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오베르 쉬즈 우아즈에서 고흐의 발자취를 따라 걷다

by 4기이현지기자 posted Jun 21, 2017 Views 164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오늘날 많은 사람들에게 화가를 떠올려보라고 한다면 많은 이들이 고흐를 떠올릴 것이다.

빈센트 반 고흐, 그는 1853년 네덜란드에서 태어나 1890년 프랑스에서 생을 마감한다.

고흐는 생애 마지막을 이 작은 마을 오베르 쉬즈 우아즈에서 2개월가량 머물며 70여 점의 작품을 남겼다. 고흐의 그림의 배경이 된 여러 장소들을 거닐며 그의 인생을 돌이켜보자.

16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이현지기자]

 고흐는 30세 무렵에 화가 일을 시작해 900여 점의 그림들과 1100여 점의 습작들을 남겼다.

고흐의 작품들은 그의 생존 기간에는 인정받지 못했으나 지금은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어 그는 종종 불운한 화가라고 불린다.


179.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이현지기자]

 첫 번째 장소는 오베르 시청이다. 100년이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잘 보존되어있다.

실제 장소와 그림과의 차이점은 고흐의 그림 속에는 만국기가 걸려있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공동체를 소망한 것으로 알려진 고흐가 모두의 화합을 바라는 마음으로 만국기를 표현했다는 해석도 있다. 그림은 전체적으로 따뜻하고 평화로운 느낌이다.


127.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이현지기자]

 두 번째 장소는 오베르 쉬즈 우아즈의 교회이다. 13세기에 지어진 고딕 양식의 건물로 누구나 내부 입장이 가능하다. 이 작품의 분위기는 전체적으로 어두운데 일각에서는 죽음 직전의 불안한 심리를 표현한 것이라고 해석한다.


154.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이현지기자]

 세 번째 장소는 '까마귀 나는 밀밭'의 배경이 된 오베르 언덕이다. '까마귀 나는 밀밭'은 고흐의 마지막 작품이다. 고흐는 이 작품을 완성한 뒤 이 밀밭에서 권총으로 자살했다. 죽기 전 마지막으로 그린 작품인 만큼 하늘과 까마귀가 혼란하고 불안한 정서를 표현해주는 것 같다.


159.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이현지기자]

 마지막 장소는 고흐와 그의 동생 테오가 묻힌 무덤이다. 고흐에게 있어서 테오는 영혼의 동반자이자 후원자였다. 고흐는 테오의 격려로 그림을 시작했고 살아생전 900여 통의 편지를 주고받았다고 한다. 고흐의 사망 이후 몇 달 후 테오는 우울증을 앓다 형을 뒤따라 생을 마감했다고 한다. 사이좋은 두 형제는 이제 담쟁이넝쿨로 얽히고 얽혀 다시는 헤어지지 않을 것이다.


"별이 반짝이는 밤하늘은 늘 나를 꿈꾸게 한다. 왜 프랑스 지도 위에 표시된 검은 점에게 가듯 창공에서 반짝이는 저 별에게 갈 수 없는 것일까? 타라스콩이나 루앙에 가려면 기차를 타야 하는 것처럼, 별까지 가기 위해서는 죽음을 맞이해야 한다. 늙어서 평화롭게 죽는다는 건 별까지 걸어간다는 것이지"(1888년/동생 테오에게 보낸 편지 내용 中)


시련 가득한 삶을 보낸 빈센트 반 고흐, 미술에 있어서 그의 열정은 뜨겁게 타올라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따뜻하게 만들어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4기 이현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김다정기자 2017.06.23 01:10
    평소 고흐의 작품을 인상깊게 감상했었는데, 고흐의 작품의 배경이 되었던 곳들이라니 정말 멋지네요^^.
  • ?
    4기박승미기자 2017.06.23 21:21
    정말 위대한 작가인 고흐의 그림들의 배경인 장소들이라니 기사를 보면서 정말 설레였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김대홍기자 2017.06.24 18:51
    고흐와 그의 작품을 볼 때마다 관심을 가지고 보았지만, 작품을 깊게 해석하거나 고흐가 어떤 삶을 살았는지에 대해서는 파헤쳐보지 않았습니다. 기사를 통해 빈센트 반 고흐에 대해 알아가게 되어 기쁩니다.
    저에게 있어서, 빈센트가 고흐에게 보내는 편지가 인상적입니다. 죽음으로써 별에게 가게 된다고 믿은 고흐는 죽기 직전에도 역시 별을 바라보았으리라 믿습니다.
    기사를 통해 많은 생각을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기자님.
  • ?
    4기이민정기자 2017.06.25 16:56
    고희의 작품속 장소의 사실적 묘사한 그림이 매우 감명깊고, 그의 작품의 깊은 의미를 배울 수가 있네요. 좋은 기사글에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1634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8988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2944
담양군 청소년 문화의집의 학습동아리 S·C·P 운영 file 2019.10.30 조미혜 15064
매력만점! 베트남어! 3 file 2020.08.04 정진희 15063
평창 올림픽 D-228, 평창호 탑승자가 되는길! 3 file 2017.06.29 김채현 15063
K리그의 자존심 전북현대, ACL 출전자격 박탈당하다 6 file 2017.01.19 하재우 15063
MBN Y FORUM 2017, 불가능을 즐겼던 연사들의 이야기 file 2017.02.24 장예진 15062
평창 동계 올림픽, 남북 외교의 발판 될까? file 2018.03.01 안성연 15058
[시사경제용어 알아보기] ① ‘베이지북’을 아시나요? 2 file 2017.03.29 오경서 15057
인간과 물 그리고 녹조 file 2017.05.04 최지민 15053
원광대, 2017 세계 뇌주간 행사 개최 file 2017.03.18 김도연 15053
엔돌핀이 마약이라고? - 호르몬에 대한 오해와 진실 2021.11.26 김상우 15052
'2018년도 화성시 청소년 종합예술제'에서 여러분의 끼를 발산하라! file 2018.05.30 김태희 15051
국민행복카드로 우리나라 저출산·고령화에도 드디어 희망이! 2 file 2017.08.06 김나현 15051
모두 사랑으로 보살펴 주자-다사랑봉사단, 장애인 인권교육받다 file 2017.03.12 전태경 15051
바이오 헬스케어 file 2017.07.24 신규리 15049
영화 <1987>, 오늘날을 사는 우리에게 전하는 묵직한 메시지 2 file 2018.01.22 박우빈 15047
울산광역시 교육청,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학부모 연수 개최 1 file 2018.05.02 조예린 15045
고종황제 대한제국을 선포하다 file 2017.05.26 강예린 15044
국민의 알 권리, 재판에서 찾아봐요!! 1 file 2017.01.23 김현재 15044
보들별 잔치 (시간, 그들에게 묻다) file 2016.05.13 3기전재영기자 15044
꽃피는 봄이 왔지만... 봄꽃 축제 행사장에서는 무슨 일이? 8 file 2017.04.13 정채린 15040
뉴욕 필하모닉, 가을 시즌 공연 취소 2 file 2020.06.29 김민수 15039
사람들의 힐링 공간, 한강 시민 공원 file 2017.05.25 정미루 15038
2017 경향하우징페어 In 킨텍스 file 2017.02.27 장지민 15038
'공포를 넘어선 놀라움' 영화 Get out 1 file 2017.05.25 김가연 15036
인간의 욕심이 나은 결과물, 또 한마리의 돌고래 폐사 1 file 2017.04.19 이빈 15035
봄을 만끽할 수 있는 2017 개화산 봄꽃 축제 현장속으로! file 2017.04.15 권도경 15035
얼마 남지 않은 UEFA 챔피언스리그, 그 우승 팀은 어디가 될 것인가 3 file 2018.05.25 반고호 15033
[MBM Y 포럼] 청년들이여 꽃을 피우다! 15 file 2017.02.12 염가은 15033
V-POP과 K-POP 2 file 2017.12.15 이도경 15030
2017 서울 모터쇼를 다녀 오다. file 2017.04.18 주건 15030
미래를 만나다, 울산과학제전! file 2017.05.27 권지민 15028
우리를 따스하게 해 줄 책 3권 4 file 2020.03.04 김윤채 15027
나도 말할 수 있다. '아이 캔 스피크' file 2017.09.26 김예은 15025
런던, '친환경 생태 도시'로 탈바꿈한다 file 2018.04.03 김환 15022
2020년 상반기 게임 소식 1 file 2020.05.15 정근혁 15020
나눠쓰는 시대가 다시 찾아오다 ? 현대판 ‘아나바다’ 공유경제, 사회를 움직이다 file 2017.05.31 백지웅 15020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1인 미디어! 다양한 분야의 1인 미디어에 대해 알아보자! 2 file 2017.08.22 정혜원 15009
꽃피는 하늘 아래, 서울과 새롭게 만나다 file 2016.03.20 민원영 15009
예산 청소년미래센터 청소년운영위원회 첫걸음 떼다 file 2018.01.24 신다인 15008
축구계에 부는 새로운 바람 2 file 2017.02.19 하재우 15003
또 하나의 가족 2019.09.30 이지환 15002
광복72주년???빗속에서 열린 겨례의 '2017 서대문독립민주축제' 2017.08.30 문성환 15002
모두 함께 즐기는 '2017 경기 다독다독 축제' file 2017.10.24 고희원 14997
In Cambodia, 아세안이 한 자리에 모였다고? 2017.09.29 이유정 14997
고소한 소통! 행복한 동행! 2018 청주 삼겹살 축제 성황리 개최 file 2018.03.05 허기범 14996
부를수록 그리운 이름 '우리 어머니' 글과 사진展 file 2018.05.25 김태희 14995
두 번의 친선경기, 달라진 신태용호 1 file 2017.11.30 정재훈 14995
사랑의 매를 아시나요? 2 file 2017.09.04 김서영 149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