어 사건으로 인하여 북한과 미국사이의 냉혹하고 차가운 기류가 더욱 심해질 것이라고 예상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 4기 조채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이하영기자 2017.07.18 15:45
    알고있던 사건이라 흥미롭게 기사를 읽었습니다. 양각도 호텔에 대한 이야기도 함께 다루었으면 조금 더 이해하기 쉽고, 많은 사람들이 관심 갖게 될 것 같습니다:) 좋은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4기강지오기자 2017.07.24 19:48
    잘 알지 못했던 웜비어 사건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되었네요 좋은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4기강지오기자 2017.07.24 19:49
    잘 알지 못했던 웜비어 사건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되었네요 좋은 기사 잘 읽고 갑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322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097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4955
선거연령 하향, 이제는 시작될 때 3 file 2017.05.24 김혜빈 12773
치열했던 선거 경쟁, 이후 후보들의 행적은? 2 file 2017.05.25 정유림 10415
헛되지 않은 우리의 선택, 문재인 대통령 4 2017.05.25 성유진 12484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 '달빛 정책' file 2017.05.25 최서진 11437
외감법 개정, 때로는 엄격하게 때로는 자유롭게 file 2017.05.25 홍은서 10636
J노믹스의 경제인은? file 2017.05.25 김찬 10552
민주주의 대한민국의 한 줄기 빛이 되어줄 그대 2 file 2017.05.25 김재원 10678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8주기,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file 2017.05.25 임재우 13105
참정권 없는 청소년, 또 한 번의 권리개혁 이루어질까 1 file 2017.05.25 최유진 15566
문재인 대통령, 국민의 바람 이뤄줄까 file 2017.05.25 서은주 12538
같은 하늘, 같은 시간, 다른 곳에서 2 2017.05.25 류지현 13131
2017 대선의 숨은 모습을 찾다 file 2017.05.26 구성모 10797
한류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한령 2 file 2017.05.26 유수연 12365
문재인 대통령의 주황색 넥타이··· 독도가 우리나라 땅인 이유는? 3 file 2017.05.27 이다호 11034
당연하게 된 사교육, 원인은? 3 file 2017.05.27 김혜원 14651
괘씸한 일본… 일본의 역사 수정주의 file 2017.05.28 남희지 14303
문재인 시대, 새로운 외교부 장관 후보 강경화 3 2017.05.28 김유진 14248
강경화, 문대통령의 5대 인사원칙 무시하고 외교부장관 되나 file 2017.05.28 천세연 12200
5대 비리 고위공직 원천 배제 공약 위배 논란, 그것이 알고 싶다. file 2017.05.29 4기박소연기자 12205
조금은 특별했던 장미대선, 투표율은 어땠을까? 2 file 2017.05.29 정경은 11652
미세먼지, 이렇게 계속 안심하고 있어도 되는가? 2 file 2017.05.30 김보경 10333
아리아나 그란데, 맨체스터 아레나 공연 중 테러 7 file 2017.05.30 서주현 12680
새 정부의 5.18 4 file 2017.05.30 이주현 10776
사드 아직 끝나지 않은 3 file 2017.05.30 김도연 12323
선거 연령 하향의 효과와 우려 7 file 2017.05.31 김지민 27086
광화문 1번가-국민의 목소리 file 2017.06.05 한지선 10765
2017 대선, 그리고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 2 file 2017.06.06 최현정 11338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악성루머 유포자 법적조치, 사이버수사대 의뢰…선처없다" (공식입장) file 2017.06.06 온라인뉴스팀 13081
전세계의 관심을 받은 그의 경제 정책 2 file 2017.06.08 이종은 11504
미국의 파리협약 탈퇴- 위기의 기후협정 file 2017.06.10 김민진 14640
런던 시민들의 분노가 폭발했다 3 file 2017.06.19 박형근 11345
트럼프와 러시아 사이에는 과연 무슨 일이 있었는가? file 2017.06.21 박우빈 11822
한반도의 판도라의 상자, 고리 1호기의 영구폐로 3 file 2017.06.22 이빈 11393
6월 20일 세계 난민의 날 ? 난민들의 서글픈 현실 file 2017.06.23 노태인 10418
쓰촨 성에서 산사태 발생, 140여 명 매몰 1 file 2017.06.24 박유빈 10947
대한민국 교육정책, 장미대선으로 뒤바뀌다. 1 file 2017.06.24 윤은서 9664
'오토 웜비어'의 사망 이후, 상반된 북미 반응 2 file 2017.06.24 이윤희 11064
자율형 사립고와 외국어고 폐지, 과연 올바른 해결책인 것인가? 2 file 2017.06.25 이지연 12487
문재인 대통령 사교육폐지, 외고와 자사고 일반고 전환까지? 3 file 2017.06.25 박유진 11017
공정한 취업의 신호탄, 블라인드제 1 file 2017.06.25 황현지 11938
논란의 정답은 외인사로 끝나지 않는다.; file 2017.06.25 김유진 9101
도넘은 야당의 발목잡기 file 2017.06.25 손수정 10140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통역 없는 접견'에 대한 엇갈린 반응 1 file 2017.06.26 이소영 11063
스윙 보터? 게리맨더링? 캐스팅보트? 1 file 2017.06.26 강민 14968
문대통령 '사드 합의 공개' , 한·미 정상회담에 미칠 영향은? file 2017.06.26 곽다영 9716
올해 다사다난했던 영국 사건들 1 file 2017.06.27 이태호 10471
외고 자사고 폐지, 과연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는? 3 2017.06.27 고은빈 12137
미국 전역 애도 물결 , 웜비어 3 file 2017.06.27 조채은 108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