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19대 대선의 여담

by 4기강민기자 posted May 21, 2017 Views 107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어느덧 19대 대선이 끝났다. 원래는 2017년 12월 20일 실시 예정이었으나 2017년 3월 10일, 박근혜 대통령이 파면되면서 2017년 5월 9일 조기 선거가 치러졌다. 그리고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최종 득표율 41.1%, 최종 득표수 13,423,800 표를 얻어 당선되었다.



이번 19대 대선은 특수한 상황에서 치러져서 인지 흥미로운 결과를 많이 남겼다.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자.


#1: 역대 1-2위 후보 최대 표차 선거

지난 17대 대선 당시, 한나라당의 이명박 후보는 대통합민주신당의 정동영 후보를 약 531만 표 차이로 이겼다. 그러나 이번 19대 대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를 약 557만 표 차이로 꺾어 최다 표차 기록을 경신했다.


#2: 군소 후보들의 난립

총 15명이 후보로 등록하여 17대 대선 당시의 12명을 갱신하였다. 그러나 기호 11번 통일한국당의 남재준 후보와 기호 13번 한반도미래연합의 김정선 후보가 사퇴하여 총 13명이 출마하였다. 후보자가 많음에 따라 투표용지의 길이가 길어져서 28.5cm가 되었다. 이는 역대 대선 투표용지의 길이 중 최고 기록이다.


#3: 대통령 선거 적중률 100%의 신통방통한 지역

제주특별자치도와 충청남도 금산군은 지금까지의 모든 대선에서 적중률 100%를 보여왔다.

문재인 후보는 제주도에서 45.5%, 충남 금산군에서 34.2% 의 득표율을 기록해 두 지역의 징크스는 이번에도 깨지지 않았다. 특히 제주도는 모든 읍, 면, 동 지역에서 문재인 후보가 1위를 하였다.


#4: 청소년의 표심은 달랐다?

한국 YMCA 전국연맹에서는 모의투표를 주최하였다.약 5만여 명의 청소년이 참여하여 39%의 득표율을 올린 문재인 후보가 1위를 하였다. 실제 대선에서는 문>홍>안>유>심 후보 순으로 득표를 하였지만 청소년 모의투표 결과로는 문>심>유>안>홍 후보 순으로?득표하였다.


#5: 경상남도의 표심은 어디로?

당선권에 드는 세 후보의 고향이 모두 경상남도라 유권자들의 이목이 집중되었던 지역이다.

문재인 후보는 경남 거제시, 홍준표 후보는 경남 창녕군, 안처수 후보는 경남 밀양시가 고향이다.

문재인 후보는 민주당계 후보로서는 처음으로 동남권(PK)에서 승리하였다. 부산에서는 16개 선거구

중 13곳에서 승리하였다. 문 후보는 38%를 득표하며 2위인 홍 후보와 약 7% 차이로 승리하였다.

울산에서는 문 후보가 약 38%를 득표해 27%를 득표한 홍 후보를 제쳤다. 경상남도 전체로는

서부경남 VS 동부경남 의 결과가 달랐다. 일명 '낙동강 벨트'로 분류되는 노동자가 많은 김해, 양산, 창원, 거제 등지에서는 문재인 후보가 승리하였지만 진주시, 합천군 같은 서부경남에서는 홍준표 후보가 승리하였다. 전체 득표율로 보자면 홍준표 후보가 약 1% 차이로 문재인 후보에게 신승을 거뒀다.


#6: 재외국민의 표심은 어떨까?

재외국민 투표 제도가 실시된 이후, 역대 최대 투표율인 77.2%를 기록하였다. 재외국민 투표의 승리자는 문재인 후보로 59.2%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2위는 안철수 후보로 16.2%를 기록하였다.


KakaoTalk_20170521_003719424.jpg

▲19대 대선 후보들의 포스터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강민 기자]


이렇게 19대 대선의 여담을 알아보았다. 제6공화국의 세 번째 정권교체가 일어났고, 더불어민주당은 제3기 민주 정부를 수립했다. 예전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 대한민국을 잘 이끌어 주시길 바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강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최민규기자 2017.05.21 08:33
    앞으로 대한민국을 문재인 대통령님께서 잘 이끌어 나가시기를 바랍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6기김수희기자 2017.05.21 21:27
    이번 대통령이 정말 책임감이 막중하다고 생각하는데 잘 이끌어 나가길 바라네요! 기사 잘 읽고 가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572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367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7728
고1 당원 배지, 고3 금배지 다는 시대가 다가온다 file 2022.01.24 강준서 9849
기업의 물적분할,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22.01.24 류민성 10161
광주 학동 참사에 이은 화정아이파크의 붕괴... 건설사 HDC현대산업개발은? file 2022.01.24 김명현 13953
안철수 딸 안설희 박사, 안철수 지지율 상승에 큰 힘이 될까 file 2022.01.25 윤성현 29649
인류가 맞이한 최대 위기,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해결책은 '회복 탄력성'... 그렇다면 한국은? file 2022.01.27 한승범 9747
예멘 후티 反軍, 아랍 에미리트 향해 미사일 공격 1 file 2022.01.27 권강준 6366
필리핀,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 file 2022.01.28 최윤아 8020
드디어 임박한 토론, 후보들의 앞에 놓인 과제는? file 2022.02.03 김희수 10502
강원도 스키 강사 초등생 성폭행 사건 발생 file 2022.02.07 오경언 7051
심각한 경제위기에 직면한 일본.. 이대로 선진국 반열에서 탈락하나? file 2022.02.08 이성훈 8362
지정학적 위기부터 연준의 긴축 가능성까지 … 증시 ’긴장’ file 2022.02.21 윤초원 6173
국민연금, 대표소송 통해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 나서나 file 2022.02.22 류민성 6537
러시아 그리고 우크라이나, 우리에게 주는 영향은? file 2022.02.24 강민지 6419
대선에만 치우친 시선, 2022년 재보궐선거는? file 2022.02.25 고대현 9481
이별 후 과도한 집착과 가스라이팅... 이제는 형사처벌까지? file 2022.02.25 김명현 9458
'동유럽'의 전쟁과 '동아시아'의 전쟁 file 2022.02.28 김준기 6634
탄화규소 전력반도체 웨이퍼의 대량 도핑 기술 개발... 대량생산 원천기술 확보 file 2022.02.28 한건호 8284
우크라이나 사태와 반도체 기업 file 2022.02.28 이준호 6373
이재명-김동연 → 윤석열-안철수, 막바지 판도 흔드는 단일화 변수 file 2022.03.04 김희수 8850
한국거래소, 러시아 ETF 거래 정지 발표 file 2022.03.07 윤초원 6652
대한민국의 다음 5년은 누가 이끌어갈 것인가? file 2022.03.08 강준서 6017
실업의 종류와 대책 - COVID-19 펜데믹으로 인한 실업자 급증 file 2022.03.10 권나연 9689
제2 벤처붐 분다 file 2022.03.15 류민성 7431
이란, 이라크 이르빌 향해 미사일 공격 file 2022.03.16 권강준 7423
윤석열 대통령 당선에 대한 각국의 반응은? file 2022.03.21 이유진 10120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원자재 수급 불안 가속화하다? file 2022.03.25 이성훈 9017
재건축 규제 완화 공약...강남 집값 상승 전환 file 2022.03.28 송경원 10009
뉴욕 연은 총재 빅 스텝 가능성 시사…본격적 긴축 시작되나 file 2022.03.28 윤초원 6403
GOS 게이트 톺아보기 file 2022.03.28 이준호 18888
소수의 권력층에 의해 행해지는 전쟁, 그 참상에 대하여 file 2022.04.01 강도현 7358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대통령 집무실과 관저는 어디로 정했나? file 2022.04.26 강준서 7524
HDC현대산업개발 '광주화정아이파크' 전면 재시공 file 2022.05.09 김명현 7697
코로나19가 당뇨발생 위험률 높인다 2022.05.16 신은주 10791
청년 인재들을 위한 사회 변화 실험터 ‘SUNNY’, 사회 문제 분석 보고서 발표 file 2022.05.23 이지원 6699
한국청소년재단, ‘투표한다람쥐’ 캠페인 실시 1 file 2022.05.30 이지원 5761
푸른나무재단, '마음 톡톡 페스티벌' 학교폭력 예방 캠페인 실시 file 2022.06.02 이지원 8549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산불 진화 현장 속 '숨은 영웅' 자원봉사자 활약 소개 file 2022.06.07 이지원 7246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6·10민주항쟁 35주년 기념 ‘2022 민주주의 창작공모전’ 개최 file 2022.06.08 이지원 6406
환경실천연합회, 대기 환경 개선 위한 ‘대기를 살리는 청년들’ 서포터즈 모집 file 2022.06.13 이지원 6523
청소년 미디어 과의존 해소 위한 '2022 서울시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연합세미나’ 개최 file 2022.06.13 이지원 6717
창립 50주년 기념 제182차 KEDI 교육정책포럼 개최 file 2022.06.14 이지원 5853
‘코로나19 시대에서 일상회복으로의 전환기에 청소년들이 겪는 생활실태’ 주제로 서울특별시 청소년정책포럼 개최 file 2022.06.20 이지원 7828
한글문화연대, ‘제2회 외국어 남용에 불편했던 이야기 수기·영상 공모전’ 개최 file 2022.07.01 이지원 5851
저시력 시각장애인의 도보 이동권 문제, 청년들이 내놓은 개선 방안 공유 file 2022.07.15 이지원 7604
강북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2022 스마트폰 가족치유캠프 개최 file 2022.07.15 이지원 8002
한국도서관협회 입장문, '2023년 신규 사서교사 정원 동결, 즉각 철회하라' file 2022.08.05 이지원 8156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청소년 위한 민주시민 교육 ‘좋은시민이란 무엇일까?’ 프로그램 운영 file 2022.08.09 이지원 6573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SOS생명의전화’ 운영 11년 차 맞아 누적 상담 빅데이터 분석 결과 공개 file 2022.08.12 이지원 65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