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인간의 욕심이 나은 결과물, 또 한마리의 돌고래 폐사

by 4기이빈기자 posted Apr 19, 2017 Views 1487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2월, 울산에서 안타까운 소식이 들려져 왔다. 바로 일본에서 울산으로 이송되었던 돌고래(UD-9)가 나흘 만에 폐사하였다는 소식이었는데, 이는 많은 동물 보호단체의 분노를 일으켰고 돌고래 사육에 대한 문제가 대두하였다.


돌고래는 일반적으로 몸길이 4.5m 이하의 중소형 고래를 지칭하는 말이다. 돌고래의 아이큐는 80으로 초음파를 통해 동료들과 무리 지어 다니며 대화하고 기억력도 좋은 동물이다. 하루에 자그마치 100km 이상을 이동하는 돌고래에겐 수족관이란 좁은 수조 안은 고문시설이나 다름이 없다. 유리관에 초음파가 반사되어 들려오는 것 또한 돌고래들에겐 괴로운 일이다.


이 돌고래는 뱃길과 육로를 합쳐 1천km 이상을 이동했고 한국에 도착한 이후에는 가로 30m, 세로 15m, 수심 4m의 수조에 수용됐다. 하지만 돌고래는 먹이를 거부하다 호흡곤란 증세를 보였고 결국 폐사했다. 사인은 세균성 기관지 폐렴으로 밝혀졌는데 원래 이 세균은 돌고래의 체내에 존재하나 면역력이 약해졌을 때 병을 일으킨다고 한다. 면역력이 약해진 이유에는 좁은 수조와 긴 이동 거리가 영향을 미쳤다고는 예상이 가는 대목이다.


몇몇 사람들은 아이들에게 해양생물들에 대해 더욱 쉽고 가까이서 관찰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수족관은 필수적으로 존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정말 아이들이 해양생물들에 대해 이해하고 느끼고 공감하게 하려면 수족관에서 고통받고 있는 해양생물들을 보아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고래와 물고기들을 지켜보며 고통받고 있는 모습에 대해 공감하지 못한 채 수족관에 갇혀있는 생물들을 당연하게 여기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해양생물들이 받는 스트레스의 끝은 죽음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오션스 기사사진.jpg

[이미지 제공=네이버 블로그(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영화 ‘오션스’라는 영화를 본 적이 있는 사람들은 다양한 해양생물들을 가까이서 관찰한 것만으로도 상당히 신선한 충격을 받을 수 있었겠지만, 일반적으로 마지막 장면을 가장 인상적인 장면으로 꼽는다. 바로 위 사진처럼 백상아리와 잠수부가 나란히 헤엄하는 장면인데, 영화감독은 이 장면을 인간이 먼저 바다 생물에게 다가가 서로 이해하고 노력해야 한다는 모습을 나타내기 위해 찍은 것이라고 한다. 이 감독이 전하고자 했던 뜻처럼 동물과 인간은 서로 공존해야 하는 존재이지, 누군가가 그 다른 존재보다 우월한 존재가 되어서는 안 된다. 자연의 섭리에 따라 지구 안에서 아름답게 어울려 살아가는 두 존재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이빈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정가영기자 2017.04.23 19:38
    인간의 탐욕과 능욕때문에 삶을 두동강 당하고 우리안에 갖혀 지내는 불쌍한 동물들을 보면 참 인간이 가장 못된것같습니다. 얼마전 폐사한 호랑이와 북금곰..이게 우리가 보존하고 지켜야할 동물을 대하는 올바른 태도일까요.. 동물원이 굳이 필요할까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4385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41068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63014
악마의 5달러 1 file 2017.03.21 정가원 14154
안 그래도 똑똑한 AI, 더 똑똑해졌다고? file 2019.12.19 권민서 14604
안 쓰는 헌 옷 기부하여 청각장애 어린이들 도와요 1 file 2016.06.17 이현진 17627
안동의 봉사동아리 ROOKIE를 소개합니다! 2 file 2017.05.23 권나규 16901
안드로이드 P에는 어떤 기능이 추가되었을까? file 2018.04.09 정진화 20606
안산 거리극 축제를 즐겨~~ file 2017.05.07 어지원 17509
안산 시민이라면 무조건 받아야 하는 것? '다온' 1 file 2020.01.31 이도현 14148
안쓰는 물건 팔고, 기부도 하고. 일석이조! 재활용장터, '보물섬' 1 file 2016.03.20 문수연 18674
안양 한라, 폭발적인 13연승 5 file 2017.01.25 김연수 16446
안양국제청소년영화제 성공적으로 막을내리다. 1 file 2017.09.22 김가희 13953
안용복 장군 도일선 전시관 개관식 2 file 2017.03.05 양다운 15350
안전하게 집에서 쇼핑하기, 온라인 쇼핑몰 file 2020.04.24 이도현 11539
알고 계셨나요? “아이스크림은 유통기한이 없다?” 4 file 2017.06.20 이승연 19827
알고 보면 더 재밌는 뮤지컬 1 file 2017.12.04 석채아 17580
알고 있다고 다 아는 것이 아닌 '독도' 3 file 2015.07.27 명은율 23948
알고가면 더 재미있는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BiFan), 그 속으로 떠나보자! file 2016.07.25 신수빈 19389
알라딘 ‘더 퍼스트 슬램덩크’ 개봉 기념 도서전 진행 file 2023.01.06 이지원 11178
알바도 퇴직금 받을 수 있나요? file 2021.05.06 조선민 13634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프란츠 카프카를 손님으로 받았던 그곳 file 2020.02.28 정유진 13806
알아두면 쓸데 있는 신기한 각국의 설날 문화 2 file 2019.02.19 이소영 14276
알아두면 쓸모 있는 공매도 상식 2021.10.26 유지훈 9148
알아야 산다! 뉴스 리터러시 file 2021.04.12 김수임 10603
알찬방학세트! 강화역사박물관&강화자연사박물관 1 2019.02.08 심화영 20364
알츠하이머를 잘라내다? 2 file 2017.02.17 권지민 14140
알프스 하이디가 온다! file 2020.10.29 이희준 13601
알프스의 꽃, 만년설이 녹아내리다 5 file 2017.09.14 김정환 19297
암세포를 좋은 방향으로 쓸 수는 없을까? 4 file 2017.05.25 장수지 22600
암으로 사망하는 환자 증가? 암을 과학적으로 분석해보다 file 2021.09.17 현예린 11038
암컷만 태어나는 초파리 미스터리, 비밀은 '세균'? 2018.05.25 이재협 17042
압구정중학교 영자신문반 살리기 프로젝트 file 2016.05.25 박지우 18433
앞으로 나아가고 있는 KBO리그의 옥에 티. 6 file 2017.03.13 박환희 13964
앞으로 올 미래시대에 자리 잡을 3D 프린터 1 2018.08.23 강민성 13559
앞으로 카카오톡 차단 상대가 내 프로필 못 본다 file 2018.03.27 오경찬 23771
앞으로의 미래는 청소년이 앞장선다! 1 file 2019.01.28 심화영 19067
애니메이션 '울고 싶은 나는 고양이를 뒤집어쓴다' 가면을 쓰고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 file 2020.05.13 김준하 22862
애니메이션 속 숨겨진 명대사 5 file 2020.04.28 권빈 241413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로커스, '런닝맨: 리벤져스' 선보여 file 2023.09.16 박진하 7081
애니메이션의 흥행공식 2 2017.05.25 김보경 15748
애니메이션이 된 웹툰...영화 '유미의 세포들' 3일 개봉 file 2024.04.04 권나윤 6280
애드블록, 소비자의 권리 보호인가 웹사이트의 권리 침해인가 1 file 2016.09.25 유한나 17359
애완견, 사지말고 입양하세요! 2 file 2017.11.08 최나연 17771
애완동물과 같이 자란 아이 질병 덜 걸린다? 2 file 2018.02.21 조성범 14813
애완용 바다 새우 씨몽키는 사실 새우가 아니다! file 2021.11.01 김다혜 13967
애플 Product(RED) 색상 괜찮은가? 2 file 2018.10.17 이재혁 18031
애플, 아이폰 성능 저하 선택 가능한 iOS 11.3 업데이트 진행 file 2018.03.27 오경찬 18366
애플의 걸작 'M1'프로세서 file 2021.04.26 임승찬 12565
애플의 두 번째 도약 file 2021.10.28 이준호 8974
애플의 아이폰7 '레드' 출시와 삼성, LG; 색상마케팅 2 2017.03.24 임승연 145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