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문재인 대통령의 주황색 넥타이··· 독도가 우리나라 땅인 이유는?

by 4기이다호기자 posted May 27, 2017 Views 11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독도.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이다호기자]



5월 19일 오찬 회동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착용한 주황색 넥타이가 화제다.



주황색 넥타이는 한 디자인브랜드가 '독도를 말하다'라는 주제로 112주년 독도 주권 선포의 날을 기념해 제작한 넥타이이다.



한편, 이 넥타이의 주제가 된 독도를 둘러싼 대한민국과 일본은 여전히 독도영유권분쟁으로 갈등을 겪고 있다. 여기서 독도영유권분쟁이란 대한민국 영토인 독도에 대한 일본의 영유권 주장으로 비롯된 분쟁이다. 일본은 17세기에 자신들이 독도를 처음 발견했으며 이후 그 주변수역을 실제로 사용함으로써 자신들이 독도의 원시적 권원을 갖게 되었다고 말하며 1905년 2월 시마네현 고시 제40호를 통해 독도를 다케시마라고 명명하고 정식으로 편입조치를 취함으로 인해 자신들이 독도를 소유하였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독도는 1905년 이미 자신들의 영토로 포함된 것이며 1910년 국권침탈과는 무관한 별개의 대상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일본의 이러한 주장이 사실일까?



1900년 대한제국은 '독도는 울릉도에 속한 땅이므로 울릉군은 울릉도와 독도를 다스린다.'라는 내용의 대한제국 칙령 제41호 발표로 조선의 독도 영유권을 국제적으로 공포하였다. 이는 1905년 일본의 발표보다 5년 더 빠르다.

또한, 1946년 1월 연합국 최고사령부는 SCAPIN 677호 <일본의 정의>를 통해 독도를 일본 영토에서 제외했다. 연합국의 결정을 수정하려면 다른 지령이나 공포가 있어야 한다고 하였으나 이후 다른 지령이나 공포가 없었으므로 대한민국이 독도의 영유권을 소유하게 되었다.

신라 512년 이사부가 우산국(독도)을 점령하였는데, 독도는 이미 이때부터 대한민국의 영토였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우산도에서 몇 가지 약초와 함께 수 쇠가죽(바다사자, 물개 등의 가죽) 등을 바쳤다.'라고 하며 이사부가 우산국을 점령한 후 우산국이 매년 신라에 토산물을 제공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이처럼 독도가 다케시마가 아닌 우리나라의 영토인 이유는 많다. 따라서 우리는 독도를 지키기 위해 독도에 관한 홍보지를 만들거나 캠페인에 참여하는 등, 열심히 노력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이다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국제부김다은기자 2017.05.31 18:30
    좋은 기사 갑사합니다! 문제인 대통령의 주황넥타이 사진까지 함께 주셨으면 더욱 좋았을 것 같아요!
  • ?
    4기이승연기자 2017.06.25 00:13
    주황색 넥타이가 이런의미를 담고있는줄 몰랐네요 많이 알아갑니다.
  • ?
    4기이하영기자 2017.07.18 15:56
    넥타이를 통해서 다시한번 독도에 대한 문제들에 대해 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좋은기사 잘 읽고 갑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106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841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2685
노동자들의 파업, 비난 아닌 연대의 시선으로 1 file 2020.01.23 박효빈 11474
노동인권을 다룬 만화, '송곳'을 통해 알아보는 노동3권 1 file 2017.09.11 신동경 13391
노동계의 사각지대. 비정규직 그들의 외침.... 7 file 2017.09.14 서호연 11178
네티즌 충격, 인천 초등생 살인사건의 전말 1 file 2017.07.21 이다빈 24548
내전의 시련 속에서 한줄기 희망 시라아 민간구조대 ‘한얀 헬멧’ file 2016.08.24 노태인 14954
내년 3월부터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 그 함의는 무엇인가? file 2020.10.22 정지후 8839
내가한흡연은 나만의 것이 아니다. 2014.07.29 박지원 23276
내가 하면 로맨스, 네가 하면 스캔들? 4 file 2017.01.25 김민정 17082
내가 다니는 학교에 확진자가 나온다면? 6 file 2020.12.24 김진현 19021
내 손 안의 판도라... 스마트기기 14 file 2016.02.13 한종현 17101
납치범이 드라마를 보여준다고? 3 file 2020.02.26 안효빈 11481
남이섬, 친일 재산인가 1 2017.09.28 문세연 13830
남아공 육상영웅 세메냐: 영광 뒤에 숨겨진 성별 논란 1 file 2018.06.14 박성우 12051
남북한 정치 차이 과연? 2019.03.27 최가원 18136
남북정상회담, 그 효과와 발전방향은? 2 file 2018.10.01 김도경 11817
남북정상, 한반도 평화시대 선언.."올해 종전선언·평화협정 전환 추진" file 2018.04.27 디지털이슈팀 13134
남북 정상의 신년사에 담긴 의미는? file 2018.01.12 정성욱 11542
남북 경헙의 미래 성공 or 실패 file 2019.03.28 김의성 13834
남북 경제협력주, 안전한 걸까? 2 file 2018.05.25 오명석 11328
남북 24시간 소통,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소식 1 file 2018.09.18 정한솔 9487
날마다 변화하는 “매미나방의 피습” file 2019.08.05 김선우 12828
날로 커지는 중국의 영향력, 중국어 자격증 HSK 전격 해부 file 2019.05.30 장윤서 14148
날로 심해지는 중국 내 반(反) 사드운동. 새 정부가 해결할 수 있을까? file 2017.03.22 장진향 10580
날개 꺾인 나비들의 몸부림, 그리고 두 국가의 외면 7 file 2016.02.25 최은지 17050
난민에 대한 국민들의 반감과 청와대의 답변 file 2018.08.09 이수지 10399
난민법과 무사증 폐지를 촉구하는 시민들..'난민 수용 반대' 청원 70만 돌파 1 file 2018.07.19 김나경 10582
난민 수용, 과연 우리에게 도움이 될까? 1 2018.12.21 이호찬 22533
난민 수용, 어디까지 가야 할까? 1 file 2019.10.22 전순영 15135
난민 문제, 과연 언제부터 시작된 것일까? file 2020.08.24 이수연 10377
낙태죄, 이대로 괜찮은가? 4 file 2017.11.24 장서연 11856
낙태죄 폐지를 둘러싼 찬반 대립, 내면은? 4 file 2019.02.19 하지혜 17475
낙태를 둘러싼 찬반대립, 무엇이 적절한가 file 2019.03.04 조아현 12238
나에게 맞는 요금제를 사용하려면? 4 file 2016.04.19 이은아 16371
나비가 되신 위안부 피해자, 김군자 할머니 8 file 2017.07.23 송다원 11253
나비 달기 캠페인과 함께 하는 위안부 서명운동 4 file 2016.04.09 오시연 17124
나라를 지킨자들, 무심한 우리사회 2 file 2016.06.24 김은아 16423
나라를 위해 바다로 나선 군인들에게 돌아온 것은 '과자 한 박스' file 2021.07.26 백정훈 14577
나라 싸움에 등터지는 학생들 file 2017.03.25 김윤혁 13297
나날이 늘고 있는 아동학대, 가정폭력...줄일수는 없을까? 2 file 2020.06.17 이채원 13332
나 지금 인공지능이랑도 경쟁해야하니? 5 file 2016.03.28 박지윤 16482
끝없는 갑질 논란. 이번엔 백화점 난동? 1 file 2018.07.25 하예원 10238
끝나지 않은 피해자들의 고통, 위안부 기림일 행사 2017.08.22 5기정채빈기자 10552
끝나지 않은 전쟁, 미국은 왜 아프가니스탄을 떠났나 file 2021.09.27 강도현 10446
끝나지 않은 위안부 문제, 시민들이 바라는 해결책은? 11 file 2016.02.21 김미래 18173
끝나지 않은 그들의 수라, 미제 사건 file 2017.03.18 최사라 12651
끝나지 않는 코로나19, 백신 개발은 언제쯤? 2020.08.31 김정원 8389
끝나지 않는 싸움... 쌍용양회를 향한 사투 file 2019.04.01 임승혁 10330
끝나지 않는 가슴 아픈 종파 싸움, 시리아 내전 file 2021.09.30 류채연 76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