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스트레스에 관한 간단한 고찰

by 4기이영혁기자 posted Apr 29, 2017 Views 1938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8191131_267771053632046_1917902265_n.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4기이영혁기자]

스트레스성 편두통 완화를 위한 진통제. (녹사펜정, 비)타이펜이알서방정, 토핌정, 모프롤정)


요즘의 우리 사회는 아이 어른 할 것 없이 스트레스와 전쟁 중이다. 특히 시험기간의 학생들의 스트레스는 상상을 초월한다. 이러한 스트레스,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선 잘 아는 것이 좋지 않을까. 그래서 이번 기사에서는 스트레스가 무엇인지, 어떻게 하면 스트레스를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을지 알아볼 예정이다.

스트레스란 무엇일까
우선 스트레스란 무엇일까? 스트레스란 우리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스트레스원’과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통틀어 부르는 말이다. 스트레스 반응이란 불안, 우울, 초조와 같은 심리적 반응과 소화불량, 식욕저하, 편두통과 같은 신체적 반응으로 나뉜다.

스트레스 자극은 우리를 무기력하게 만들고, 우리를 내, 외적으로 매우 취약한 상태에 만든다.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외적 자극을 스트레스 인자(stressor)라고 하는데 성공적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려면 생활 속에 나타나는 스트레스 인자를 찾아야 한다(장현갑, 강성군, 2002).

다음은 반응으로써의 스트레스다. 반응으로써의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상황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를 받음으로써 자신이 하게 되는 행동, 즉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말하는 것이다. 스트레스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반응은 다음과 같다.

이미지 1.png



왜 스트레스를 받을까
스트레스는 아주 사소한 일부터 매우 심각한 일까지 다양한 일로부터 온다. 적절한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서는 스트레스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이 중요하기에 지금부터 키워드를 중심으로 스트레스의 발생 원인과 그에 따른 대처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첫째, 주요 생활 사건이다. 결혼, 이혼, 가족의 사망과 같은 인간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치는 주요 생활 사건은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주요 생활 사건을 겪는 사람들은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으며, 이로 인해 질병을 앓게 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하지만 이는 우리 학생들과는 무관한 얘기이니 그냥 넘어가도록 하자.

둘째, 일상의 골칫거리다. 이의 예시로는 교통체증, 지각, 소지품 분실, 친구 혹은 가족과의 다툼 등의 요소에서도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한다. 일상속의 스트레스가 많아질수록 매사에 부정적이게 되고,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으며, 그에 따라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고 한다. 한편 우리는 일상생활의 소소한 일들에서 행복을 얻기도 한다. 우리가 일상생활 속에서 겪게 되는 사소한 즐거움들은 우리를 분노, 우울, 스트레스 상태에서 벗어나게 하고 무기력 상태에서 벗어나 삶을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해준다.

셋째, 좌절이다. 우리는 살아가며 실패를 겪으면 좌절한다. 그 대상은 야자가 끝난 후 무인판매를 먹으려 하는데 이미 품절되었을 때와 같은 사소한 일들부터, 모의고사 등급이 한 두 단계 떨어지는 심각한 일들까지 그 요인이 매우 다양하다. 우리는 좌절을 하며 분노, 불안, 공포 와 같은 부정적 감정을 느끼게 된다. 좌절은 생활 속의 아주 자연스러운 과정이지만, 이러한 일들이 지속적으로 일어난다면 결국 우리는 심리적 탈진 상태에 빠진다.

심리적 탈진이란 교사, 콜센터 직원, 사회복지사, 상담사, 변호사와 같은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사람, 특히 감정 노동자들이 사람들을 상대하다가 정작 자신은 돌보지 않아 일어나는 일이다. 학생들도 성적의 저조함 등에 의해 부모님이나 선생님께 지속적인 핀잔을 듣는다면 심리적 탈진 상태에 빠진다.

마지막으로 대인관계 폭력이다. 타인으로부터 신체적 혹은 정신적 폭력을 당하게 되면 우리는 극심한 스트레스 상태에 빠진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이 그 대표적인 예시이다. ‘PTSD는 심각한 위헙이나 상처를 실제로 경험하거나 그러한 일이 타인에게 일어나는 장면을 목격할 때 나타나는 장애이다.(네이버 사전)’ 큰 충격적 사건을 경험한 사람은 그 사건을 잊지 못하고 반복적으로 기억하며 악몽에 시달리고 두려움과 불안에 사로잡힌다.

우리가 만약 일상생활에서 얻는 다양한 스트레스들을 분류하고, 이를 조정할 수 있다면 우리가 스트레스로 심리적 탈진 상태에 이르는 경우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는 이런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알아보자.

어떻게 스트레스에 대처할까
첫째, 유산소 동을 하며 에너지를 발산하자. 스트레스가 우리 몸에 유해한 이유는 코르티솔 때문이다. 코르티솔(cortisol)이란 콩팥의 부신 피질에서 분비되는 스트레스 호르몬이다. 코르티솔은 외부의 스트레스와 같은 자극에 맞서 몸이 최대의 에너지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하는 과정에서 분비되어 혈압과 포도당 수치를 높인다. 이는 식욕을 증가시켜 체중을 늘리고 혈압을 높여 고혈압을 초래할 수 있으며, 불안, 초조 상태가 이어져 만성 피로, 만성 두통, 불면증 등을 야기한다. 또, 면역 기능을 약화시켜 각종 질병에 노출되는 취약한 상태에 빠질 수 있다. 이러한 코르티솔은 유산소운동을 할 때 분해되고, 유산소 운동의 규칙적 리듬의 반복은 뇌에서 세로토닌을 분비하게 하여 심리적 안정을 가져다주기에 유산소운동은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한 좋은 방법이다.

둘째, 나를 응원해주는 사람, 사랑하는 사람과 대화를 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라고 이야기하였듯, 자신을 지지해주고 응원해주는 사람들로부터 위로의 말을 들으며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많이 힘들었겠다," "많이 속상했겠구나." 등 위로의 말을 들으며 감정을 추스르는 것도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

셋째, 충분한 숙면이다. 현재 한국의 수면장애 환자는 2010년 28만 9500명에서 2015년 45만 5900명으로 57.5% 증가했다고 한다(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수면부족에 시달리고 있다는 뜻인데, 수면부족은 스트레스 관리 능력을 떨어뜨리고 사람을 더욱더 초조하게, 우울하게, 신경질적으로 만든다고 한다.
그 외에도 청소를 통한 기분 전환, 취미생활, 명상, 반신욕, 자연물을 쳐다보며 생각 정리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지금까지 스트레스의 정의, 스트레스의 발생 원인, 스트레스 해소 방법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물론 스트레스를 안 받는 경우가 최상이겠지만, 그럴 수 없으니 자신에게 맞는 간단한 스트레스 해소 방법을 익혀 스트레스를 공략해보는 것이 좋지 않을까.

참고 문헌: http://terms.naver.com/entry.nhn docId=1261188&cid=40942&categoryId=32315
http://blog.naver.com/llllbdllll/220632530633
http://news1.kr/articles/ 2635701
http://blog.naver.com/litebook_kor/220611375785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4기 이영혁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4058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37788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59574
대한민국에서 여자로 태어난 '82년생 김지영'의 고통 2 file 2017.05.25 이세림 19658
꿈을 키우는 EBS 방송국 견학, 함께 해요! 3 2018.04.30 우소영 19652
청소년들이 모르는 ‘청소년증' file 2016.08.24 정현호 19649
‘고등래퍼’ 좋은 시선이 될 수 있을까? 14 file 2017.02.25 안수현 19639
충격의 도쿄올림픽, 한국 야구의 현주소는 어디인가? file 2021.08.09 이정훈 19630
열섬 현상을 막는 도심 속 생태계, 서울숲 file 2018.08.29 전세린 19614
우리나라의 유일한 하앙식 구조 건축물은? 1 file 2017.10.09 김다정 19613
인물사진 잘 찍는 방법에 관한 3가지 TIP! 4 file 2020.01.30 심재훈 19604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기술 1 file 2016.11.04 박가영 19595
대한민국 힙합 열풍 속 힙합 꿈나무의 도전, 래퍼 Johny Kwony! 1 file 2016.09.25 신재윤 19592
담양 산타축제가 열리는 메타프로방스를 가다 file 2018.12.26 조햇살 19591
2017 전주 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된 영화 '돌아온다', “여기서 막걸리를 마시면 그리운 사람이 돌아옵니다.” 1 file 2017.05.15 김다정 19581
국립부산과학관, 지구의 행복 1박 2일 캠프 성공리에 마쳐 5 file 2017.02.15 박서영 19566
베스트셀러에서 베스트 영화로 '당신 거기 있어줄래요?' 10 file 2017.02.18 김보미 19564
인터넷만 있어도 뚝딱 만드는 카드뉴스, 너도 만들 수 있어! file 2020.12.09 송민서 19553
대구 세계화를 위한 청소년 연합, 시내 캠페인을 성황리에 마치다 8 file 2016.03.13 장보경 19551
전국 국제고 연합 학술제, 축제의 장이 열리다 3 file 2018.11.13 김현아 19541
진짜를 구별하여라!(위조지폐 구별) 1 2017.10.12 김건우 19536
화려한 막을 내린 도깨비 18 file 2017.01.25 옥승영 19535
교토, 일본 본연의 도시 7 file 2018.08.20 이승철 19534
서울시립과학관에서 만나는 과학 file 2019.04.01 봉하연 19532
필리핀 보라카이 잠정폐쇄, 그 이후는? file 2018.05.28 박지현 19529
무한리필, 무한선택 탄산음료 5 file 2016.08.21 조은아 19527
우리가 곧 현실이라는 것을 알려준 【스마트 디바이스 쇼 2017】 2017.08.17 권오현 19525
심각한 일자리 부족에 고통받는 청년들, 그들을 위한 지원은? 2 file 2021.04.28 김민아 19524
느껴보자! 울릉도의 맛과 멋 그리고 즐거움까지 2 file 2017.08.11 정은희 19520
Pokemon Go’s effects on culture file 2016.10.24 정채현 19515
"뚜벅뚜벅 부산건축투어" file 2017.11.13 오태윤 19509
밝은 미래를 향한 노력의 중심, 제4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 2 file 2017.03.28 신온유 19503
군함도 개봉, 아픔의 역사를 알리다 2017.08.05 김정환 19501
걷기 좋은 골목길, 방배 사이길! file 2017.10.02 최승은 19496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에서 기업가 정신 캠프 개최 16 file 2016.02.24 황지혜 19492
일제강점기의 역사를 찾아서,서대문형무소 1 file 2016.08.25 이다혜 19491
세계 최대 규모 해킹대회 '코드게이트' 성황리에 마무리 3 file 2017.04.23 김지환 19485
2019 양산웅상회야제 file 2019.06.03 김서현 19483
뭐? 게임을 깔지 않아도 플레이 할 수 있다고? 2 file 2019.12.11 김채운 19470
물러설 수 없는 한판 승부, 인천광역시 고등학교 학교스포츠클럽 플로어볼 대회 file 2016.09.16 최윤철 19465
교육, 뭐시 중헌디? (교육 받을 권리 고려해봐야.) 1 file 2016.08.01 오성용 19460
4차 산업혁명이란 무엇일까? 1 2017.03.21 박소연 19456
한용덕 감독의 한화 이글스... 2018 시즌 반등할 수 있을까? file 2018.04.02 문준형 19445
청소년의 방학, 휴식 시간인가? 4 file 2017.08.27 박재현 19442
서울 송파구 석촌호수, 9일간 벚꽃길을 펼치다 2 file 2017.03.30 박재완 19442
수용자를 집에서도 만날 수 있다고? 1 file 2017.03.18 노유진 19440
I Marymond You;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하나의 움직임 3 file 2017.03.05 김가빈 19438
훌쩍 다가온 가을, 제철음식은? file 2016.09.25 최서영 19438
정의란 무엇인가? 꿈에 다가가기 위한 캠프, 대검찰청 주관 이준 저스티스 캠프가 개최되다! file 2017.08.27 김은민 19436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를 소개합니다. file 2016.10.25 이진호 19436
도시별 버스 요금 인상 2 file 2018.06.01 허찬욱 194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