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영원한 신라의 보물, 불국사

by 6기김하은기자A posted May 31, 2017 Views 1553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992년간 서라벌, 금성 등으로 불리며 신라의 버팀목이 되어준 지금의 경주. 경주는 오랫동안 신라와 함께하면서 그 만의 고유문화와 유물, 유적지 등을 끊임없이 발전시켰고 지금도 계속하여 그의 흔적들이 발굴되고 있다. 오늘은 그 수많은 유적지 중에서 신라의 혼과 정신이 많이 담겨 있는 불국사를 방문해 보았다.


먼저 불국사는 두 가지의 뜻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먼저 부처님이 사는 나라인 극락정토라는 의미를 가진다. 다른 의미로는 국민의 대부분이 불교를 믿는다는 뜻으로 당시 많은 신라인들이 불교를 믿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 두 가지 뜻을 조합해 볼 때 당시 신라는 인간이 죽어서 가는 극락세계를 중요시했고 그들의 마음속에 자리 잡은 불심이 힘든 시기가 찾아와도 잘 견뎌낼 수 있는 버팀목이 되었던 것이 아닐까. 또한 불국사는 전 세계에 있는 부처님이 모두 모셔져 있다 하여 불국사를 순회하면 불경을 읽은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이곳은 일반 평민들도 편히 와서 도를 닦을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그렇다면 불국사는 어떻게 현재의 모습을 하게 되었을까.


불국사는 신라 경덕왕(751)~혜공왕(774)에 걸쳐 창건되었으며 김대성이 현생의 부모를 위해서 지은 절이다. 이때 사용한 돌은 단단하여 조각하기 어려운 화강암으로 제작하였다. 사용된 건축 기술은 현대에서도 주목받고 있는 뛰어난 기술로 그렝이 공법과 동틀돌이 있다. 그렝이 공법이란 인공적으로 만든 돌에 자연석을 깎아 딱 맞물리도록 해 놓는 방법이고 동틀돌은 머리 부분에 홈을 파서 돌을 수평, 수직으로 끼워 맞춘 방법이다. 불국사가 오랜 시간이 지나도 무너지지 않을 수 있었던 비밀은 바로 이러한 건축기술이 바탕에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이었다.


이러한 모습들을 계속 유지 시켜오던 불국사에도 시련이 닥치고 말았다. 바로 임진왜란이었다. 이 시기는 절에 계신 스님들이 의병이 되어 일본군과 함께 전쟁을 치르고 있었는데, 불국사는 그들의 주둔지로 이용되어 무기가 많이 숨겨져 있었다. 하지만 우연히 한 일본군에 의해 발각됨으로써 그들이 불국사에 불을 질러버렸다. 이 때 커다란 불길 속에서 스님들이 목숨을 걸고 구한 2개의 석가모니 상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금동비로자나불좌상’,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이다. 이렇게 불에 타버린 불국사는 임진왜란이 끝난 뒤 대웅전과 극락전의 일부를 복원하였고, 1969~1973까지 처음 건립 당시 건물터를 발굴조사 하여 대대적으로 복원을 하여 지금의 모습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이곳에는 약 12개의 국보들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탑 2개와 석가모니 상 2개를 소개하고자 한다. 첫 번째, 국보 제21호인 석가탑(불국사 삼층석탑, 석가여래상주설법탑)이다. 석가탑은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린 방식으로 신라의 전통적인 형식의 탑이라고 볼 수 있다. 이 탑은 엄격한 조화와 균형미를 갖춤으로써 통일 신라의 석탑을 대표하고 있으며 1966년 도굴꾼들에 의해 망가진 석탑 복원 과정에서 이 세상에 현존하는 목판 인쇄물 중 가장 오래된 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과 다수의 사리장엄이 발견된다. 또한 이 탑에는 아사달과 아사녀의 슬픈 사랑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오는데 이 때문에 석가탑은 무영탑, 그림자가 비치지 않는 탑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두 번째, 국보 제20호인 다보탑(다보여래상주증명탑)이다. 다보탑은 목조건축의 여러 가지를 조합해 만든 모습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이 탑은 전통적인 신라의 탑인 석가탑과는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이 탑에는 돌사자상이 4개가 있었는데 일제강점기 때 일본이 3개를 가져가고 현재에는 1개의 사자상만 남아있다. 나머지 1개의 상에는 코가 온전하지 못했기 때문에 외관상으로 보기 좋지 않았다는 이유로 일본인들이 가져가지 않았다. 또한 석가탑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사리장엄이 있었는데 1925년 수리공사 때 사라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세 번째로는 두 개의 석가모니 상이다. 그중 하나인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은 현재 극락전에 모셔져 있고 또 다른 불상은 금동비로자나불좌상으로 처음에는 대웅전에 계시다가 일제강점기 때 아미타 부처님과 함께 극락전으로 이동하였다. 하지만 현재 다시 비로전으로 옮겨져 계시다. 이 비로자나부처님의 손 모양은 조금 특이한 모양을 하고 계시는데 모든 진리는 하나로 돌아간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렇다면 이제 불국사의 내부로 들어가 건물들을 살펴보자.

경주 불국사.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김하은기자]


불국사의 입구로 들어가면 청운교와 백운교가 있는데 이는 지상과 불국토를 이어준다는 의미를 가진다. 다리를 오르면 자하문을 통해 대웅전으로 들어가게 된다. 대웅전은 석가여래 부처님을 모시는 법당으로 경내 중심이 되는 건물이다. 대웅전의 왼쪽에는 좌경루가 있는데 이곳은 부처님의 말씀을 새긴 경판을 보관하는 누각이고, 오른편에 있는 범영루는 종을 달아 올리는 주각이다. 범영루는 수미산을 떠올리는 모양으로 쌓은 두 개의 주초에 받들려 높이 솟아 있다. 대웅전의 뒤쪽에 자리 잡은 육중한 맞배지붕집인 무설전은 불국사 건물 가운데 가장 먼저 만들어졌다고 한다. 또한 이곳에서는 옛날에 스님들이 설법을 하였고 현재는 강당으로 불교 강의가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이 위치에서 뒤쪽으로 조금 더 들어가다 보면 관음전이라는 곳이 나온다. 관음전은 중생을 구제하는 관세음보살이 모셔진 법당이다. 이제는 왼쪽으로 돌아보자. 왼쪽에는 비로자나불을 보신 법당이 있는데 바로 비로전이다. 이제 아래로 계속 내려오다 보면 극락전이라는 곳을 지나게 되는데 이 장소는 극락세계를 관장하는 아미타여래가 계시는 법당이다. 극락전에서 숨어있는 금돼지를 찾으면 소원을 이룰 수 있다는 이야기도 전해 내려온다. 이제는 마지막 다리인 연화교와 칠보교를 내려가 보자. 이 두 다리는 청운교, 백운교와 비슷한 느낌을 주지만 경사와 계단을 더 완만하게 처리하여 부드러운 느낌을 주고 있다. 이 다리를 밑에서 올라오면 안양문을 통해 극락전으로 들어가게 된다.


오늘은 이렇게 신라의 살아있는 불심을 보여주는 불국사를 방문했다. 불국사는 옛 신라 사람들이 어떠한 마음을 가지고 살아왔는지를 엿볼 수 있는 소중한 보물이다. 그리고 그들만의 독특하고 차별화된 건축기술과 양식을 사용하여 많은 유물들을 잘 보존하고 오늘날 발견할 수 있게 만들어주어 세계문화유산으로도 등재되었다는 것은 엄청난 축복이다. 이를 보면서 우리는 우리나라의 민족으로서 자긍심을 가지고 한국의 역사에 더욱 많은 관심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4기 김하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25531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22987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44716
청소년과 젊은이들의 꿈과 도전정신을 키워주는 제18회 세계지식포럼 file 2017.10.30 신종윤 15607
한국과 일본의 미래를 위한, 한·일 중고생교류사업 file 2017.10.30 송지현 14983
영화 ‘택시운전사’ 1200만 관객 태우고 흥행중! 1 file 2017.10.30 정예림 14891
우리 함께 기부를 해볼까요? file 2017.10.30 최예은 14040
국제청소년교류캠프... 이번 강원도 평창에서 열리다. file 2017.10.30 김예진 15638
학생은 교복 입은 시민! 아동, 청소년 정책 박람회, Be정상회담! 1 2017.10.30 권오현 15810
기술들의 향연, '2017 한국전자전' file 2017.10.31 김태헌 17784
천고마비의 계절, 독서와 함께 마음을 살찌우자! 2 2017.10.31 홍서영 13567
성 소수자의 사랑.. 생각해 본 적 있는가 1 file 2017.10.31 박수민 15119
우리 지역사회 문제, 우리가 직접 해결해요! 2017.10.31 김효림 34001
2017 천안 북페스티벌, 책과 함께 어우러지다 file 2017.10.31 김유진 15633
아동청소년, 정책을 외치다! 아동청소년 정책박람회 'Be 정상회담' 성료 file 2017.10.31 김혜린 12617
풍성한 가을, 문호리 리버마켓에서 2017.10.31 장나은 15924
2017 독도 골든벨 1 file 2017.10.31 임수민 14409
‘에버랜드’, 환상과 공포 두 가지 매력 속으로 3 file 2017.10.31 박수현 16099
제63회 백제문화제, 공주와 부여에서 열려 file 2017.10.31 백지연 21438
우리, 골목에서 만나요 1 file 2017.11.01 이가빈 13449
퀘벡에서 만나는 도깨비, 모든 것이 좋았다. 1 file 2017.11.01 김지수 18886
HIMUN 제41차 모의 유엔총회 2017.11.01 채준 15013
2017 제9회 강릉 커피 축제 1 file 2017.11.01 고민정 14591
제18회 '성남시 자원봉사 박람회' 개최 file 2017.11.01 박소윤 13810
서울에서 만나는 자연, 하늘공원 억새 축제 1 2017.11.01 이연재 14879
차별없는 세상을 기원한 'The 14th ASIA culture festival in Gimhae Peace Maker.' file 2017.11.01 박민규 13304
제2회 1318 할로할로 청소년어울마당 성황리에 막 내려 file 2017.11.01 손수근 17415
용인시, 용인 주요 관광지 할인 프로모션 시행 1 file 2017.11.01 오수정 14051
공정무역이란? 2017.11.02 최인혜 16619
다양한 국가를 소개하는 세인트루이스의 국제 페스티벌! file 2017.11.02 이민정 14979
여러분들에게 의사란 무엇입니까? 1 file 2017.11.02 박현정 15698
소원을 말해봐!, 연천 평생교육 박람회 file 2017.11.06 이다은 14962
진정한 나눔의 현장 ; 대한민국 나눔 대축제 2 file 2017.11.06 정연 14521
경기도 고양시, 보라데이(Look-Again) 캠페인 진행 1 file 2017.11.06 조윤서 14638
일자리 구하기 힘든 청년들, 사회적 문제 예방 위해 프랜차이즈산업박람회 개최하다 file 2017.11.06 조윤서 14278
가을엔, 온 가족이 함께하는 2017 목포과학축전 개최로! file 2017.11.06 김영신 17388
청소년들의 과학의 문, 서울시립과학관 file 2017.11.06 이주원 16302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기원하며 2017 서울아리랑페스티벌 한마당 1 file 2017.11.06 단승연 16426
양천구 반려견 문화축제,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개선 홍보활동도 함께 하다 1 file 2017.11.06 단승연 17721
대한제국의 선포에서 을사늑약 불법 조약까지 대한제국의 길을 걷다 file 2017.11.06 단승연 16054
구구단 첫 팬미팅, <9원 9일의 구구단짝> file 2017.11.06 이지나 15181
뜨거운 열기 속으로, 2017 FEVER FESTIVAL file 2017.11.06 오소현 13384
청년들에게 희망을,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 2017 1 file 2017.11.06 오소현 16867
더불어 사는 자연을 공부하다 file 2017.11.06 황수현 13845
한국 근현대사의 보고,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7.11.07 5기정채빈기자 17246
강서구립 도서관들의 북 콘서트 2017.11.07 노경배 15813
동백의 딸들, 성화 봉송에 참여하다 file 2017.11.07 이유진 16588
오늘 영국 밤하늘의 뒷이야기, 가이 포크스 데이 file 2017.11.07 김다은 15741
애완견, 사지말고 입양하세요! 2 file 2017.11.08 최나연 17669
거리 위 작은 상담소, 아라메 카페를 아시나요? 1 file 2017.11.08 김은민 15663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 사이먼 싱 file 2017.11.08 정승훈 187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