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논란의 정답은 외인사로 끝나지 않는다.;

by 4기김유진기자(정치부) posted Jun 25, 2017 Views 91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논란의 정답은 외인사로 끝나지 않는다.>


6월 16일, 지난 2015년 11월 경찰의 집회 진압용 물 대포를 맞아 쓰러져 결국 숨을 거둔 고 백남기 농민 사건에 대해 처음으로 공식 사과하고 재발방지책도 약속했다. 경찰은 그동안 객관적 사실 규명이 우선이라며 사과 표명을 미뤘지만 백씨를 치료했던 서울대병원이 사인을 ‘병사’에서 ‘외인사’로 수정해 경찰의 책임소재가 분명해지자 잘못을 인정하는 쪽으로 입장을 바꿨다.


2년 전, 박근혜 정부의 노동정책(노동개혁, 청년실업 등),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세월호 참사 진상 규명 소홀, 농민 문제, 빈곤문제 등에 항의하여 제1차 민중 총궐기가 일어났다. 박근혜 탄핵과 현재의 사회를 이끌어낸 사건의 시작이었다. 하지만 이 중에 백남기 농민의 희생이 숨어 있었다. 2015년 11월 14일, 박근혜의 공약인 쌀 수매가 인상 공약 이행을 촉구하기 위해 서울 광화문 일대에서 열린 투쟁대회에 참석하여 경찰 버스에 매인 밧줄을 단신으로 당기다가 경찰이 쏜 물 대포에 맞아 쓰러졌다. 이후 서울대학교병원 중환자실로 옮겨져 4시간가량 수술을 받았으나, 결국 317일간 중태에서 깨어나지 못하고 2016년 9월 25일, 향년 68세로 생을 마감하였다.

지난 2016년 9월 12일, 국회에서 백남기 청문회가 일었으며 10월 6일 이에 따라 백남기 농민이 ‘외인사’냐, ‘병사냐’며 재 논란이 일어난 뒤로도 8개월이 지났고 사건이 일어난 뒤 1년 5개월이 지났다. 이제야 밝혀진 진실......


d11b8c4a054472a64f470b2a4a5bd30c.jpg

[이미지 출처 = 한겨례, 신소영 기자 - - 출처 밝힐시 사용 허가 받음]

지난해 11월 5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성당에서 열린 백남기 농민 장례 미사를 마친 운구행렬이 노제가 열리는 서린사거리를 향해 행진을 시작하고 있다.


작년, 필자는 스크랩을 하면서 백남기 농민 사건이 이슈가 된 이유를 크게 세 가지로 봤었다.

첫째는 정부의 (최루액을 섞은) 살수차 사용이다. 지금이 1970년대도 아닌 21세기에 들어와 개개인의 인권/자유권/사회권/청구권이 확실하게 주어졌으며 보장받아야 하는데, 오히려 ‘민중의 지팡이’ 경찰은 이를 역 이용했다. 집회에 참여하지 않은 다른 사람들과 차량 이동에 방해된다며 차벽을 세우고(2011년 헌법재판소 위헌 판정), 폭력 등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둘째, 백남기 씨의 생애를 보자. 그는 1980년 민주화 운동을 하다가 제적을 당하고, 퇴학을 당했고, 징역을 살다 나온 투철한 민주 시민이다. 그 누구보다도 국가에 자신의 의견을 똑똑히 밝히고, 그 누구보다도 우리의 말을 대변해 주는 사람이며, 그 누구보다도 우리를 위해 발 벗고 나선 인물 중 한 사람일 것이다. 하지만 국가는 민주화 운동 당시 ‘죽은’ 사람들만 기억해 준다. 우리나라의 민주화를 위해 노력한 사람들의 공로들은 인정하지 않은 것에 충족치 못했는지, 그러한 민중의 선구자들을 이렇게 허무한 죽음으로 몰아가서야 되겠냐는 말이다.

셋째, 국가의 회피이다. 백남기 씨가 “물 대포”에 맞아 넘어져 다쳤다는 확실한 증거자료가 있으며 경찰 또한 물 대포에 의한 외상임을 인정했다.(서울중앙지법 민사 42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국가의 이름을 내걸고 한 사람, 아니 민중의 대표의 죽음마저 무시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퇴보요, 전제 왕권의 시작임에 틀림없다고 지적했었다.


1년 8개월이 지난 현재, 이제 겨우 세 번째 주장인 ‘국가의 회피’에 대한 입장이 밝혀졌다. 하지만 당시 그들의 권력을 남용한 경찰들의 진심 어린 사과와, 백남기 씨와 같은 민중의 선구자들에 대한 정확한 보상은 언제쯤 가능하게 될 것인가? 모든 논란을 ‘외인사’라고 적어 무마하려는 국가의 응답은 과연 적절한 조치였을까? 하나씩 드러나는 진실에 감사하기도 하지만 더욱 분해 지기도 한다. 국민을 위한 나라가 어서 자리를 잡아 누구나 자신의 의견을 표출하고 드러내는 일에 대해 부끄럼 없이, 어떠한 위협 없이 당당히 밝힐 수 있는 날이 오길 손꼽아 기다린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 = 4기 김유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434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238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6253
美 대통령 트럼프 코로나19 확진... "곧 돌아올 것" 2020.10.14 임이레 7683
12월 13일 조두순 출소...청소년들의 공포감 6 file 2020.10.15 김지윤 10763
다시 돌아보는 일본불매운동, 과연 성과는 어느 정도일까? 4 file 2020.10.16 정예람 15624
한국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결선 진출 2 file 2020.10.21 차예원 11168
최종적 무죄 판결, 이재명 파기환송심 무죄 file 2020.10.21 전준표 13037
내년 3월부터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 그 함의는 무엇인가? file 2020.10.22 정지후 8913
백신, 안전한가? 1 file 2020.10.22 홍채린 8521
불법 신상 유포 웹사이트 발목 잡는 '사실적시 명예훼손죄' file 2020.10.26 나영빈 10971
공포가 된 독감백신‧‧‧ 접종 후 잇따른 사망 1 file 2020.10.26 윤지영 8363
인천국제공항 드론 사건 1 file 2020.10.26 이혁재 10224
예방인가? 위협인가? file 2020.10.27 길현희 8916
대선 전 마지막 TV 토론, 코로나19 대응 관련 주제로 팽팽히 맞선 트럼프-바이든 file 2020.10.27 박수영 7753
문재인 대통령, 유명희 지지 총력전 1 file 2020.10.28 명수지 7855
'의료계 총파업', 밥그릇 챙기기인가 정당한 투쟁인가 file 2020.10.29 유서연 8356
독감백신 사망자 점차 증가 1 file 2020.10.29 박정은 8258
1년째 계속되는 산불, 결국 뿌린 대로 거두는 일? 1 2020.10.29 김하영 9286
삼성그룹 회장 이건희, 78세의 나이로 별세 1 2020.11.02 조은우 8918
독감 백신, 대체 어떤 종류가 있길래? 4 2020.11.02 김태은 13872
미 대선 마지막 토론… 트럼프, 김정은과 “특별한 관계”…바이든, “비핵화 위해 김정은 만날 것” file 2020.11.02 공성빈 11112
바이든을 지지한 "너희가 멍청한 거야", 전 민주당 소속 여성 리더가 말하다 1 file 2020.11.03 김태환 12022
복잡한 미국의 대선 방식, 어떻게 진행되고 왜 그럴까? file 2020.11.04 김진현 13911
아파트 값과 전세값 앞으로는? 1 file 2020.11.05 박범수 9662
영국의 코로나 거리두기 3단계 선포, 과연 우리나라와는 어떻게 다를까? 3 file 2020.11.05 염보라 16236
카멀라 해리스, 美 최초의 여성 부통령으로 당선 2 file 2020.11.09 임이레 9481
‘2020 삼성행복대상’ 수상자 발표..김하늘 학생 등 청소년 5명 수상 file 2020.11.11 디지털이슈팀 9190
코로나 백신, 가능할까? 1 file 2020.11.13 이채영 8505
조 바이든, 미 대선 승리 1 file 2020.11.13 최서진 7911
조작된 공포. 외국인 이주노동자 1 2020.11.16 노혁진 8632
빌 게이츠의 꿈, 원자력 발전소로 이룬다 file 2020.11.17 최준서 12472
코로나19 나흘째 확진자 200명 대, 좀처럼 끝나지 않는 줄다리기 file 2020.11.18 이준형 9054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19일 0시부터 1.5단계로 격상 file 2020.11.18 이유진 8134
'전태일 정신 계승' 전국노동자대회 그리고 전태일 3법 1 2020.11.19 이정찬 8568
국내 인구 60%가량 접종할 백신, 그 효력은? 1 file 2020.11.19 임윤재 7936
선거인단, 그게 무엇일까? 2 file 2020.11.19 김나희 10113
정세균 총리, '코로나 대규모 확산의 길에 서 있는 일촉즉발의 상황' 1 file 2020.11.23 명수지 8172
변종 코로나바이러스, 밍크에서 발견 1 file 2020.11.23 오경언 8918
GDP 추정치로 알아본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타격, 어느 정도인가? 1 file 2020.11.23 김광현 9246
"우한은 코로나19 기원지 아니다" 다시 시작된 중국의 주장 1 file 2020.11.23 박수영 8164
블라디보스토크, 첫눈처럼 눈보라로 가겠다 2020.11.23 오예린 7994
심상치 않은 미국대선, 존재하는 변수는? file 2020.11.24 정예람 11674
유력 美 국방장관 후보 플러노이, '72시간 격침' 기고문서 군사 혁신 강조 3 file 2020.11.24 김도원 12893
야심 차게 내놓은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방안' 과연 효과는? file 2020.11.24 김아연 8403
코로나19 백신, 팬데믹 해결의 열쇠가 되나 1 file 2020.11.24 임성경 8399
미리 보는 2022 대선, 차기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 조사분석! 2020.11.25 김성규 20429
코로나19 시대, 학교는 어떻게 바뀌었나? 1 file 2020.11.25 전혜원 7603
미국 대선의 끝은 어디인가? 1 file 2020.11.25 심승희 9664
조 바이든 당선인과 첫 통화 후 2주, 한미 관계는? 1 file 2020.11.26 임솔 8552
최대 90% 효과? 코로나 백신 화이자 1 file 2020.11.26 김태완 81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