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원더우먼'으로 보는 국제적 이해관계

by 4기국제부김다은기자 posted Jun 19, 2017 Views 1553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76월 현재 상영 중인 영화를 보면 미이라, 악녀, 원더우먼, 노무현입니다, 캐리비안의 해적 순으로 이 다섯 영화가 한국 박스오피스 순위 1~5위를 차지하고 있다. 5위까지 보면 외국 영화 3(미이라, 원더우먼, 캐리비안의 해적), 한국 영화 2(악녀, 노무현입니다)이 자리 잡고 있다. 이렇듯 한국 영화에 대한 관심도 많아졌지만 여전히 영화 순위를 보면 외국 영화 또한 우리 영화 문화에 굳건히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외국 영화는 한국 정서와는 사뭇 다른 세계 정서까지 담고 있어 한국 사람들이 아직까지도 많이 사랑하고 있다. 외국 영화는 세계사에서 주는 교훈을 담은 영화, 상상력과 그들의 문화가 담긴 판타지 영화, 영웅 영화 등 다양한 소재로 우리를 즐겁게 해주고 있다. 현재 인기리에 상영 중인 원더우먼도 외국 영화로, 보기 드문 여성 영웅의 이야기가 세계 1차 대전을 배경으로 그려지면서 인간, 전쟁, 폭력과 함께 인간성에 대해 말하고 있다. 그러나 원더우먼 역을 맡은 이스라엘 배우 갤 가돗이 원더우먼이 말하는 인간성에 반하는 시오니스트라는 사실이 알려져 영화와 배우 모두 구설수에 올랐다.


20170613_191717.jpg

[이미지 촬영=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김다은]


원더우먼은 194112월 발행된 올 스타 코믹스(All Star Comics) v18호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그녀는 헤라 여신의 가호를 받는 아마존 종족의 여왕 히폴리타의 딸이다. 점토로 형태를 빚은 후 신이 생명을 불어넣어 태어난 존재이기 때문에 인간이라기보다는 신에 가깝다. 그리스 신화를 차용하고 있는 만큼, 원더우먼이 가진 능력 역시 신에게서 받은 것들이 대부분이다. 그녀는 헤라클레스처럼 힘이 세고, 아테나의 지혜로움을 가졌으며, 아프로디테만큼 아름답다. 이렇듯 보기 드문 여자 영웅으로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캐릭터를 이번 영화에서 이스라엘 출신 시오니스트인 갤 가돗이 연기를 해 구설수에 올랐다. 시오니스트란 성서의 땅 가나안 즉,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살던 땅에서 그곳에 사는 사람들을 내쫓고 유대 국가를 세우겠다는 유대민족주의로 시오니스트들의 영악함과 잔인함, 국제사회의 잘못된 도움으로 현재 그 땅의 대부분은 유대 국가인 이스라엘이 차지하게 되었다. 그들은 수차례의 전쟁과 무차별 폭격으로 그 잔인함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그런데, 영화 원더우먼의 주인공이 된 갤 가돗이 2014년 이스라엘 군이 가자지구의 민간인 대피지역에 무차별 폭격을 가해서 2000여 명의 사망자가 나온 사건에 관해 페이스 북에 이스라엘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걸고 싸우는 이스라엘 군인들에게 기도를 보낸다.”라는 글을 적어 시오니스트 논란에 휩싸이게 된 것이다. 그러면서 그녀가 페이스 북에 썼던 글과 그녀의 군 복무 당시 사진이 화제가 되고 있다.


IMG_20170605_192711.jpg

[이미지 촬영=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김다은]


IMG_20170605_193312.jpg

[이미지 촬영=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김다은]


현재 대한민국의 큰 포털사이트 다음, 네이버에 원더우먼을 검색하면 연관 검색어에 시오니스트가 같이 검색될 정도로 갤 가돗이 시오니스트라고 배우가 원더우먼의 영웅성과 반대 된다며 영화 관람을 거부하는 사람들이 생겨나고 있다. 또한, 이스라엘과 사이가 좋지 않은 나라인 레바논에서는 원더우먼의 상영이 금지 되었다. 다소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와 이해관계가 먼 우리나라에서도 시오니스트가 하는 원더우먼 따위 관심 없다, 시오니스트에게 인간과 사랑을 말할 자격은 없다.’ 라는 주장도 있지만 그래도 영화와 배우는 따로 봐야 한다며 영화를 영화로만 보는 사람들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은 게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이스라엘이 국제적인 이해관계에서 가까운 관계였다면, 과연 영화에 대한 이런 반응과 관심이 나왔을까는 미지수이다. 현재까지도 원더우먼은 한국 영화 순위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꾸준히 상영되고 있다. 그 이유가 영화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강해서인지 한국과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의 국제적인 이해관계가 멀어서 인지는 아직도 많은 논란이 일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국제부= 김다은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조은아기자 2017.06.22 12:57
    얼마전에 영화를 봤는데 이러한 논란이 있었다는 것을 모르고 있었네요. 기사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 ?
    4기이지우기자 2017.06.26 11:56
    시오니스트란 단어도 원더우먼에 따른 논란도 모두 처음 접하는 것들이네요. 꾸준한 원더우먼의 상영이 무엇때문일지 깊게 생각해봐야 할 것 같아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392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6248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7432
세계의 '장난치는 날' 만우절, 그 유래는? 3 file 2017.04.02 허재영 15344
세계의 겨울방학- 방학, break, vacaciones 1 file 2019.01.28 박민성 14694
세계의 공장 베트남으로 오세요!! 5 file 2016.03.02 김유민 16429
세계의 목표,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과 UN 지속가능발전목표(UNSDGs)는 무엇인가? file 2021.09.02 류채연 13548
세계의 문화를 품다 '2019 이태원 지구촌 축제' 3 file 2019.10.16 정다운 17842
세계의 문화와 한국의 전통, 그 주역을 만나다! 1 file 2016.11.17 서지민 18457
세계의 음식, 그이상의 문화 file 2016.04.17 이봉근 17901
세계의 의식주①: 다양한 전통의상 2018.01.30 김민지 43929
세계의 의식주②: 다양한 전통음식 2018.01.30 김민지 27187
세계의 의식주③: 다양한 전통가옥 2018.01.30 김민지 32672
세계인과 하나되다. '이태원 지구촌 축제' file 2017.10.24 하지선 16341
세계인의 튤립 축제,keukenhof 1 file 2019.05.13 최예주 19276
세계적 기업, 펩시콜라 성장시킨 도널드 켄들의 별세 file 2020.09.28 김상현 13675
세계적인 밴드 ‘비틀즈’ 노래를 음원사이트에서 들을 수 있다고? 7 file 2016.02.29 김수빈 18169
세계평화의 숲, 식목일 기념 '시민 나무심기'행사 개최 file 2017.04.21 정지용 19580
세계화, 그것이 문제로다. 2 2017.02.17 허재영 16570
세금은 이렇게 쓰는 것, 한국을 알리는 힘, 한국의 흥 2020.10.14 이수민 14481
세뱃돈, 낭비하지 말고 경제 흐름 파악하여 목돈 마련하자! 4 2019.02.11 한신원 16947
세부, 안전한가 ? file 2017.08.04 김명빈 14107
세븐, 이다해 결혼식...YG 패밀리 한 자리에 file 2023.06.01 박태양 8409
세븐틴, 데뷔 3주년 기념 전시회 '17'S CUT' file 2018.06.19 여혜빈 15813
세상 밖을 볼 수 있는 마음, 박범신 작가를 만나다 file 2018.11.06 김다영 15021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가게 file 2019.12.30 남진희 13063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천문학, 청소년을 위한 코스모스 1 file 2020.02.28 김유민 15433
세상을 따뜻하게 하고 싶다면, 착한기술! 4 2018.01.08 이유정 16181
세상을 바꾸는 도전, 영 메이커! 2 file 2017.03.07 이윤정 17945
세상을 바꿀 뇌과학! 세계 뇌주간을 맞아 고려대에서 강연 개최 file 2017.03.19 김도연 18727
세상을 변화시키는 윤리적 소비, 공정무역 file 2016.05.25 김태경 17678
세상을 알리는 새로운 눈이 되다, 로이터 사진전 2 file 2016.09.15 민원영 16008
세상을 조금씩 변화시키고 있는 냄비근성 2 file 2017.03.25 신유나 18314
세월호 '#기억은힘이세지' 온라인행진 이루어지다 file 2021.04.22 이은별 11676
세월호 1000일, 이제는 알아야 합니다. 5 file 2017.01.22 김수민 30274
세월호 영화..."좋은 취지다." VS "아직은 이르다." 4 file 2017.04.03 조유림 15787
세월호의 눈물을 닦아 주는 청소년 3 file 2017.04.21 한제은 14441
세종대왕 탄생일을 아시나요? 1 file 2016.05.25 강기병 19186
세종서 택시 같은 버스 ‘셔클’ 운행 file 2021.04.20 김태림 11426
세종시 가온마을 시민들, '가온2 소소한 잔치' 개최 file 2023.07.04 빈나현 7119
세종에서 미켈란젤로를만나다…. file 2017.03.24 이아영 13455
셀카로 성격을 파악하는 인공지능이 있다? file 2020.05.29 정유빈 13491
셧다운제, 폐지 혹은 규제 완화 될까 file 2017.05.24 최민주 15915
소년을 구한 용감한 보더콜리 2 file 2020.09.08 조은우 13648
소래포구 어시장 화재, 복구는? file 2017.04.19 이다빈 16255
소방청, “2021년 소방활동으로 화재피해 16조 원 경감” 1 file 2022.02.28 이지은 9476
소비자들 주시하는 인공지능 스피커 시장 5 file 2019.02.13 정성원 22172
소상공인 영업손실 80% 보상 file 2021.10.15 유가연 9901
소설 '토지'가 숨 쉬는 곳으로 1 file 2019.02.12 박보경 16989
소셜 미디어의 충격적인 민낯 <소셜 딜레마> file 2020.12.29 김수연 16766
소셜테이너의 방송출연, 과연 문제일까? file 2016.06.25 양소정 179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