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우리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부의 불평등

by 6기양현서기자 posted May 16, 2017 Views 1264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요즘 대선이 끝나고 새로운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이번 대통령이 과연 현재 우리나라의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해 나갈지 국민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문제들은 과연 무엇일까?

b32a99a27385324cf605dc05c293641a.jpg

[이미지 출처=퍼블릭 도메인 이미지(저작권 소멸)]


물론, 전부 다 '이것'에 의한 문제는 아니겠지만, 그 중 대부분이 '이것'에 의한 문제이다. 그렇다면 '이것'은 무엇일까?

'이것'은 바로 '부(Wealth)', 넓게 말하면 '부의 불평등(Wealth of inequality)'이라 말할 수 있다.

이번 대선에서 공통된 공약들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최저임금 인상'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최저임금은 2017년 1월 기준으로 프랑스(181만원), 독일(184만원) 등에 비해 훨씬 낮다. 이러한 임금의 인상은 부의 불평등을 해소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부의 불평등은 이러한 일시적인 정책으로는 사라지기 어렵다. 이는 다른 나라의 상황을 예시로 들면 이해하기 쉽다. 선진국인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조차도 극심한 부의 불평등 문제를 겪고 있다.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앞에서 한 달 최저임금이 181만원, 184만원이던 프랑스, 독일조차 이러한 문제들을 겪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는 최저임금을 인상하는 것만이 노동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더 나아가 '부의 불평등'을 해소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정책은 단지 일시적으로, 점진적으로나마 상위 1% 계층과 저소득층, 중산층과의 경제적 격차를 조금이나마 줄여보려는 노력일 뿐이다. 물론, 이러한 노력과 절차들을 겪지 말아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절차나 과정도 물론 중요하지만, 이로 인해 얻어지는 결과가 더욱 중요하게 여겨지는 오늘날의 대한민국에서, 우리는 보다 적극적이고 근본적인 해결책을 내놓아야 한다.

그렇다면, 그러한 해결책은 무엇이 될 수 있을까?

20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근대 경제학자인 존 메이너드 케인즈(John Maynard Keynes)는 1929년 미국에서 대공황이 발생했을 때, '땅을 파서 병 안에 지폐를 담아 묻은 다음에, 이것들을 다시 파게 해야 한다.'라는 처방을 내렸고, 이를 바탕으로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이 '뉴딜정책'을 펼쳐 당시 꼼짝도 하지 않던 미국 경제를 활성화 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일자리 창출'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이다. 우리는 상황이 조금 다르지만, 앞의 사례를 '부의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일자리 창출 즉, 고용은 아무리 열심히 일하고 싶어도 일을 하지 못하는, 즉 최저임금 조차 받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더 나은 미래와 일을 함으로써 자신의 능력을 계발할 수 있는 그런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최저임금 인상과 더불어 일자리가 더욱 더 많아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의견을 드러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4기 양현서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오경서기자 2017.05.20 23:19
    미국의 뉴딜정책같은 부의 불평등을 해소시킬 획기적인 정책이 새로 출범된 정부에서 나온다면 좋겠네요. 좋은 기사 잘읽고가요!
  • ?
    6기양현서기자 2017.06.10 10:19
    뉴딜정책과 같은 획기적인 정책이 이번 우리나라 새 정부에서 나오길 기대해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441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244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6335
난민에 대한 국민들의 반감과 청와대의 답변 file 2018.08.09 이수지 10473
날개 꺾인 나비들의 몸부림, 그리고 두 국가의 외면 7 file 2016.02.25 최은지 17119
날로 심해지는 중국 내 반(反) 사드운동. 새 정부가 해결할 수 있을까? file 2017.03.22 장진향 10664
날로 커지는 중국의 영향력, 중국어 자격증 HSK 전격 해부 file 2019.05.30 장윤서 14229
날마다 변화하는 “매미나방의 피습” file 2019.08.05 김선우 12913
남북 24시간 소통,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소식 1 file 2018.09.18 정한솔 9560
남북 경제협력주, 안전한 걸까? 2 file 2018.05.25 오명석 11418
남북 경헙의 미래 성공 or 실패 file 2019.03.28 김의성 13918
남북 정상의 신년사에 담긴 의미는? file 2018.01.12 정성욱 11643
남북정상, 한반도 평화시대 선언.."올해 종전선언·평화협정 전환 추진" file 2018.04.27 디지털이슈팀 13205
남북정상회담, 그 효과와 발전방향은? 2 file 2018.10.01 김도경 11879
남북한 정치 차이 과연? 2019.03.27 최가원 18245
남아공 육상영웅 세메냐: 영광 뒤에 숨겨진 성별 논란 1 file 2018.06.14 박성우 12122
남이섬, 친일 재산인가 1 2017.09.28 문세연 13898
납치범이 드라마를 보여준다고? 3 file 2020.02.26 안효빈 11571
내 손 안의 판도라... 스마트기기 14 file 2016.02.13 한종현 17135
내가 다니는 학교에 확진자가 나온다면? 6 file 2020.12.24 김진현 19117
내가 하면 로맨스, 네가 하면 스캔들? 4 file 2017.01.25 김민정 17126
내가한흡연은 나만의 것이 아니다. 2014.07.29 박지원 23340
내년 3월부터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 그 함의는 무엇인가? file 2020.10.22 정지후 8915
내전의 시련 속에서 한줄기 희망 시라아 민간구조대 ‘한얀 헬멧’ file 2016.08.24 노태인 14985
네티즌 충격, 인천 초등생 살인사건의 전말 1 file 2017.07.21 이다빈 24624
노동계의 사각지대. 비정규직 그들의 외침.... 7 file 2017.09.14 서호연 11241
노동인권을 다룬 만화, '송곳'을 통해 알아보는 노동3권 1 file 2017.09.11 신동경 13441
노동자들의 파업, 비난 아닌 연대의 시선으로 1 file 2020.01.23 박효빈 11516
노란 물결이 일렁이는 4월 16일 file 2017.04.16 이지연 11982
노랑나비, 위안부 할머님들을 위해 날다. 1 file 2016.03.24 강민지 20743
노로 바이러스, 너의 정체가 궁금하다! file 2018.04.23 박기상 10301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8주기,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file 2017.05.25 임재우 13122
노인 복지 정책, 어떻게 얼마나 변했는가? file 2018.07.26 장서진 11871
노인 자살, 도대체 왜? file 2019.05.23 진찬희 12261
노인 지하철 무임승차, 과연 경제적으로 합당한가? file 2017.11.20 김진모 13150
노점상, 생계를 위한 불법? 1 file 2016.03.24 김현승 18265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 재건 해야 하나? file 2019.05.10 유예원 13005
노트르담 대성당의 붕괴 file 2019.05.14 양재성 11290
노트르담 대성장 화재, 그리고 한 달 file 2019.05.21 최예주 11400
노화? 제대로 알고 방지하자! 1 2019.01.08 이지은 12419
논란 많은 한국의 페미니즘, 왜? 5 file 2018.08.23 김성백 13280
논란 속 국정화 교과서... 시범학교 신청마감 1 file 2017.02.21 김리아 16413
논란 속의 '페미니즘' 1 2018.04.18 이가영 12504
논란의 기안84... 이번에도 여성 혐오 논란 2 file 2020.08.19 김민결 9418
논란의 정답은 외인사로 끝나지 않는다.; file 2017.06.25 김유진 9121
논란의 중심 배달의민족 file 2020.04.27 박채니 8862
논란의 중심인 국적법, 도대체 뭐길래? file 2021.05.24 서호영 8427
농산물이 일으킨 수출의 문 file 2020.10.05 김남주 8884
농업의 공익적 가치를 헌법에, 1천만 명 서명운동 2017.11.21 강승필 11561
농정원, 코로나19 전후 명절 선물 트렌드 변화 분석 결과 발표 file 2022.08.31 이지원 6743
누가 영웅을 쓰러뜨리려 하는가 3 file 2017.05.02 김수민 105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