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IKEA는 역행하고 있다.

by 4기홍은서기자 posted Apr 25, 2017 Views 152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57월 기준, 한국 가구 시장의 규모는 10757억 원으로 영향력 있는 산업의 한 분야로서 꾸준히 성장해나가고 있다. 아직까지 한샘’, ‘현대 리바트와 같은 기업들이 가구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최근 새로운 방식을 추구하는 한 기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바로 ‘IKEA’이다. IKEA불편함을 돈 주고 산다.’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이전과는 색다르고 독특한 아이디어인 조립식 가구를 판매하고 있다. 앞으로 인터넷 자료 조사를 통하여 알아본 IKEA의 차별화 전략을 살펴보면서 미래 국가 경쟁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기업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전략을 구상해본다. 더불어, IKEA가 보여준 새로운 것으로의 추구를 바탕으로 기업가 정신을 대입해본다.


캡처.JPG

[이미지 제공=IKEA 공식 홈페이지 http://www.ikea.com/kr/ko/]


IKEA는 스웨덴의 잉바르 캄프라드1943년에 설립한 조립식 가구, 침구류, 주방용품 등의 브랜드이며 본사는 네덜란드에 있다. 취급하는 제품을 보면 다른 가구 업체들과 별반 다를 것이 없다. 그렇다면 IKEA가 가구 시장에서 두각을 드러낼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IKEA는 차별화 전략들을 내세워 가구 시장 내에서 입지를 다질 수 있었다. 대표적으로 차별화된 가격 차별화 전략이 있다. 사실 가격 차별화 전략이라 함은 다른 여러 기업에서도 비슷하게 애용하는 전략이다. 그러나 IKEA는 좀 더 세밀하고 체계적으로 생산 공정을 조직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었다.


첫 번째, 공급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고객과 협력업체 사이의 거리를 줄여 낮은 가격을 유지한다. 제품개발자, 기술자, 제조업자 등이 공장 현장에서 함께 일하며, 생산 현장에서 직접 디자인이 이루어지고 제품이 생산되게끔 하여 가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두 번째 방법부터는 조립식 가구 판매라는 IKEA만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활용하여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이다. 가구는 조립형으로 설계되기 때문에 운송 시 납작하게 쌓아 운반할 수 있어 운송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이미 완성된 가구를 운반하는 것보다 부피를 줄임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점을 효과적으로 활용한 점이다. 그리고 고객은 IKEA 전시장에서 조립되어 있는 가구 sample을 보고 직접 창고에 가서 그 제품을 찾은 후, 값을 지불한 뒤 집에 가져가는 구입과정을 거친다. 고객이 약간의 수고를 함으로써 IKEA 입장에서는 배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고객이 스스로 가구를 조립하게 함으로써 가구 조립에 필요한 인건비, 장비 비용, 기술비 등을 절약할 수 있다. IKEA만의 가격 차별화 전략을 보면 대부분이 조립식 가구라는 점을 활용한 방안이다. 소비자의 입장에서, 내가 약간의 수고를 더 하고 조금만 시간을 투자한다면 훨씬 더 값싼 제품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 일반 가구들과는 다르게 매력적인 전략으로 다가온다. 사실 평소에는 당연하게 생각되었던 일반적인 제품 구매 과정은 거꾸로 생각해보았을 때 그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다 할지라도 큰 불편함을 없이 없는 과정이다. IKEA는 이 점을 잘 활용한 것이다. 없어도 크게 다르지 않는 서비스 제공을 줄임으로써 그에 투자된 비용을 절감해 가구의 가격을 낮춘 것이다.


IKEA의 성장으로 떠오르는 용어도 있다. '이케아 효과(IKEA effect)'혹은 ‘DIY(Do it yourself) 전략이다. 말 그대로 IKEA의 대표적 전략이 불러오는 효과와 장점을 하나의 개념으로 정립한 것이다. 완성된 가구를 단순히 집에 들여놓은 것이 아니라 직접가구를 조립함으로써 또 다른 가치를 창출해낼 수 있는 것이다. 조립 과정 속에서 어려움에 직면하고, 몇 시간 동안 힘겨운 사투를 벌여야할 수도 있지만, 그러한 과정을 거치고 마침내 만들어낸 가구에는 일반적인 가구와는 다르게 애착이 더 간다는 것이다. 소비자들도 이러한 점(효과)을 고려하여 약간의 불편함을 감수하면서도 IKEA식 조립 가구를 애용하는 것이다.


IKEA와 상반된 전략을 내세우는 기업도 있다. ‘애플이 그 예시가 될 수 있는데, 애플은 애플 생태계라는 용어가 생길 정도로 애플사 제품 내에서만 적용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애플 소비자들은 타사 제품 사용에 불편함을 느끼도록, 반대로 타사 제품들이 애플사 제품을 쓰려면 애플 생태계에 흡수되도록 전략을 세웠다. 두 회사의 전략은 아주 상반되지만 두 회사 모두 성공한 기업으로 꼽힌다. 개인마다 취향이나 가치관에 따라 두 전략을 바라보는 시각이 다양하겠지만, 개인적으로 DIY전략을 더 선호한다. 현재로서는 나에게 필요한 대부분의 서비스를 한 네트워크 내에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더 편리할 수 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생각해보았을 때, 그 네트워크에 완전히 동화되다 보면 타사 제품을 겸하여 사용하는 데 불편함이 따를 수밖에 없고, 그 회사의 제품에 완벽하게 의존할 수밖에 없게 된다. 결국 반영구적으로 그 회사의 고객이 되어 나 스스로, 나도 모르게 나의 제품 구입의 의사결정권을 박탈할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IKEA 효과는 오히려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그 효과가 더욱 커진다할 수 있다. 특히 나와 같이 한 물건 혹은 서비스에 쉽게 싫증을 느끼는 사람들에게는 일반적인 가구만으로는 애착을 불러일으키기 힘들다. 하지만 DIY 전략을 활용함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그 가구에 대한 애착이 생기게 하면 타사 제품에서는 느낄 수 없는 반영구적인 애증을 느끼게 할 수 있다.


IKEA는 시장 경제 속의, 혹은 국가 내의 한 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다. IEKA KOREA는 지난 3, 고용노동부가 선정한 고용창출 100대 우수기업에 선정될 정도로 국민들의 일자리 창출에 많은 기여를 하여 가계의 경제적 성장을 도왔다. 같은 달, 모범 납세자로도 선정됨으로써 사회적 책임 활동 면에서도 국가적으로 인정받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였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또한 IKEA의 비전 자체도 많은 사람들을 위한 더 좋은 생활을 만들자인데, 이 비전에 걸맞게끔 사람을 위하여, 사람을 최선의 가치로 생각하여 기업을 운영해가고 있다. IKEA 재단은 아동 노동을 근절시키기 위해 유니세프 등에 8,000만 유로 이상을 기부하고, 여성들을 위한 재정 후원을 계속함으로써 여성, 그리고 그의 가족의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IKEA는 역행하고 있다. 편리함을 추구하는 것을 최대의 가치로 삼는 경쟁 속, IKEA는 불편함을 내세운 전략을 활용하여 소비자의 선택을 받고 있다. 나도 시장 내에서의 한 명의 소비자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IKEA의 전략은 아주 독특하다. 가구라는 제품군 자체가 가지고 있는 비용 부담적인 면을 덜어준다는 점이 호감이 가는 가장 기본적인 이유이다. 그리고 도전정신을 불러일으키고 끈기 있게 완성하게 함으로써 스스로 뿌듯함,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하고 나만의 가구를 얻은 듯 한 느낌이 들게 하여 가구에 대한 애착을 높여준다. 디자인도 절대 뒤처지지 않는 세련미를 갖추고 있어 젊은 층의 지지도 얻고 있다. 그러나 불편한 점이 정말로 불편한 점으로 다가올 때도 있다. 시간이 가장 중요한 자원인 사회 속, 가구를 조립하는 데 소모하는 시간은 낭비적인 측면으로 인식될 수 있다. 특히 구매하고자 하는 가구의 수가 많을 경우 더더욱 그렇다. 또한, 자칫 잘못 조립하였을 경우 안전의 측면에서 위험성을 가질 수 있어 불안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나는 IKEA가 앞으로 더욱 가구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넓혀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인공지능 혹은 기계가 대부분의 생산 공정을 점유할 미래 사회 속, 사람의 비중을 늘리는 전략은 빛을 잃지 않을 것이다. 무엇보다 불편함이라는 어둠을 빛으로 전환하여 새로운 것을 추구한 IKEA의 기업가 정신과 혁신의 가치는 계속적으로 인정받을 것이다. 지금처럼 사회적 환원, 사회적 책임에도 소홀히 하지 않고, IKEA의 전략을 모방한 타 회사로부터의 또 다른 강점과 특점을 구축해 나간다면 국가 경쟁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일원으로서 큰 성장을 이룩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4기 홍은서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오경서기자 2017.05.13 17:23
    경제시간에 기업조사 과제가 있는데 주제로 선정하기 좋은 기업이군요. 참고하도록 할게요~ 좋은기사 감사합니다!
  • ?
    4기홍은서기자 2017.05.24 03:01
    넴^0^ 이케아는 새로운 전략을 활용해서 성공한 대표적 기업이죠!! 조사하기 수월하실 거예여:)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5865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5780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78737
드림스프링스, 청소년의 꿈을 응원합니다! 1 file 2017.02.27 김보경 547839
[PICK] 삼성전자의 3세대 폴더블 Z Filp 3를 살펴보다 2 file 2021.08.25 김승원 467381
[PICK] 혼자가 더 편한 이들에게 건네는 공감과 위로, 영화 <혼자 사는 사람들> 1 file 2021.08.26 한수민 466257
최초의 유화 애니메이션, <러빙 빈센트> file 2017.11.28 신현민 404931
[포토]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이재준 고양시장 인터뷰 진행 file 2020.11.10 디지털이슈팀 280009
[PICK] KBO 역사상 최대 위기, 팬들의 마음은 이미 돌아섰다 file 2021.07.26 지주희 255049
애니메이션 속 숨겨진 명대사 5 file 2020.04.28 권빈 241791
베이킹 속에 숨어있는 과학 원리 file 2018.02.01 정용환 213719
여자배구 대표팀, 2021 VNL 참가 18인 명단 공개...도쿄올림픽 향한 첫걸음 1 file 2021.04.12 김하은 191317
[PICK] 국제백신연구소 사무총장과 화이자 백신 R&D 사업본부, 코로나 백신에 대해 이야기하다 1 file 2021.06.18 이주연 168890
[PICK] '대통령 특별사절 1호 가수' 방탄소년단, "사명감 갖고 긍정과 희망 에너지 전하고파" file 2021.07.26 김수인 167793
[PICK] 쓰레기로 만든 신발 나이키 레디메이드 블레이저 file 2021.07.27 류태영 167313
[PICK] 가까워지는 코로나 종식, 문화생활 시작될까 1 file 2021.06.28 이소현 158067
[PICK] 남자농구 대표팀, 4승 2패로 아시아컵 본선 진출 확정 file 2021.06.28 윤서원 156506
“이게 한국?”...내셔널지오그래픽에 한국인들이 뿔난 이유 file 2021.07.27 박지훈 138206
청소년기자단봉사회, ‘시각장애인·정보소외계층 위한 기사녹음 봉사활동’ 운영 file 2018.10.31 디지털이슈팀 108161
서초구를 뒤흔들다. 2017 서초구 서리풀 페스티벌 file 2017.09.27 김서영 105891
'신흥 강자'로 불리던 게임들이 유독 한국에서 부진한 이유는? 1 file 2020.09.21 김상혁 89722
프랑스의 깊은 맛, 대표 음식 Top 3 file 2017.10.18 박미진 83824
내가 직접 만들어서 팔아요. 2017.06.30 박승미 83664
녹색교육센터, 2022년 글쓰기로 마음을 키우는 숲놀이터 '글꽃숲' 글 모음집 발간 file 2023.01.02 이지원 82633
청소년들에게 일상이 되어버린 비속어 1 file 2017.03.20 김재윤 82155
공룡 대멸종, 그 원인은 무엇일까? file 2018.06.21 최수영 73557
필환경이 트렌드로 주목되다, 이 변화에 기여한 자들은? file 2020.04.13 남지영 64855
순우리말 간판, 돌아오다. 11 2017.02.22 장나은 57672
FTA의 장점과 단점 file 2017.10.09 최현정 51325
마케팅의 기본, 분석법을 배우자!! file 2016.06.04 김성현 49647
엄마! 소고기는 왜 돼지고기보다 비싸요? 3 file 2019.09.02 김도현 49437
10대들이 받고 싶어 하는 선물은? file 2020.01.03 이채희 48317
청소년 아이돌 팬덤 문화의 양면성 2017.07.29 정혜원 48197
블루투스는 왜 한 개만 연결이 가능할까? file 2021.05.27 장은솔 45458
대기 중 이산화탄소로 망가져가는 해양을 살릴 수 있는 기술들 1 file 2020.12.31 이지민 45186
성격 유형에 따른 MBTI, 나는 어떤 유형일까? 7 file 2020.07.03 윤소영 44813
'탈석탄'을 위한 온라인 엽서 쓰기 4 file 2021.05.24 김태희 44689
자극적인 콘텐츠 속 블루오션, '무자극 컨텐츠 연구소' file 2017.08.01 김재윤 44572
세계의 의식주①: 다양한 전통의상 2018.01.30 김민지 43821
청소년들의 새로운 문화공간, '청소년 클럽' 5 file 2018.03.02 박건목 41939
세계로 나가는 자랑스런 한국의 맛! <제12회 전주국제발효식품 엑스포> 1 file 2014.10.23 최다혜 41437
10대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패션 브랜드 '키르시(KIRSH)' 9 file 2019.04.12 김세린 41376
원숭이와 친해져볼까?! 에버랜드 '몽키밸리 리얼대탐험' file 2015.06.07 김민정 41120
서울시 교육감과 함께한 명덕여고 학생자치법정 1 file 2015.08.11 심희주 40727
사람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 MBTI 1 file 2020.01.03 조은비 40715
새로운 기자단 tong, 시작을 알리다 4 file 2015.07.28 김혜빈 40191
SKY캐슬 예서는 '이기적 유전자'를 이해하지 못했다? 2 file 2019.03.22 이연우 39925
[곰이 문 화과자] ' 2월 ' 문화행사 A to Z 19 file 2016.02.11 박서연 3836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