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한중관계, 깊어지는 감정의 골

by 4기유승균기자 posted May 21, 2017 Views 1105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냉소적이고, 삭막한 상황이다. 한중일의 관계는 거리상으로는 이웃나라임에도 불구하고 감정적으로 먼나라 이어왔고, 그 상황은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개선되지 않고 오히려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 사드배치가 결정되면서 극에 치닫게 된 중국과의 기싸움은 양국 관계를 최악의 국면에 이르게 하고 있다.

남북 관계 또한 좋지 않은 상황, 언제 북측에서 미사일을 날릴지 모르는 상황, 사드는 그런 상황을 대비할 수 있는 대안이다. 그리고 중국은 이것을 부정적으로 여기고 있다. 한반도, 넓게는 아시아를 위협할 북한에 대한 대책을 중국이 막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은 사드가 미사일을 포함한 여러 비행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신들의 군사정보 등이 노출되고 이 정보가 미국으로 넘어갈까 두려워하고 있다. 사드 배치가 결정된 상황, 한국인의 중국관광과 중국인의 한국관광은 사드와 관련한 이야기가 나오기 전보다 훨씬 감소하였고, 여러 산업에서의 수출이나 교류가 감소하고 있다. 특히 사드 배치를 위한 부지를 마련해준다 제안한 모 기업은 중국에서 불매운동이 벌어지고 있을 정도로 양국의 경제적 손실이 심화되고 있다.

한반도의 안전을 위한 이 장치를 부정하는 중국은, 북한과 마찬가지로 경계의 대상이 되어버릴 수 있다. 러시아 또한 사드와 유사한 방공레이더를 중국 근처에 설치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이에 대해서는 러시아 정부에 항의를 하거나 보복을 가하지 않았다. 하지만 우리나라에 대해 예민하게 반응하는 것은, 우리나라에 대한 불신의 골이 깊고, 군사적으로 예민한 관계임을 표하는 것이다. 이러한 불신은 언젠가는 평화를 위협하는 불씨로 돌아올 수 있다.

한중간의 갈등은 사드뿐만이 아니다. 봄철이 되자 다시 중국어선의 불법조업이 만연하고 있고 이에 따라 우리나라 어선들의 피해가 막심하다. 다행히 올해는 불법조업을 강하게 경계하고 단속해 그 피해를 많이 줄였다곤 하지만, 해상에서의 일이다 보니 완전히 단속하기 힘든 현실이고 이런 상황을 제재하지 못하는 중국정부와의 갈등 또한 지속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ㅂㅈㄱㅂㅈㄱㅂㅈ.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유승균기자]

우리나라는 중국에 관광과 수출을 과하게 의존하는 편이다. 서로 여전히 불신하고, 언제 관계가 파국으로 치닫게 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너무 높은 아이러니한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는 것이다. 분명히 우리는 중국과의 관계회복도 필요하고, 중국에 과하게 의존하는 상황도 타개해야만 한다.

현 상황에서 중국과의 관계회복을 하는 가장 빠른 방법은 사드배치를 무르는 것이다. 하지만 사드배치를 무르는 경우, 중국은 계속 우리나라에 영향력을 뻗치게 될 것이고, 이것은 곧 중국에 대한 의존도 상승으로 이어지며 악순환이 반복될 것이다. 중국이 경제적 보복을 하고 있지만, 몇몇 산업에 대해서는 중국이 완전히 경제적으로 교류를 끊을 수 없고, 비관세장벽을 넘긴다면 중국이 우리나라 제품의 유입을 막는 데에도 한계가 발생할 것이다. 쉽게 타국에 의해 움직이기보다는, 현 상황을 이성적으로 해결할 방법을 찾고, 새 정부가 만들어갈 새로운 외교정책을 기대하는 것이 최선이다. 중국 뿐 아니라, 외교적으로도 미국에 의존하는 상황은 이제 벗어나야만 한다. 외교는 어디까지나 양국의 이익을 위한 것이고, 어느 한 국가에만 집중적으로 의존하는 태도는 타국과의 외교에 족쇄가 된다. 미국과 중국의 자존심싸움의 중심에 서있는 지금, 이것에서 하루라도 빨리 벗어나 새로운 경제적, 외교적 환경을 조성해야 타국에 휘둘리지 않고 우리나라의 정책을 고수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정세에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유승균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219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884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2410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492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9681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9065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210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20049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1889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1215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19783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8928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9758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691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6044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1057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0387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286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369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9152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1273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650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19993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672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0931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220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9187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320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9070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20224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392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5841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0194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247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3810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420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500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9027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2136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1312
AI 가니 구제역 온다 2 file 2017.02.10 유근탁 15563
AI 사태 100일 째, 아직도 끝나지 않은 AI(조류 인플루엔자) 1 file 2017.03.26 윤정원 11279
AI 온지 얼마나 되었다고 이젠 구제역?! 5 file 2017.02.15 정소예 14488
AI 직격탄 계란값....도대체 언제쯤 복귀할까? 6 file 2017.01.23 김서영 18060
AI의 완화... 계란 한 판 '6~7000원'대, 닭고기 가격 상승 2 file 2017.02.21 이수현 15726
Because you are right, Bernie. You're right! file 2016.05.04 박정호 16489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1 file 2018.08.30 김지민 10454
CGV 좌석차등제, 영화관 좌석에 등급이 웬말인가 5 file 2016.03.20 정현호 35237
D-15 19대 대선, 달라지는 sns 선거운동 4 file 2017.04.25 윤정원 13343
EPR. 생산자도 폐기물에 대한 책임을 문다. file 2018.04.30 이기원 11561
EU의 중심, 영국마저 저버린 의무적인 배려...과연 누가 따를 것인가? 1 file 2016.07.25 김예지 158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