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코딱지보다도 작은 복권 당첨 확율

by 6기이종은기자 posted Apr 19, 2017 Views 1460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복권 사진.jpg

[이미지 제공 = 데일리안 신문사]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사람이라면 누구나 살면서 한 번 쯤은 복권에 당첨되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해봤을 것이다. 수십억이라는 당첨금의 유혹 때문에 한 달에 수만원, 혹은 수십만원을 복권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생겨난다. 그런데 과연 이런 사람들은 복권 당첨이라는 행운을 맛볼 수 있을 것인가.. 그래서 한 번 복권의 당첨확률을 분석해보았다.

 사람들은 흔히 복권을 커다란 쌀 포대에서 하나 뿐인 흑미 찾기라고 표현한다. 그만큼 확률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계산해본 결과, 우리가 복권에 당첨될 확률은 약 814만 분의 1이다. 여섯 개의 숫자로 이루어진 복권의 경우의 수가 대략 814만 개나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 투자하는 복권의 수를 더 늘려서 당첨 확률을 조금 높여보는 것은 어떤가. 한 게임에 1000원인 복권을 총 8만장 구입한다고 가정해본다면, 당첨 확률은 대략 100 분의 1로 늘어난다. 즉, 복권에만 8000만원이라는 거액을 투자해야 1퍼센트의 확률을 가질 수 있다는 얘기이다. 앞에 언급된 확률 때문에 1퍼센트가 높아보일 수는 있어도, 1퍼센트도 결코 당첨되기 쉬운 확률은 절대로 아니다.

 복권에만 수천만원이나 투자해도 당첨될 확률이 지극히 낮다는 얘기는 복권에 투자해서 손해볼 게 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복권의 당첨은 결국 인생의 모든 행운이 다 사용되야 가능한 것이 아닌가 의문이 들기도 한다. 다시 말해서, 눈꼽만큼보다도 더 낮은 확률을 가진 복권에 희망을 갖는 것보다는, 자신의 미래를 위해 하루하루를 더 열심히 사는 것이 더더욱 현명한 판단이 될 수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 = 4기 이종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김유경기자 2017.04.20 21:56
    확률 통계가 흥미롭고 재미있어요! 하지만 일확천금을 꿈꾸는 사람들은 여전히 있고, 매주 토요일의 기대를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도 있을 것 같고, 일종의 오락으로 즐기는 것일 수도 있으니 너무 부정적인 시선으로만 바라보지 않아도 될 것 같아요!
  • ?
    4기김애란기자 2017.04.20 22:25
    복권을 수학적 입장에서 깐깐하게 생각해보니 재미있네요 항상 일요일 저녁마다 흘러가듯 방영하는 로또 프로그램을 가볍게 지나쳤었는데 이렇게 보니 흥미롭네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1913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1657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39336
불빛 무대, 포항 밤바다 3 file 2018.08.03 윤의빈 14751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둥근세상 만들기캠프 진행 file 2018.08.06 디지털이슈팀 15223
여가부 산하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언제든 1388 캠페인’ 실시 file 2018.08.06 디지털이슈팀 16249
숀 'Way Back Home' 1위, 모든 게 바이럴 마케팅 덕분? 6 file 2018.08.07 정유리 15689
청년 실업 대란 속 일본과 한국의 프리터족 file 2018.08.08 이승철 17609
팝콘가격이 영화가격? 2 file 2018.08.08 신효원 16608
배구계 새로운 국제대회, 'VNL'에 대하여 2018.08.08 김하은 14078
색다른 경험이 기다리고 있는 부여 '기와마을'로 떠나자 1 file 2018.08.08 전예진 14104
‘장르적 유사성’과 ‘표절’의 판단 기준은? file 2018.08.13 정지혜 22187
삼성전자의 새로운 멤버들 태어나다! file 2018.08.13 김찬빈 20023
'생명캠프' 생명권을 교육하다 file 2018.08.16 박서윤 14429
여자프로배구팀 KGC인삼공사, 2018 보령·한국도로공사컵 대회 우승 file 2018.08.16 김하은 16041
아시안게임 축구 대표 팀의 논란 file 2018.08.16 이형경 15346
린드블럼 14승, 반슬라이크 KBO리그 데뷔 '첫 홈런' file 2018.08.16 옥나은 14456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안정을 향해, 제42차 모의유엔총회 file 2018.08.17 박세경 15039
올해 여름철 무더위는 '울진해양캠프'로 해결 file 2018.08.17 정다원 13189
교토, 일본 본연의 도시 7 file 2018.08.20 이승철 19299
우리 모두가 경축해야 하는 국경일, 광복절 1 file 2018.08.20 유하늘 13512
우리가 기억해야 할 과거, 광복절 및 정부수립 경축식이 열리다 file 2018.08.20 정아영 13049
소식 없이 끝나버린 토트넘의 이적시장 1 file 2018.08.20 이형경 13997
제22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가 열리다! 1 file 2018.08.20 정유경 14445
갤럭시 노트9이 아닌 노트8.5였다 4 file 2018.08.20 윤주환 33241
e스포츠 아시안게임에 나서다 4 2018.08.20 김창훈 15349
자율주행 자동차의 현실 file 2018.08.20 이형우 19162
꿈의 나노소재, 그래핀 1 file 2018.08.20 박효민 19164
"Happy Animals-'함께' 행복한 세상" 제6회 순천만세계동물영화제 개최되다 file 2018.08.21 정혜연 15550
세계 최대 규모의 크리에이터 페스티벌 'DIA FESTIVAL 2018 with 놀꽃' 개최 1 file 2018.08.21 허기범 14839
편견 없는 시선으로 '방탄소년단'을 논하다 2 2018.08.21 김예나 19172
제천시 별새꽃돌 자연탐사과학관에서 자연을 배우다 file 2018.08.22 조정원 15913
충청남도의 문화를 책임질 '충남도서관' 2018.08.23 오가람 14444
동양의 나폴리와 함께하는 통영한산대첩축제 file 2018.08.23 강이슬 15606
앞으로 올 미래시대에 자리 잡을 3D 프린터 1 2018.08.23 강민성 13407
6년 만에 돌아온 첫사랑 로맨스 '너의 결혼식' 2 file 2018.08.27 이유영 13975
뜨거운 태양을 피해 ‘해질녘에 듣는 도란도란 한옥마을 이야기’ file 2018.08.27 김수인 13837
디스이즈네버댓 두 번째 모험가 이야기, “ADVENTURER2” 3 file 2018.08.27 김다은 21608
광복절, 안성에서 그들을 기억하다 1 file 2018.08.27 안정섭 15180
차정원, 그는 누구인가 1 file 2018.08.27 노현빈 15242
숨기기보다 드러내는 것이 치매 예방의 지름길 1 file 2018.08.27 여인열 15713
'그루밍족' 남성의 화장은 죄인가? 2 file 2018.08.27 구본윤 17931
조선을 위한 변호사...'후세 다츠지' file 2018.08.27 윤현정 13960
올여름 더위를 식힐 필수품, 미니 손 선풍기 2 file 2018.08.27 조수진 15326
초록우산어린이재단, 경기북부권역 9개교 나눔실천리더 발대식 개최 file 2018.08.28 디지털이슈팀 15519
‘Youtuber’ 축제 ‘DIA FESTIVAL’ 그 열기는! 2018.08.29 김유진 16666
열섬 현상을 막는 도심 속 생태계, 서울숲 file 2018.08.29 전세린 19497
굿네이버스, 10대들의 생각은? file 2018.08.29 임세진 13527
아시안게임, 병역 혜택의 기회? 3 file 2018.08.30 김서진 12896
‘세상의 틀을 깨다, 내 삶을 깨우다’, 새만금 노마드페스티벌 개최 file 2018.08.30 조햇살 15430
'2018 창의융합형 인문학기행' 역사교류단, 성장 캠프까지 성공적으로 마무리 file 2018.08.30 김혜신 192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