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인공지능, 최고의 발명품 혹은 최후의 발명품

by 4기장영욱기자 posted Jun 21, 2017 Views 223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얼마 전, 6월 16일에 신청이 마감된 2017 전국 고등학생 토론대회 경상북도 지역 예선에서 다루었던 토론 논제 중 하나는 'AI 시대의 미래는 긍정적이다'라고 하는 논제였다. 또 본 기자가 재학 중인 문창고등학교의 교내 토론대회에서도 같은 맥락으로 'AI가 불러올 미래는 긍정적이다'라고 하는 논제로 토론대회를 개최하였다. 2016년 3월, 알파고가 이세돌에게 바둑으로 승리함으로써 시작된 엄청난 파동이 전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한국 기업들도 속속들이 AI 개발에 나서고 있다.

f85c83d45474406207b24d5773ec3645.png

[이미지 제공=경상북도선거관리위원회(http://gb.nec.go.kr/gb/sub3.jsp?brdType=R&bbIdx=38840),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전국 고등학생 토론대회 경상북도 지역 예선 토론 논제 제1안이 인공지능과 관련된 논제이다.).

 하지만 여기에 대한 시민들의 생각은 아직 정리가 잘 되지 않은 것 같다. 누구는 AI에 대한 공포심을 가지고 있다. 분명 여러 번 겪었던 기술 혁신이지만 왠지 모를 미시감으로부터 오는 공포심이 있을 것이며, 반드시 다가올 미래이기에 확신감으로부터 오는 공포심 역시 있을 것이다. 여기에 반해 또 다른 누군가는 인공지능을 굉장히 낙관적으로 바라본다. 앞서 존재했던 기술혁신으로부터의 결론을 도출해내는 것이다. 기술은 좋은 것이라는 결론 말이다. 둘 중 누구의 말을 믿어야 할까? 일단 2가지씩만 들어보도록 하자.



인공지능을 무서워해야 한다니깐? 

 인공지능은 우리의 일자리를 앗아간다.

 인공지능이 우리의 일자리를 대체할 것이라는 것은 가장 흔히들 알고 있는 사실이다. 기업가들이 능력이 좋지만 돈은 받지 않는 인공지능 대신 실수가 잦고 돈도 받아 가는 인간을 택하는 모습은 상상조차 할 수 없다. 실제로 WEF(세계경제포럼)에서 2016년 발표한 '일자리의 미래' 보고서는 세계 고용의 65%를 차지하는 주요 15개국에서 2020년까지 200만 개의 일자리가 생겨나지만 71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지면서 결국 약 500만 개의 일자리가 소멸할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WEF 창립자 클라우스 슈밥은 이것이 보수적으로 예측한 것이라며 실제 감소 폭은 더 클 것이라는 말을 하였다. 게다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2016년 6월부터 9월까지 약 3개월 동안 우리나라 인공지능·로봇 전문가 21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AI와 로봇의 일자리 대체 가능성 설문조사에서는 현시점에서 우리나라 전체 직업 종사자의 업무 중 12.5%를 인공지능 또는 로봇으로 대체가 가능하며 심지어 2025년도에는 70.6%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하지만 반대 의견도 만만치 않다. 미국 보스턴 대학의 제임스 베센 교수는 은행직원을 없애지 못한 ATM을 예로 들며 직업이 소멸한다면 고용이 줄어들지만 부분적으로 자동화가 이루어지는 직업에서는 반대로 관련 노동이 늘어날 수 있다고 주장한 바 있으며, OECD에서 발표한 연구에서도 소매 판매원을 예로 들며 판매원들의 직업 대체 위험도는 92%에 육박하지만 직무를 기준으로 본다면 컴퓨터가 대체하기 어려운 일을 하는 판매원이 96%를 차지하기에 컴퓨터는 겨우 4%에 불과한 인력을 대체할 수 있다면서 현재 나오고 있는 여러 연구가 꽤나 과장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인공지능이 악용될 우려가 너무나 크다.

 인공지능이 무기화될 수도 있다는 것에 대해 염려하는 것은 과한 것이 아니다. 애초에 인공지능 개발과정에 있어서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미국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에서 지원이 있었고, 이 지원은 미국이 인공지능을 국방자원의 한 축으로써 사용하려고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인간에게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전투를 수행할 수 있는 소위 '킬러 로봇'에 대한 개발이 각국에서 진행 중에 있으며, 러시아는 2016년 국경에 주변 6km 내의 드론과 같은 물체를 저격할 수 있는 로봇을 배치하였으며, 러시아 타스 통신에 따르면 무인 전투 로봇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 중이라고 한다. 미국은 적 공격 능력이 있는 무인 전투함 등을 개발해 놓았으며 이스라엘 역시 소형 킬러 로봇을 운영 중이다. 게다가 이런 인공지능 기술을 IS나 다른 무슬림 무장단체들이 인공지능을 테러나 공격에 이용할 것이라는 우려 또한 존재한다. 이런 것에 대해 우려를 하던 인공지능 국제회의(IJCAI)에서는 2015년 7월 서한을 발표하였는데, 그 서한은 인공지능이 추가된 로봇을 무기화하는 것을 반대하는 내용이 담겨있었으며, 이 서한에서는 2587명의 인공지능 로봇 개발자들을 포함하여 1만 7972명의 유력 인사들이 동의하였고, 그중에는 스티븐 호킹 박사와 엘론 머스크 등도 포함되어 있어 화제가 되었다.

 여기에 대해 반대 입장을 지닌 사람들은 오히려 인공지능이 개발됨으로써 인간 사상자가 줄어들 수 있고, 인공지능이 개발되어 감에 따라 오히려 공격을 효과적으로 막아낼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인공지능은 인간에게 위험이라기보단 도움일 거 같은데?

 인공지능이 인류의 과학 기술이나 연구에 미치는 효과가 대단할 것이다.

 인류는 여태까지 꾸준히 발전해왔지만 그 발전의 모습은 지수함수의 모습으로 발전해오는 것 같았다. 발전 속도는 근래 들어오면서 계속해서 빨라졌고 19세기 산업혁명 이후에는 정말 폭발적으로 발전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면서 과학 연구나 기술 개발 등 인간의 사고 과정의 최고봉 격인 일을 처리하는 데 점점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고, 이제는 과거와는 달리 혼자 처리할 수 있는 연구나 개발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인간보다 더 빨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 각 분야에 적절히 도입된다면 엄청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IBM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지난 30년간 과학자들은 보통 1년에 걸친 조사 끝에 타깃으로 삼을 단백질 하나를 찾곤 했지만, 대표적인 인공지능인 IBM의 왓슨은 무려 7만 건의 과학 논문을 분석하여 다수의 암과 관련된 중요한 단백질인 p53을 변형시키는 단백질을 단 몇 주 만에 정확하게 찾아내, 약물이나 기타 치료법의 효능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게 됐다.


 현재 발생하고 있는 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줄 것이다.

 어느 분야이든 상관없다. 의료 분야에서 있을 수 있는 오진이나 실수를 줄이기 위해 이미 왓슨이 암 진단이나 약물 임상실험에 이용되고 있고, 골 연령 측정 등 그 외에도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그 정확성은 인간보다 앞선다는 평가이다. 그리고 인공지능 헬스케어 서비스는 IoT 기술과 적절히 융합되어 환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아들여 환자의 상태를 빠짐없이 체크할 수 있고 환자를 위한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여 의료의 질과 진료의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그리고 인공지능이 탑재된 로봇, 굳이 로봇이 아니더라도 인공지능 자체로 저출산, 고령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의견이 있다. 인공지능이 아이들을 돌보면서 가정에서 육아를 돌볼 여력이 없던 부모들은 육아와 관련하여 한숨 덜 수 있을 것이다. 또한 2015년 무려 138만여 명에 달하던 독거노인들에게도 보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노인들의 위험을 감지하거나, 노인의 말벗이 되어주는 등 훌륭히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되면 육아 부담으로 인한 저출산이나 고령화로 인해 생기는 사회문제를 일부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게다가 인공지능을 통한 번역 서비스나, 마케팅 분야, 자율 주행 분야, 사이버 보안 분야 등 많은 분야에서 상용화될 예정이거나 일부는 상용화되어 활약하고 있다.

 위의 2가지 낙관적 의견에 대해 반대 입장을 지닌 사람들은 이런 이득으로 인해 오히려 의도치 않았던 부의 집중이 발생할 것이며, 그 외에도 부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사건들의 위험성이 더 크다는 의견이다.



당신은?

 이 세계는 저 두 부류의 사람. 즉 낙관적 의견의 사람과 비관적 의견의 사람만이 살아가는 곳이 아니다. 바로 당신이 살아가고 우리 모두가 살아가는 세계이다. 여기에 대해 관련이 없다고 시선을 돌리고 생각을 해보지 않는다면 결코 인공지능으로 인해 당신에게 가는 이득은 없을 것이다. 우리 모두 인공지능에 대해 한 번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지는 건 어떨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4기 장영욱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정윤경기자 2017.06.24 23:15
    인공지능에 대한 기사 잘 보았습니다. 저희 외삼촌도 문창고 출신이어서 개인적으로 반가웠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0364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752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0627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 숨겨진 사실, 5.18 최후 항쟁지? 1 file 2017.02.25 홍민서 15354
국립중앙박물관 '영원한 여정, 특별한 동행'전...고대 유물 모았다 file 2023.08.09 제갈혜진 7014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영국 내셔널갤러리 소장 명화전 file 2023.07.15 이다빈 10205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경기여고와 재난대응 안전훈련…'효과적 대처'에 초점 file 2018.05.18 디지털이슈팀 14753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둥근세상 만들기캠프 진행 file 2018.08.06 디지털이슈팀 15518
국무부 주관 미국 청소년 교환학생 프로그램 'NES-LY'를 통한 대한민국 매력확산 file 2019.06.04 공지현 19263
국민 예능 1박2일, <Feel the Rhythm of Korea> 마지막 주자로 나선다 file 2020.11.24 김진영 13691
국민만 디지털 시대? 이제는 정부도 디지털 시대다! file 2021.02.22 정예람 17284
국민의 알 권리, 재판에서 찾아봐요!! 1 file 2017.01.23 김현재 14931
국민의당 경기도당 신임 대학생위원장 임명 file 2021.05.21 최원용 10530
국민프로듀서님 잘 부탁드립니다; 현대고의 프로듀스 101 시즌 2 열풍 2 file 2017.07.01 김가빈 18740
국민행복카드로 우리나라 저출산·고령화에도 드디어 희망이! 2 file 2017.08.06 김나현 15030
국산 거대 로봇 애니메이션...'거신: 바람의 아이' file 2023.05.24 최영서 8370
국악과 시의 만남, 달콤한 시럽(詩LOVE) 1 file 2016.03.25 하혜주 16815
국제 사회에 한 발짝 더 가까워 지는 문, 모의유엔(MUN) 7 2017.02.03 박소희 25121
국제기구 진출, 외교부를 전적으로 믿으시면 됩니다 2019.03.25 신여진 20693
국제기구를 더 알아보자 file 2019.03.14 장혜원 20256
국제사회의 리더가 되자, Humanities Research Symposium for Youth! file 2017.04.24 강인주 15727
국제청소년교류캠프... 이번 강원도 평창에서 열리다. file 2017.10.30 김예진 15904
국지성 호우, 대체 무엇일까 file 2017.07.25 김가영 15323
국화꽃 만발한 함평 ‘대한민국 국향대전’ file 2018.10.30 조햇살 17136
국회의사당 해태상 밑 100년 화이트 와인 file 2021.12.15 강준서 10691
국회의원 배지의 변천사 2021.12.14 강준서 12171
국회탐방, 어디까지 가봤니? 1 file 2016.08.24 조민성 17777
군산, 근대역사박물관에 가보다!! file 2017.08.13 이현 15153
군산에서 보는 채만식 file 2016.11.20 박성우 16074
군포시 청소년 자원봉사 대축제, '안녕, ReAction' file 2018.10.15 강동형 19088
군함도 개봉, 아픔의 역사를 알리다 2017.08.05 김정환 19664
굴러들어온 돌, 통합경비시스템 2 file 2017.03.27 이희원 14957
굽네치킨-초록우산어린이재단, ‘기적을 만들어가는 학생들’ 응원 file 2018.06.04 디지털이슈팀 16045
굿네이버스 I'm your PEN 7기 모집 file 2016.07.24 백재원 16344
굿네이버스, 10대들의 생각은? file 2018.08.29 임세진 13804
굿네이버스, 가족그림편지쓰기대회 개최를 시작하다 file 2016.08.22 김가흔 18138
굿네이버스, 국회 의원회관서 아동 참여권 토론회 개최 2023.12.24 이수미 5898
굿뉴스코 단원 귀국 콘서트 '세계문화페스티벌' file 2019.03.04 정유영 14897
궁극의 자유를 향해 2 file 2016.08.26 김민아 14779
궁금하다 2022년 대통령선거, 지방선거 file 2021.10.22 강준서 13231
귀여운 말뚝이와 함께하는 안동 국제 탈춤 페스티벌 file 2017.10.11 권나규 35656
귀여운 테디베어를 보고싶다면, 테지움으로~ 1 file 2016.07.18 이지수 16488
그 나라에서 느낀 기쁨을 무대에서 보여드립니다 굿뉴스코 페스티벌 file 2017.04.15 최지윤 14145
그 날에 대한 사과를 기다리며, 영화<어폴로지> file 2017.03.21 안옥주 16176
그 달콤함의 유혹 6 file 2017.04.22 장서윤 14050
그 많던 은행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1 file 2017.07.25 양현서 20514
그 사태를 겪은 사람들은 덜 서러워야 눈물이 나온다고 말한다 2018.11.09 하예원 14850
그날의 감정도 메모처럼-감정 기록 애플리케이션 MOODA 알아보기 1 file 2022.02.25 조수민 14774
그냥 정수기 물을 마신다고? - 미네랄의 효능 2018.07.25 임서정 21162
그들을 만나다, 유일한 배우와 이현우 무대감독! 4 file 2017.01.22 조수빈 17532
그들의 세상에 한 걸음 다가가기 - 질병과 편견에 대하여 1 file 2018.02.06 박재찬 155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