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악성루머 유포자 법적조치, 사이버수사대 의뢰…선처없다" (공식입장)

by 온라인뉴스팀 posted Jun 06, 2017 Views 1307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일산센터 자료사진.png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측이 악성 루머에 대한 공식입장을 밝혔다.

6일 국내 최대 규모의 청소년 미디어인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은 보도자료를 통해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을 비방할 목적으로 허위 사실이 조직적으로 유포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청소년기자단의 한 관계자는 “악성 루머들의 수위가 더 이상은 방관할 수 없는 수준”이라며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은 브랜드 가치 보호와 소속 회원의 명예 보호를 위해 오늘(6일) 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 수사를 정식 의뢰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특히 “지난 2016년에도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에 관한 허위 사실을 인터넷 상에 유포한 자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이버 명예훼손 혐의)으로 실제 형사 처벌된 사례가 있었다”며 “사이버 범죄에 대하여 민ㆍ형사상 조치를 불문하고 강경하게 대응할 예정”이라고 악성 루머 유포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이미 악성 루머 유포자들에 대한 형사 고소를 위해 법무법인 및 법률대리인 선임 절차를 끝냈다”며 “지금까지 법적 조치를 해오지 않았던 문제의 게시물들도 합의 없이 법적인 절차를 따라 조치할 것”이라고 악성 루머 유포에 대한 강경 대응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다음은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의 공식 입장이다.

1. 최근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이 포털사이트 실시간 검색어 1위에 오르는 등 많은 관심과 사랑을 보내주시는 국민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2. 계속되는 관심과 함께, 최근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을 비방할 목적으로 허위 사실이 조직적으로 유포되고 있습니다.

3. 악성 루머들의 수위가 더 이상은 방관할 수 없는 수준이므로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은 브랜드 가치 보호와 소속 회원의 명예 보호를 위해, 오늘(6일) 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 수사를 정식 의뢰하고 형사 고소 등 가용한 법적 절차를 토대로 강경 대응할 방침임을 알려드립니다.

4.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은 이미 악성 루머 유포자들에 대한 형사 고소를 위해 법무법인 및 법률대리인 선임 절차를 끝냈으며, 지금까지 법적 조치를 해오지 않았던 문제의 게시물들도 합의 없이 법적인 절차를 따라 조치할 것입니다.

5. 지난 2016년에도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에 관한 허위 사실을 인터넷 상에 유포한 자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이버 명예훼손 혐의)으로 실제 형사 처벌된 사례가 있음을 미리 밝혀둡니다.

6.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은 연간 100만 명 이상의 이용자가 찾는 국내 최대 규모의 청소년 미디어로서 브랜드 가치 보호와 소속 회원의 명예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끝)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222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951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3841
트럼프의 미국, 어디로 가는가 file 2017.03.25 임선민 10924
‘세월호 유골 은폐 사건’ 유가족들의 아픔 2 2017.12.08 박지민 10920
5월, 그리고 가짜 뉴스 2019.05.20 안광무 10918
미투운동-대한민국의 확산 2 2018.03.05 안승호 10918
중국의 아픈 곳을 건드린 호주 왜 그랬는가 file 2020.12.28 김광현 10916
심판들의 치솟는 권위, 아무 말도 할 수 없는 선수들. file 2018.04.26 김동현 10916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첨단 무기 판매 file 2017.10.10 이종은 10908
제2의 신천지 사태? BTJ열방센터 확진자 속출 file 2021.01.28 오경언 10903
몰카 범죄...하루빨리 해결책 내놓아야 file 2019.01.28 김예원 10903
최순실 1심 판결, 징역 20년·벌금 180억 원·추징금 72억 원 file 2018.02.22 허나영 10902
최저임금 8350원, 그 숫자의 영향력 4 file 2018.07.19 박예림 10901
하루 속히 밝혀져야 할 세월호의 진실, 당신은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1 file 2017.03.27 김나림 10896
‘디지털 성범죄’, 언제까지 솜방망이 처벌인가 1 file 2018.08.28 강수연 10895
한반도, 통일을 외치다! 2018.05.02 김하영 10895
갑작스러운 북중 정상회담, 왜? file 2018.04.05 박현규 10894
조 바이든, 공식적으로 정권 인수 착수 1 file 2020.11.30 차예원 10891
청소년에게 듣는 '19대 대선과 대한민국' 1 file 2017.05.20 박상민 10891
코로나19 방역 사각지대, 시내버스 1 file 2021.02.19 이승우 10888
대한민국을 뒤흔든 '차이나게이트' file 2020.03.03 정승연 10884
미투, 어디가 끝인가 1 2018.06.19 고유진 10884
미세먼지, 우리가 줄일 수 있습니다 2018.07.25 임서정 10883
명성이 떨어져 가는 블랙 프라이데이, 그 뒤에 사이버 먼데이? file 2019.01.07 이우진 10881
제천 화재로 소방 관련 법 입법의 필요성 드러나. file 2018.01.29 서호연 10881
경남 거제시 호우 경보, 학교의 늦장대응에 갈팡질팡하는 학생들 2 file 2017.10.02 조가온 10876
미국 전역 애도 물결 , 웜비어 3 file 2017.06.27 조채은 10867
탄핵, 그 후 경제는? file 2017.03.21 장혜림 10866
그해 봄은 뜨거웠네 2 file 2018.05.23 최시원 10863
‘Crazy Rich Asians’에 대한 논란을 중심으로 예술의 도덕적 의무를 살펴보다 1 file 2018.11.26 이혜림 10861
"MB 구속 요구 기자회견" file 2017.10.31 한지선 10859
기무사 계엄 “실행” 계획, 국외자의 ‘반란’ file 2018.07.27 김지민 10857
하늘을 뒤덮은 미세먼지 file 2019.03.15 박보경 10850
제로금리에 가까웠던 美 기준금리 7년 만에 인상, 우리나라에 미치는 엉향은? file 2017.03.22 이승희 10848
우리는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가...언론의 무서움을 말하다 2 file 2018.07.26 김지연 10847
8년 만의 일본 총리 교체, 한일관계 변화 올까? file 2020.09.25 김진성 10842
페트병을 색으로만 기억해야 할까? file 2018.11.29 박서정 10841
세계의 양대산맥, 미국-중국의 무역전쟁 file 2019.12.23 전순영 10840
더 이스트라이트 폭행사건, 결국 계약해지까지... file 2018.10.29 박현빈 10839
청와대, '난민법, 무사증 입국 폐지/개헌' 거부 답변을 내놓다 file 2018.08.07 김나현 10839
카카오뱅크가 국내 금융시장에 불러올 파급효과 file 2017.08.31 김진모 10837
서지현 검사의 폭로, "검찰 내에서 성추행을 당했다" 2 file 2018.02.02 이승민 10836
[기자수첩] AI, 인공지능이 규제되어야 하는 3가지 이유 file 2023.07.26 서예영 10833
'김정은식 공포정치' 6년차…또 하나의 희생양 '김정남' file 2017.03.25 소희수 10832
코로나로 위험한 시국, 대통령을 비판한 미래통합당 file 2020.08.25 박미정 10830
설 연휴를 건강하게 보내기 위한 홍역 예방법 file 2019.01.28 김태은 10828
문 대통령 “회담은 세계사적인 일” 1 2018.03.30 박연경 10828
러시아까지 영국에 이어 코로나 누적 확진자 1천 만명 넘었다...위드 코로나는 역시나 다시 중지 file 2021.12.24 정지운 10824
개 구충제인 펜벤다졸, 정말로 암 치료에 효과가 있을까? 5 2020.02.24 배선우 10819
청소년 불법 사이버 도박 2 file 2019.05.31 박지예 108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