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논란의 정답은 외인사로 끝나지 않는다.;

by 4기김유진기자(정치부) posted Jun 25, 2017 Views 91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논란의 정답은 외인사로 끝나지 않는다.>


6월 16일, 지난 2015년 11월 경찰의 집회 진압용 물 대포를 맞아 쓰러져 결국 숨을 거둔 고 백남기 농민 사건에 대해 처음으로 공식 사과하고 재발방지책도 약속했다. 경찰은 그동안 객관적 사실 규명이 우선이라며 사과 표명을 미뤘지만 백씨를 치료했던 서울대병원이 사인을 ‘병사’에서 ‘외인사’로 수정해 경찰의 책임소재가 분명해지자 잘못을 인정하는 쪽으로 입장을 바꿨다.


2년 전, 박근혜 정부의 노동정책(노동개혁, 청년실업 등),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세월호 참사 진상 규명 소홀, 농민 문제, 빈곤문제 등에 항의하여 제1차 민중 총궐기가 일어났다. 박근혜 탄핵과 현재의 사회를 이끌어낸 사건의 시작이었다. 하지만 이 중에 백남기 농민의 희생이 숨어 있었다. 2015년 11월 14일, 박근혜의 공약인 쌀 수매가 인상 공약 이행을 촉구하기 위해 서울 광화문 일대에서 열린 투쟁대회에 참석하여 경찰 버스에 매인 밧줄을 단신으로 당기다가 경찰이 쏜 물 대포에 맞아 쓰러졌다. 이후 서울대학교병원 중환자실로 옮겨져 4시간가량 수술을 받았으나, 결국 317일간 중태에서 깨어나지 못하고 2016년 9월 25일, 향년 68세로 생을 마감하였다.

지난 2016년 9월 12일, 국회에서 백남기 청문회가 일었으며 10월 6일 이에 따라 백남기 농민이 ‘외인사’냐, ‘병사냐’며 재 논란이 일어난 뒤로도 8개월이 지났고 사건이 일어난 뒤 1년 5개월이 지났다. 이제야 밝혀진 진실......


d11b8c4a054472a64f470b2a4a5bd30c.jpg

[이미지 출처 = 한겨례, 신소영 기자 - - 출처 밝힐시 사용 허가 받음]

지난해 11월 5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성당에서 열린 백남기 농민 장례 미사를 마친 운구행렬이 노제가 열리는 서린사거리를 향해 행진을 시작하고 있다.


작년, 필자는 스크랩을 하면서 백남기 농민 사건이 이슈가 된 이유를 크게 세 가지로 봤었다.

첫째는 정부의 (최루액을 섞은) 살수차 사용이다. 지금이 1970년대도 아닌 21세기에 들어와 개개인의 인권/자유권/사회권/청구권이 확실하게 주어졌으며 보장받아야 하는데, 오히려 ‘민중의 지팡이’ 경찰은 이를 역 이용했다. 집회에 참여하지 않은 다른 사람들과 차량 이동에 방해된다며 차벽을 세우고(2011년 헌법재판소 위헌 판정), 폭력 등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둘째, 백남기 씨의 생애를 보자. 그는 1980년 민주화 운동을 하다가 제적을 당하고, 퇴학을 당했고, 징역을 살다 나온 투철한 민주 시민이다. 그 누구보다도 국가에 자신의 의견을 똑똑히 밝히고, 그 누구보다도 우리의 말을 대변해 주는 사람이며, 그 누구보다도 우리를 위해 발 벗고 나선 인물 중 한 사람일 것이다. 하지만 국가는 민주화 운동 당시 ‘죽은’ 사람들만 기억해 준다. 우리나라의 민주화를 위해 노력한 사람들의 공로들은 인정하지 않은 것에 충족치 못했는지, 그러한 민중의 선구자들을 이렇게 허무한 죽음으로 몰아가서야 되겠냐는 말이다.

셋째, 국가의 회피이다. 백남기 씨가 “물 대포”에 맞아 넘어져 다쳤다는 확실한 증거자료가 있으며 경찰 또한 물 대포에 의한 외상임을 인정했다.(서울중앙지법 민사 42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국가의 이름을 내걸고 한 사람, 아니 민중의 대표의 죽음마저 무시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퇴보요, 전제 왕권의 시작임에 틀림없다고 지적했었다.


1년 8개월이 지난 현재, 이제 겨우 세 번째 주장인 ‘국가의 회피’에 대한 입장이 밝혀졌다. 하지만 당시 그들의 권력을 남용한 경찰들의 진심 어린 사과와, 백남기 씨와 같은 민중의 선구자들에 대한 정확한 보상은 언제쯤 가능하게 될 것인가? 모든 논란을 ‘외인사’라고 적어 무마하려는 국가의 응답은 과연 적절한 조치였을까? 하나씩 드러나는 진실에 감사하기도 하지만 더욱 분해 지기도 한다. 국민을 위한 나라가 어서 자리를 잡아 누구나 자신의 의견을 표출하고 드러내는 일에 대해 부끄럼 없이, 어떠한 위협 없이 당당히 밝힐 수 있는 날이 오길 손꼽아 기다린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 = 4기 김유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424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224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6112
난민에 대한 국민들의 반감과 청와대의 답변 file 2018.08.09 이수지 10472
날개 꺾인 나비들의 몸부림, 그리고 두 국가의 외면 7 file 2016.02.25 최은지 17118
날로 심해지는 중국 내 반(反) 사드운동. 새 정부가 해결할 수 있을까? file 2017.03.22 장진향 10661
날로 커지는 중국의 영향력, 중국어 자격증 HSK 전격 해부 file 2019.05.30 장윤서 14225
날마다 변화하는 “매미나방의 피습” file 2019.08.05 김선우 12911
남북 24시간 소통,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소식 1 file 2018.09.18 정한솔 9557
남북 경제협력주, 안전한 걸까? 2 file 2018.05.25 오명석 11417
남북 경헙의 미래 성공 or 실패 file 2019.03.28 김의성 13916
남북 정상의 신년사에 담긴 의미는? file 2018.01.12 정성욱 11642
남북정상, 한반도 평화시대 선언.."올해 종전선언·평화협정 전환 추진" file 2018.04.27 디지털이슈팀 13204
남북정상회담, 그 효과와 발전방향은? 2 file 2018.10.01 김도경 11878
남북한 정치 차이 과연? 2019.03.27 최가원 18241
남아공 육상영웅 세메냐: 영광 뒤에 숨겨진 성별 논란 1 file 2018.06.14 박성우 12121
남이섬, 친일 재산인가 1 2017.09.28 문세연 13896
납치범이 드라마를 보여준다고? 3 file 2020.02.26 안효빈 11570
내 손 안의 판도라... 스마트기기 14 file 2016.02.13 한종현 17135
내가 다니는 학교에 확진자가 나온다면? 6 file 2020.12.24 김진현 19111
내가 하면 로맨스, 네가 하면 스캔들? 4 file 2017.01.25 김민정 17125
내가한흡연은 나만의 것이 아니다. 2014.07.29 박지원 23338
내년 3월부터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 그 함의는 무엇인가? file 2020.10.22 정지후 8913
내전의 시련 속에서 한줄기 희망 시라아 민간구조대 ‘한얀 헬멧’ file 2016.08.24 노태인 14983
네티즌 충격, 인천 초등생 살인사건의 전말 1 file 2017.07.21 이다빈 24624
노동계의 사각지대. 비정규직 그들의 외침.... 7 file 2017.09.14 서호연 11237
노동인권을 다룬 만화, '송곳'을 통해 알아보는 노동3권 1 file 2017.09.11 신동경 13439
노동자들의 파업, 비난 아닌 연대의 시선으로 1 file 2020.01.23 박효빈 11515
노란 물결이 일렁이는 4월 16일 file 2017.04.16 이지연 11980
노랑나비, 위안부 할머님들을 위해 날다. 1 file 2016.03.24 강민지 20742
노로 바이러스, 너의 정체가 궁금하다! file 2018.04.23 박기상 10301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8주기,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file 2017.05.25 임재우 13121
노인 복지 정책, 어떻게 얼마나 변했는가? file 2018.07.26 장서진 11870
노인 자살, 도대체 왜? file 2019.05.23 진찬희 12255
노인 지하철 무임승차, 과연 경제적으로 합당한가? file 2017.11.20 김진모 13148
노점상, 생계를 위한 불법? 1 file 2016.03.24 김현승 18262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 재건 해야 하나? file 2019.05.10 유예원 13005
노트르담 대성당의 붕괴 file 2019.05.14 양재성 11289
노트르담 대성장 화재, 그리고 한 달 file 2019.05.21 최예주 11398
노화? 제대로 알고 방지하자! 1 2019.01.08 이지은 12417
논란 많은 한국의 페미니즘, 왜? 5 file 2018.08.23 김성백 13278
논란 속 국정화 교과서... 시범학교 신청마감 1 file 2017.02.21 김리아 16412
논란 속의 '페미니즘' 1 2018.04.18 이가영 12504
논란의 기안84... 이번에도 여성 혐오 논란 2 file 2020.08.19 김민결 9415
논란의 정답은 외인사로 끝나지 않는다.; file 2017.06.25 김유진 9119
논란의 중심 배달의민족 file 2020.04.27 박채니 8861
논란의 중심인 국적법, 도대체 뭐길래? file 2021.05.24 서호영 8424
농산물이 일으킨 수출의 문 file 2020.10.05 김남주 8882
농업의 공익적 가치를 헌법에, 1천만 명 서명운동 2017.11.21 강승필 11557
농정원, 코로나19 전후 명절 선물 트렌드 변화 분석 결과 발표 file 2022.08.31 이지원 6741
누가 영웅을 쓰러뜨리려 하는가 3 file 2017.05.02 김수민 105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