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스윙 보터? 게리맨더링? 캐스팅보트?

by 4기강민기자 posted Jun 26, 2017 Views 1497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많은 분야가 그렇듯 정치에도 관련 용어가 있다. 이런 용어들을 알아둔다면 언젠가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을 것이다. 당신도 어디선가 들어봤을법한 정치 용어 몇 가지를 소개한다.


#1: 오락가락 스윙 보터

스윙 보터(swing voter)는 대선, 총선 등 선거에서 누구에게 투표할지 결정하지 못한 유권자를 말한다.

이들 스윙 보터는 선거때마다 지지 정당과 후보가 달라진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스윙 보터 지역은

충청도를 뽑을 수 있다. 충청도는 지역정당이었던 선진통일당이 18대 대선을 앞두고, 새누리당과 합당하면서 보수 강세 지역이 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그러나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충청권의

광역자치단체 4개 선거구(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충청북도)를 모두 새정치민주연합이 싹쓸이했다. 미국에서는 스윙 스테이트(swing state)라는 말이 있는데, 진보와 보수가 박빙인 부동층 주를 뜻한다. 예를 들어 오하이오주, 네바다주가 있다.



#2: 도마뱀 모양의 게리맨더링

게리맨더링(Gerrymandering)은 선거구를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1812년 미국에서, 매사추세츠 주지사였던 엘브리지 게리는 공화당에 유리한 방향으로 선거구를 조정했는데, 그 모양이 해괴한 도마뱀 모양이 되었다. 신화 속의 동물인 샐러맨더(Salamander)와 게리를 합쳐 게리맨더링이 되었다.



#3: 팽팽할 땐? 캐스팅보트!

캐스팅보트(casting vote)는 합의체의 의결에서 가부()가 동수인 경우에 의장이 가지는 결정권이다. 이는 헌법 49조에도 나와있다. 또한 원내 1당과 원내 2당의 의석 수가 비슷할 때 원내 3 당이 주도권을 쥘 때도 쓰인다. 지난 2016년,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당시 새누리당)의 의석 수가 단 1석 차이일 때, 국민의 당이 캐스팅보트를 쥐고 있단 평가를 받았다.


캡처.PNG

▲ 20대 총선 당시 안철수 공동대표는 제3 당 체제를 성공시켰다. 국민의 당은 캐스팅보트 역할을 하게 된다. 

[이미지 제공= (st_leo)님 네이버 블로그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을 허락 받음']


#4: 오리처럼 뒤뚱뒤뚱, 레임덕

레임덕(Lame duck)은 대통령 등 고위 공직자의?임기 말을 말한다. 뒤뚱뒤뚱 거리는 오리처럼, 임기 수행에 문제가 생겼을 때 이 말을 쓴다. 임기말 증후군, 권력 누수 현상이라고도 한다. 꼭 임기 말이 아니라도 여소 야대 상황도 레임덕 현상이라 지칭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강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376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170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5596
선거 연령 하향의 효과와 우려 7 file 2017.05.31 김지민 27097
사드 아직 끝나지 않은 3 file 2017.05.30 김도연 12336
새 정부의 5.18 4 file 2017.05.30 이주현 10779
아리아나 그란데, 맨체스터 아레나 공연 중 테러 7 file 2017.05.30 서주현 12683
미세먼지, 이렇게 계속 안심하고 있어도 되는가? 2 file 2017.05.30 김보경 10340
조금은 특별했던 장미대선, 투표율은 어땠을까? 2 file 2017.05.29 정경은 11665
5대 비리 고위공직 원천 배제 공약 위배 논란, 그것이 알고 싶다. file 2017.05.29 4기박소연기자 12217
강경화, 문대통령의 5대 인사원칙 무시하고 외교부장관 되나 file 2017.05.28 천세연 12205
문재인 시대, 새로운 외교부 장관 후보 강경화 3 2017.05.28 김유진 14253
괘씸한 일본… 일본의 역사 수정주의 file 2017.05.28 남희지 14313
당연하게 된 사교육, 원인은? 3 file 2017.05.27 김혜원 14659
문재인 대통령의 주황색 넥타이··· 독도가 우리나라 땅인 이유는? 3 file 2017.05.27 이다호 11043
한류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한령 2 file 2017.05.26 유수연 12384
2017 대선의 숨은 모습을 찾다 file 2017.05.26 구성모 10813
같은 하늘, 같은 시간, 다른 곳에서 2 2017.05.25 류지현 13133
문재인 대통령, 국민의 바람 이뤄줄까 file 2017.05.25 서은주 12544
참정권 없는 청소년, 또 한 번의 권리개혁 이루어질까 1 file 2017.05.25 최유진 15573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8주기,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file 2017.05.25 임재우 13116
민주주의 대한민국의 한 줄기 빛이 되어줄 그대 2 file 2017.05.25 김재원 10687
J노믹스의 경제인은? file 2017.05.25 김찬 10560
외감법 개정, 때로는 엄격하게 때로는 자유롭게 file 2017.05.25 홍은서 10644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 '달빛 정책' file 2017.05.25 최서진 11445
헛되지 않은 우리의 선택, 문재인 대통령 4 2017.05.25 성유진 12491
치열했던 선거 경쟁, 이후 후보들의 행적은? 2 file 2017.05.25 정유림 10422
선거연령 하향, 이제는 시작될 때 3 file 2017.05.24 김혜빈 12784
‘만 18세 선거권’, 그 양날의 검 2 2017.05.24 김윤혁 13018
청천 프로젝트: 한중 공동의 미세먼지 해결법 2 file 2017.05.24 임형수 12443
1270차 수요집회-1270번째 대답없는 메아리 2 2017.05.24 이하은 10759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발포명령자들 file 2017.05.24 박민서 9986
제19대 ‘문재인 대통령’에게 바란다 1 file 2017.05.24 김소희 10702
제25대 프랑스 대통령, ‘마크롱’그가 내세운 공약은? 1 file 2017.05.24 최현정 11668
'소프트 타깃' 테러 언제까지 이어질까 file 2017.05.23 유규리 11387
트럼프 역대 최저 지지율, 등돌리는 여당 지지자들 1 file 2017.05.23 장진향 10305
문재인 정부 15일, 야 4당의 자세는? file 2017.05.23 박찬웅 10381
문재인의 대한민국 file 2017.05.23 최우혁 10641
북한인권법은 미국의 정치적 카드? 2 file 2017.05.23 김윤혁 11194
제임스 코미의 해고 사건, 트럼프에게 위협적인 존재? file 2017.05.23 류혜원 10653
SBS, 또 터진 일베논란 3 file 2017.05.22 추연종 16014
한중관계, 깊어지는 감정의 골 1 2017.05.21 유승균 11316
문재인 대통령이 지켜야 할 경제 공약들 file 2017.05.21 박민우 9424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모두가 행복할 변화인가? file 2017.05.21 한윤정 11108
10대 청소년, “우리를 위한 정책은 어떻게 만드나요?” 2 file 2017.05.21 홍세영 10052
19대 대선의 여담 2 file 2017.05.21 강민 10677
19대 대선, 대한민국의 미래 file 2017.05.20 이동준 10601
끈임 없이 존재하는 지역별, 세대별 투표 경향성에 대하여 file 2017.05.20 안준혁 11188
청소년에게 듣는 '19대 대선과 대한민국' 1 file 2017.05.20 박상민 10914
국정 교과서 논란, 무엇이 옳은가 file 2017.05.20 박하영 10493
5·18 퍼지고 있는 거짓들 7 2017.05.19 김형주 105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