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대한민국의 캡틴 기성용에 대해 파헤쳐보자!

by 4기어일선기자 posted Jun 21, 2017 Views 1784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기성용(Ki Sung Yueng)


186cm 75kg


스완지 시티


대한민국




*유스부터 현재까지


 기성용은 축구 감독이었던 아버지(기영옥)의 영향을 받아 축구를 시작했고 2001년 축구와 영어를 공부하기 위해 존 폴 칼리지(John Paul College)에 입학합니다.


이곳에서 2005년까지 공부를 한 뒤 한국으로 돌아와 광주에 있는 금호 고등학교의 입학 해서 졸업을 합니다.


그 후 다시 호주에 있는 그리피스 대학교에 입학합니다.


그 후 1년이 채 지나지 않은 2006년에 K리그 클래식에 있는 FC서울에 입단합니다.


첫 시즌인 2006년에는 단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했지만, 2007년 셰놀 귀네슈 감독이 부임한 이후로부터 점차 출전 수를 늘려가기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2009년까지 FC서울에서 총 64경기에 출전해서 9골을 기록하며 팀을 떠나게 됩니다.



그 후 입단한 팀은 스코틀랜드의 명문 클럽 셀틱.


이곳에서 초반에는 출전 기회를 잘 못 잡기도 했지만, 2010남아공월드컵 이후 자리를 기회를 차츰 더 얻었고, 2012런던올림픽 동메달 획득으로 병역 문제가 해결되자 잉글랜드,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에 여러 명문 클럽에서 러브콜을 받게 되었습니다.


셀틱에서 2009년부터 2012년까지 뛰며 66경기에서 11골을 기록했습니다.


  그 여러 팀들 중 기성용이 택한 팀은 현재 소속 팀인 스완지시티이었습니다. 당시 2012년 스완지시티의 구단 역사상 최다 이적료인 6m 파운드를 기록하며 입단했습니다.


데뷔 시즌이었던 2012-2013시즌에 패스 축구를 구사하는 미카엘 라우드럽에 지휘 아래에 시즌 9, EFL컵 우승이라는 좋은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하지만, 2013-2014시즌을 앞두고 스완지는 많은 중앙 미드필더 자원을 영입했고, 당시 라우드럽 감독과 불화설도 있었던 기성용은 같은 리그의 선더랜드로 임대 이적합니다.


선더랜드로 임대를 떠나서도 좋은 활약을 유지, 아니 어쩌면 더 좋은 활약을 보였습니다. 거스 포옛 감독의 4-1-4-1 전술 아래에서 기성용은 자신의 아래에 4백 뿐만 아니라, '진공청소기' 리 캐터몰 덕분에 조금 더 공격적인 롤을 부여받습니다. 새로운 롤에서 더 좋은 움직임, 패스 능력을 선보였고, 선더랜드에서도 EFL컵 준우승이라는 값진 기록을 남깁니다.


선더랜드 에서 1시즌 동안 34경기 4골을 기록합니다.


그 후 그는 원소속팀이었던 스완지 시티로 다시 복귀했습니다. 이적설이 돌고 있었지만, 자신과 불화설이 있었던 라우드럽 감독이 경질되면서, 다시 복귀하게 되었습니다. 복귀해서도 꾸준한 활약을 보이다가,



2015-2016시즌이 종료된 후 스토크 시티에서 오퍼를 했지만, 스완지 측에서 거절했습니다.(그냥 갔더라면...)


현재까지 스완지 시티에서 126경기 10골 기록 중입니다.


*·단점과 플레이 스타일


 기성용은 국내 선수, 아니 아시아 선수 중에 가장 뛰어난 패스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탈압박능력 또한 뛰어나다고 하는데, 요즘 플레이를 봐서는 탈압박을 잘 시도하지 않는 것 같다.


어찌 됐건 기성용의 짧은 패스, 긴 패스, 템포 조절 등 중앙 미드필더로서의 능력은 정말 아시아 정상급이나, 가장 큰 단점이 있다. 그것은 바로 '과감성'이다. 기성용의 경기 스타일을 보면, 그가 하는 패스 가운데 60% 이상은 백패스, 횡 패스다. 물론 그 가운데 정말 템포를 조절하기 위해서 하는 백패스, 횡 패스도 있지만, 대다수는 '피하기위해'서이다.


사실 기성용의 성격을 봐서는 절대 어울리지 않는다. 그는 굉장히 자신감이 넘치고, 때로는 도를 넘어서는 행위도 몇 번 한 적이 있다. 그러나 그는 축구를 할 때는 너무나 소심하다. 분명히 기성용은 EPL 내에서도 수준급으로 통할만 한 패스 능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 능력을 극대화하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국가대표 경기 때만 해도, 기성용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한 번의 롱패스, 경기 템포 조절 등 자신이 '주도'해서 경기를 이끌어 간다. 그 모습을 스완지 시티에서도 더욱 과감하게 보여줄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기성용의 플레이 스타일은 장·단점과도 당연히 연관이 되어있다. 그는 빌드업을 담당하고, 공격의 시발점 역할을 한다. 하지만 현대 축구에서의 중앙 미드필더들은 수비만 하고, 빌드업만 하고, 공격에만 치중하고, 수비에만 치중하고, 이러한 플레이를 하지 않는다. 분담하거나, 중앙 미드필더 간 조절을 한다.


+2016-2017시즌 기성용이 주춤했던 이유


 38da18b74aeb2d8c36817177fe2914ca.jpg


 스완지 시티의 공식 홈페이지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어일선 기자]


스완지는 두 명의 중앙 미드필더 들 중 한 명이 하프라인을 넘어서 전방에서의 메이킹을 도와주면, 다른 한 명은 후방에서 4백을 보좌하고, 빌드업의 시발점 역할을 한다.


사실 이 부분이 기성용에게 좋지는 못할 것이다. 기성용은 수비적인 약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수비적인 위치선정이나, 압박의 적극성 등은 나쁘지 않으나, 가로채기 즉 태클에서 자신의 최대 약점을 가지고 있다.


지난 시즌 기성용이 주춤했던 이유는 사실 여기에 있다. 개인적으로 기성용이 가장 좋은 폼을 보여준 것은 선더랜드로 임대를 떠났을 때와, 2014-2015시즌 스완지에서 뛸 당시라고 생각한다. 그때의 두 시즌과 현재 시즌을 비교해보자.


가장 먼저 선더랜드로 임대를 떠났던 시절에는, 선더랜드의 수비라인이 약했을지는 몰라도, 4백 앞을 홀로 보좌하던 캐터몰의 태클 능력은 뛰어났다. 그로 인해서 기성용의 수비적인 부담은 줄었고, 그 결과 자신의 장점인 패스를 더 선보일 수 있었다.


다음으로 2014-2015시즌. 그 당시에 미드필더 구성은 현재와 별반 다를 게 없었다. 존조 셸비와 호흡을 맞춘 적이 더 많기는 하지만, 셸비는 기성용 보다태클 능력은 좋을지언정, 패스 인터셉트 능력, 수비 가담 능력은 더 떨어진다. 그러나 기성용의 평점 상으로 본 커리어하이 시즌은 2014-2015시즌이다.


이유는 바로 수비라인에 있다. 그 당시에 스완지 시티의 수비는 매우 견고했다. 현재는 떠난 애쉴리 윌리엄스와 현재 센터백인 페데리코 페르난데스의 조합은 매우 훌륭했다. 결과적으로 이 부분 역시 기성용의 부담을 줄여 주었고, 기성용이 좋은 활약을 펼칠 수 있었다.



하지만 지난 시즌 스완지 시티의 수비라인은 EPL 팀들 중 최약체였다. 즉 내년 시즌 만약 기성용이 스완지에 잔류한다고 가정했을 때, 기성용이 살아나기 위해서는 스완지시티가, 그중에서도 수비라인이 가장 먼저 살아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4기 어일선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1773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15175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38008
KITAS 2017, 제7회 스마트 디바이스 쇼 file 2017.09.29 한유정 17586
『제2회 환경을 생각하는 과학/공학 아이디어 공모전』 수상작 발표 file 2019.12.30 고서영 17585
독립기념관에 가다 2019.01.25 전서진 17583
수원시 마리몬드 소녀상 원정대 기행 1 file 2018.01.25 박선영 17574
인피니트 호야 주연의 '히야' 예매율 1위 차지!! 6 file 2016.03.09 문근혜 17574
2018 평창올림픽 성화, 출렁다리로 부활한 '소금산' 밝혀 file 2018.02.06 디지털이슈팀 17572
세상을 바꾸는 도전, 영 메이커! 2 file 2017.03.07 이윤정 17567
‘名家의 몰락’ 뉴캐슬, 화려했던 과거 file 2019.01.31 서한서 17562
이번 설에는 가족들과 낭만의 도시 여수로! 1 file 2018.02.20 박채윤 17560
요즘 핫한 그의 이름은 '해리안' file 2018.06.18 6기정예진기자 17543
청송한옥민예촌, 옛 저잣거리를 담은 '모樂모樂 장터' 운영 file 2017.10.19 강유진 17541
[평창] 여자 아이스하키 일본 vs 스웨덴, 단일팀 코리아의 7, 8위전 상대는? 2 file 2018.02.20 이정찬 17540
기자가 되고 싶다면? '스포트라이트' 처럼! file 2016.03.21 김지현 17539
진정한 수학을 만나는 시간; 제 8회 대구수학페스티벌 참가 후기 file 2016.11.20 박수연 17538
세계의 음식, 그이상의 문화 file 2016.04.17 이봉근 17536
끝없는 벚꽃의 향연! 2016 진해군항제 file 2016.04.11 최우석 17534
게임 속 등장하는 로봇, 현실 개발은? file 2017.05.24 이현승 17527
통일, 그게 뭐에요? file 2019.03.27 김주혁 17526
세계를 무대로 꿈을 이루다! "해외취업 유학박람회" 2017.09.11 김유리 17526
모든게 멈춰버린 놀이공원 용마랜드 2 file 2017.05.16 최유진 17524
스승의 날, 의미의 모순? 2 2017.06.04 박환희 17523
취미, 이제는 즐거움과 집중력의 두마리 토끼를 잡다 4 file 2016.03.13 이지수 17520
쿠팡, ‘쿠팡플레이'로 OTT 시장까지 노린다! 1 file 2020.12.28 유채연 17519
대구 이월드 별빛벚꽃축제 다가오는 3월24일부터 개최 '벚꽃의 향연' 2018.03.12 김성민 17519
대한민국 대표 검색사이트 네이버! 3년만에 새 단장하다! 6 file 2017.03.13 한윤성 17519
인간과 로봇의 공생이 시작되다! 1 file 2017.03.21 최민서 17514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 세상에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다! 1 file 2017.03.01 이윤희 17514
포켓몬 고 한국 정식 출시, 증강 현실(AR)이란? 13 file 2017.02.03 정승훈 17512
삭막한 사회에서 보는 한 줄기 희망과 같은 드라마, '시그널' file 2017.03.23 강지수 17510
요즘은 '소논문'이 대세?! 1 file 2016.05.22 천예영 17510
청주 광복절 행사, 청소년 우리나라 바른 역사 알기 file 2017.08.17 허기범 17506
'서호정자' 가 우리의 안녕을 묻습니다. 2016.04.04 김형석 17506
'바이나인(BY9)', 기적의 첫걸음을 시작하다 2019.07.31 김민정 17504
미래 산업, 네이버는 무엇을 준비하고 있나 file 2016.03.22 김준영 17504
국회탐방, 어디까지 가봤니? 1 file 2016.08.24 조민성 17502
다가오는 봄, 다가오는 꽃샘추위! 10 file 2016.02.21 안세빈 17501
'화성의 자랑' 송산 포도 축제장으로 file 2017.09.12 이지은 17499
책으로만 본 국회의사당, 직접 만나보세요! 7 file 2017.02.08 김수오 17495
화산 폭팔로 인해 세상에 나온 공룡들, '쥬라기 월드 : 폴른킹덤' 2018.06.19 오가람 17492
국내 최대 규모의 건축박람회, MBC 건축박람회 file 2017.08.31 최나연 17492
여름을 찾아 남쪽으로, 마산 돝섬의 자연 둘레길 산책하기 file 2019.05.17 이지현 17489
녹슬지 않는 철? 1 file 2017.03.21 손시연 17489
여행, 어딜 가야 할지 망설인다면 2019.05.09 김유연 17483
통일에 대한 너의 인식에 변화가 필요해! file 2016.07.25 오지은 17482
인터넷전문은행의 돌풍, 시중은행 ‘내 자리는 …’ file 2017.08.17 권나경 17479
동해안의 꽃, '강릉' 바다 보고 가드래요! 1 2017.12.04 박정민 17478
석오 이동녕 선생, 그 발길을 따라서 file 2018.11.21 김단아 17472
대왕카스테라의 시대는 갔다? 이젠 명량핫도그! 3 file 2017.04.25 정혜교 174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