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닭이 벌레인줄 알고 쪼아 먹었던 그림은?

by 4기홍선의기자 posted Apr 21, 2017 Views 1907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P20170210_125450439_C153259A-1337-472F-8EAF-5B2F27F33235.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홍선의 기자]



 까마귀 '오' 대나무 '죽', 까만 대나무를 볼 수 있는 곳이 있다.

'오죽헌'은 조선시대의 대학자 율곡 이이와 신사임당의 생가로 강릉 지역의 대표적인 유적지이다.

오죽헌은 조선 초기의 건축물로, 건축사적인 면에서 중요성을 인정받아 1963년 보물 제165호로 지정됐다.

또한 오죽헌은 강원도 강릉시 죽헌동에 위치한 오죽헌이 있다.


율곡 이이는 조선성리학을 구축한 성심의 사대부이다.


그의 어머니 신사임당은 여성에 대한 차별과 한계를 극복하고 시, 글씨, 그림에서 뛰어난 역량을 보여준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여류 예술가이다.

그는 조선왕조가 요구하는 유교적 여성상에 만족하지 않고 독립된 인간으로서의 생활을 스스로 개척한 여성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일각의 강도 높은 비판에도 불구, 부모에 대한 지극한 효성과 남편에 대한 헌신적인 내조, 율곡 이이 등 자녀의 재능을 살린 교육적 성취 등이 높이 평가받아 현재 5만 원권 지폐에 등장하게 되었다.


P20170210_123319745_12112629-FF4E-4ABE-8FA8-D65311F1BD2D.JPG

P20170210_123330153_5D61E99A-A041-4857-B349-99BEBB2DF6C4.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홍선의 기자]


또한 그녀의 그림 중 <산수도>에서는 대담하고 간결한 구도로 산수를 묘사하면서도 여성 특유의 섬세한 표현 기법이 동시에 나타난다.

 강릉의 오죽헌박물관에 있는 <신사임당초충도병>에는 8폭의 초충도가 전해진다. 여기에는 오이와 메뚜기, 접시꽃과 잠자리, 수박과 여치, 가지와 사마귀, 맨드라미와 개구리, 양귀비와 풀거미, 봉숭아와 잠자리, 원추리와 벌이 섬세한 필치와 구도로 그려져 있다.

초충도는 풀과 벌레를 그린 그림을 말하는데 신사임당은 미물인 풀벌레조차도 그 존재를 충분히 표현하려고 노력했다. 꽃이나 작은 사마귀, 나비 하나도 잘 드러나게 묘사하고 있으며 안정된 구도를 자랑하는데 그림의 중앙을 중심으로 각종?풀벌레가 상하좌우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신사임당의 그림은 음영을 살린 고운 채색과 섬세하고 여성스러운 묘사 등이 뛰어나다고 평가받고 있다.
P20170210_124233676_1B1A1DB9-2499-469B-90A3-31CF17BB216A.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홍선의 기자]

또한 요즈음은 '사임당 빛의 일기'라는 이영애 주연의 드라마가 방영 중에 있어 그녀(신사임당)의 삶이 재조명 받고 있으며 사임당이라는 인물에 대한 관심도가 늘어나고 있다.

오늘날까지 언급되어지고 많은 분야에서 각광받는 조선시대 여성 '신사임당'처럼 완전한 양성평등이 되는 그날까지 높은 여성상을 갖춘 청소년들이 늘어나길 바란다.

"기품은 지키되 사치하지 말고, 지성을 갖추되 자랑하지 말라."
(신사임당 명언)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4기 홍선의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1585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893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2907
여행과 가방의 역사 속으로, '비행하라, 항해하라, 여행하라 ? 루이 비통' 전시 file 2017.07.02 김지우 17110
여행에 대한 변화된 생각, ‘현지화’를 꿈꾸는 여행객들 file 2017.03.26 백지웅 15203
여행에 빠지다. 일본 1 file 2017.02.28 이다봄 17174
여행족들이여, 오라! 제2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2017.09.06 유민우 16522
역사 속으로, 동래읍성 역사축제 file 2018.10.18 유채영 15914
역사가 숨쉬는 나라, 대만 3 2017.11.22 서수민 14621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란 없다 2 file 2016.04.25 이유수 16333
역사를 품은 영화들. 군함도 그리고 택시운전사. file 2017.08.25 최담비 17451
역사에 관심 있는 중·고등학생들이여, 이곳으로 모여라! file 2020.11.30 황지우 14419
역사의 현장, 거북선에 오르다! 1 file 2017.10.16 황유정 17006
역풍 부는 “친환경” 대책… 새로운 해결방안은 file 2021.11.29 오정우 10033
연극 ‘소년대로’, 보호종결아동들의 위태로운 삶 그렸다 file 2023.05.06 최승현 8030
연꽃이 필 무렵 file 2017.07.27 강예린 14381
연등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file 2021.01.20 김서진 13745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시작, 올해 달라진 점은? 1 file 2021.01.25 이유진 12158
연세대, 제 7회 KSCY 성공적인 개최 6 file 2017.02.28 최서진 14408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제8회 한국청소년학술대회가 열리다 file 2017.08.24 박주연 14062
연세대학교 축제, '아카라카'에 가다! 2016.07.25 반서현 19916
연세대학교, YMUN 2017을 성공적으로 마치다 6 file 2017.01.25 최이윤 24192
연예인과 팬들 사이에서도 '사회적 거리두기'는 실천 중 2020.10.26 신혜원 13931
연이은 대형주의 폭락…갈 곳 잃은 동학개미들 file 2021.09.17 송경원 11416
연휴기간에도 인기폭발 '스마트 디바이스 쇼 2017' 2 file 2017.08.16 이수현 11894
열매나눔재단, 싱글맘 창업지원사업 ‘2022년 창업준비학교’ 참여자 모집 file 2022.08.12 이지원 10428
열섬 현상을 막는 도심 속 생태계, 서울숲 file 2018.08.29 전세린 19791
열세였던 팀을 구해낸 무리뉴, 승리의 핵심은 무엇이었나 file 2020.11.26 황동언 15623
열심히 문화재 보존하는 공주시, 도시 개발은? 2 file 2017.04.02 정현호 18059
영광을 마신 남자, 배리마셜 file 2017.10.09 김민정 18794
영국 내 '오미크론 변이' 확산 비상... 꼬여버린 PL 일정 어쩌나 file 2021.12.21 손동빈 9151
영그림틴을 통해 돌아본 재능기부의 의미 1 file 2019.01.23 양윤서 16510
영덕군, 어린이 대축제 개최! 2018.05.16 김성백 14962
영등포 타임스퀘어에서 '독전' 시사회 및 레드카펫 행사가 열리다! file 2018.05.29 문지원 17349
영상편집의 꽃, CG(Computer Graphics) 17 file 2017.02.21 오지현 15758
영어교육의 기회를 모두에게 file 2016.09.26 이나은 17759
영웅은 어쩌다 역적이 되었나, 해리 케인 훈련 불참 사건의 전말 file 2021.08.26 김승건 13074
영원한 신라의 보물, 불국사 file 2017.05.31 김하은 15837
영원히 기억해야 할 우리 민족의 영웅, 안중근 의사 file 2019.01.29 정하현 16183
영월, 그곳의 여름은 1 file 2019.08.14 이지수 18423
영유아에게 꿀을 먹이면 안되는 이유 1 file 2022.05.10 김다혜 12246
영자신문, 새로운 영어공부법으로 공부하기! 4 file 2016.08.21 지다희 22948
영재 발굴단 출연했던 천재 바둑소녀 1년 자격정지 file 2020.11.25 최준우 12487
영주시, 고교생과 함께 관사골 활성화를 위한 새뜰마을 사업 추진해 5 file 2017.02.21 박한나 16707
영화 <1987>, 오늘날을 사는 우리에게 전하는 묵직한 메시지 2 file 2018.01.22 박우빈 15047
영화 <검은 사제들> 촬영지, 계산성당 file 2021.03.03 한윤지 16229
영화 <원더>와 <말아톤>이 장애아동 가족에게 건네는 따뜻한 위로 1 file 2022.02.24 김유진 12342
영화 '감기', '컨테이젼' 현실이 되다 file 2020.03.09 조은솔 14346
영화 '거울 속 외딴성' 오는 12일 개봉...한국 박스오피스 상륙 file 2023.04.11 최나린 8695
영화 '골든 슬럼버' 설 연휴도 잊은 뜨거운 무대 인사! 1 file 2018.02.21 이경민 15219
영화 '기생충'의 오스카 4관왕 얼마나 대단한 것인가? file 2020.03.13 정호영 127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