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의혹검증] 세월호 인양 지연은 의도적일까···?

by 4기김정모기자 posted Apr 15, 2017 Views 1446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411일 오후, 3년이라는 긴 시간 만에 드디어 세월호 인양이 완료됐다. 3년 동안 세월호는 차가운 바다 속에 갇혀있었다. 세월호 인양은 애당초 수색작업이 끝난 뒤부터 계획되어왔다. 그러나 3년이라는 시간동안 정부와 관련기관들은 무엇을 한 것일까. 세월호는 올해 본 인양작업에 착수한지 이틀 만에 인양에 성공했다. 어쩔 수 없이 3년이라는 시간이 걸린 것일까? 아니면 의도적인 지연이었을까. 그 의혹을 파헤쳐본다.


#의혹1. 정부는 세월호 인양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 그렇지 않다. 정부는 국민들이 보지 못한 곳에서, 또한 국민들에게 보이지 않는 곳에서 적극적으로 일했다. 정부는 세월호 참사 당일에는 미숙한 모습을 보였지만, 이후 곧바로 수색작업에 돌입했다. 그리고 유가족의 요청으로 수색작업을 종료한 뒤에는 여러 계획을 세우며 일정대로 진행해나갔다.

세월호 인양 관련 표.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김정모기자]

위의 표를 보면 수색작업이 끝나자말자 인양을 위한 작업에 돌입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정부 및 관련기관은 일정대로, 계획대로 진행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안전대책본부는 인양에 들어가기 전 날씨의 사정 등에 따라 18~24개월까지 걸린다고 예측했다. 실제로 세월호 인양은 17개월 만에 인양에 성공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는 예상된 날짜에 인양에 성공한 것이고, 정부는 적극적인 모습까지는 아니라고 할 수 있어도 소극적인 모습은 확실히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의혹2. 인양업체 상하이 샐비지는 자격미달업체?


- 상하이 샐비지는 중국 국영기업이자, 대형 해난 구난업체이다. 1951년 설립된 중국 국영기업으로 연간 매출이 3000억원이 넘고, 전문 인력만 1400명 이상 보유한 대형 해양 구난업체이다. 2015년에는 '중국판 세월호''둥창즈싱'을 건져낸바 있다. 또한, 1900건 이상 선박 구조 작업과 1000건 넘는 잔해제거 작업, 2만 톤의 해상 유출 기름 제거 등 실적을 보유한 업체로 알려지고 있다. 많은 시행착오를 겪기는 했지만 상하이샐비지는 세월호 선체를 목표 수준인 수면 위 13m까지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따라서 인양할 능력이 없는 기술력이 낮은 업체라고 단정하는 것은 무리다.


#의혹3. 상하이 샐비지는 정부와 합동하여 일부로 인양을 지연시켰다?


- 상하이 샐비지도 역시 지연을 목적으로 하는 기업은 아니다. 상하이 샐비지는 지연하면 할수록 그들이 받는 수입을 줄어든다. 작업 기간이 길수록 손해를 보기 때문에, 그들은 애초부터 빨리하려고 했었다. 그러나 세월호는 선체와 화물 등의 무게를 합치면 약 1만 톤이다. 이 정도 무게의 선체를 통째로 인양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없었던 일이었다. 이로서 중국 업체의 인양방식이 당연히 시행착오와 지연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결국 그들은 이미 1000억 원 이상의 적자를 봤다고 한다. 이로서 중국 업체가 정부가 손잡고 의도적으로 지연했다는 것은 근거가 없다. 또한, 고의적으로 인양에 실패하여 지연했다는 근거도 전혀 터무니없다.


#의혹4. 자연환경 때문에 인양에 실패했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3년 동안 인양이 가능한 날은 여러 번 있었는데 인양에 실패한 요인은 무엇인가?


- 정부는 자연환경이 좋았어도 다른 요인들 때문에 인양에 실패한 것이다.

첫 번째로는 앞에서 말한 대로 이 인양은 역사적으로 전례가 없는 인양이었다. 그래서 여러 가지 시행착오를 겪었고, 실패를 맛보아야만 했다. 두 번째로는 인양과정에서 생긴 기름과, 배에서 나온 기름 때문이다. 기름을 제거하고 정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세 번째로는 인양을 위한 장비 신규 설치 및 재설치, 그리고 보완 및 수정 때문이다. 인양방식의 변경으로 인양을 위한 신규 장비가 설치되었다. 기존 방식에서 리프팅 빔을 이용한 인양방식으로 바꾸면서 리프팅 빔 등 필요한 장비 설치에 오랜 시간이 걸렸다.


#의혹5.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된 지 5시간 만에 인양이 결정되었다. 정치와 박 전 대통령이 당시 인양을 지연시킨 것의 근거가 되는가?


- 전혀 되지 못한다. 일단 박 대통령이 탄핵이 되었다면 국가원수, 즉 행정부의 수반은 황교안 권한대행이 맡는다. 그러나 황 권한대행의 세월호 관련 입장은 박 대통령과 다를 바가 없어 보인다. 황 대행이 행정부 수반이 된지 5시간 만에 인양을 서두르라는 보고를 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해수부는 박 대통령 탄핵 전 이미 입장을 결정했고, 인양 결정에 대한 보고와 발표시간이 탄핵 이후 5시간 후로 정해진 것이다. 원래 일정은 미리 잡혀있던 것이다. 그러니 박근혜 대통령과 정치가 인양을 지연시킨 근거가 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세월호 인양은 이제 완료되었다. 물론 오랜 시간이 걸렸고, 유가족들의 슬픔과 아쉬움은 매우 클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누가 옳았냐, 틀리냐를 따질 때가 아니다. , 누가 잘했냐, 못했냐를 따지는 것도 아니라고 생각이 든다. 이제는 대한민국의 평화와 통합을 인양해야한다. 더 이상의 의견차이로 인한 분열이 아닌, 한 마음 한 뜻의 마음을 가졌으면 좋겠다. 그리고 과거에 얽매이기보다 현재 앞에 있는 상황에 중시하고, 미래를 바라보아야 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덧붙이고 싶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김정모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최문봉기자 2017.04.15 20:33
    논리적인 의혹 정리 잘 읽었습니다. 덕분에 저의 사고 영역이 확장된 기분이 드네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한한나기자 2017.04.17 23:27
    의문점이 다 풀리네요 기사잘읽었어요
    궁금해할만한것을 쏙쏙집어서 답해주셔서 도움이 되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244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981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4125
美 대통령 트럼프 코로나19 확진... "곧 돌아올 것" 2020.10.14 임이레 7642
12월 13일 조두순 출소...청소년들의 공포감 6 file 2020.10.15 김지윤 10737
다시 돌아보는 일본불매운동, 과연 성과는 어느 정도일까? 4 file 2020.10.16 정예람 15590
한국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결선 진출 2 file 2020.10.21 차예원 11118
최종적 무죄 판결, 이재명 파기환송심 무죄 file 2020.10.21 전준표 12964
내년 3월부터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 그 함의는 무엇인가? file 2020.10.22 정지후 8872
백신, 안전한가? 1 file 2020.10.22 홍채린 8485
불법 신상 유포 웹사이트 발목 잡는 '사실적시 명예훼손죄' file 2020.10.26 나영빈 10944
공포가 된 독감백신‧‧‧ 접종 후 잇따른 사망 1 file 2020.10.26 윤지영 8317
인천국제공항 드론 사건 1 file 2020.10.26 이혁재 10189
예방인가? 위협인가? file 2020.10.27 길현희 8877
대선 전 마지막 TV 토론, 코로나19 대응 관련 주제로 팽팽히 맞선 트럼프-바이든 file 2020.10.27 박수영 7739
문재인 대통령, 유명희 지지 총력전 1 file 2020.10.28 명수지 7826
'의료계 총파업', 밥그릇 챙기기인가 정당한 투쟁인가 file 2020.10.29 유서연 8328
독감백신 사망자 점차 증가 1 file 2020.10.29 박정은 8221
1년째 계속되는 산불, 결국 뿌린 대로 거두는 일? 1 2020.10.29 김하영 9244
삼성그룹 회장 이건희, 78세의 나이로 별세 1 2020.11.02 조은우 8891
독감 백신, 대체 어떤 종류가 있길래? 4 2020.11.02 김태은 13834
미 대선 마지막 토론… 트럼프, 김정은과 “특별한 관계”…바이든, “비핵화 위해 김정은 만날 것” file 2020.11.02 공성빈 11079
바이든을 지지한 "너희가 멍청한 거야", 전 민주당 소속 여성 리더가 말하다 1 file 2020.11.03 김태환 11996
복잡한 미국의 대선 방식, 어떻게 진행되고 왜 그럴까? file 2020.11.04 김진현 13863
아파트 값과 전세값 앞으로는? 1 file 2020.11.05 박범수 9627
영국의 코로나 거리두기 3단계 선포, 과연 우리나라와는 어떻게 다를까? 3 file 2020.11.05 염보라 16188
카멀라 해리스, 美 최초의 여성 부통령으로 당선 2 file 2020.11.09 임이레 9436
‘2020 삼성행복대상’ 수상자 발표..김하늘 학생 등 청소년 5명 수상 file 2020.11.11 디지털이슈팀 9152
코로나 백신, 가능할까? 1 file 2020.11.13 이채영 8454
조 바이든, 미 대선 승리 1 file 2020.11.13 최서진 7877
조작된 공포. 외국인 이주노동자 1 2020.11.16 노혁진 8606
빌 게이츠의 꿈, 원자력 발전소로 이룬다 file 2020.11.17 최준서 12440
코로나19 나흘째 확진자 200명 대, 좀처럼 끝나지 않는 줄다리기 file 2020.11.18 이준형 9042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19일 0시부터 1.5단계로 격상 file 2020.11.18 이유진 8096
'전태일 정신 계승' 전국노동자대회 그리고 전태일 3법 1 2020.11.19 이정찬 8551
국내 인구 60%가량 접종할 백신, 그 효력은? 1 file 2020.11.19 임윤재 7899
선거인단, 그게 무엇일까? 2 file 2020.11.19 김나희 10062
정세균 총리, '코로나 대규모 확산의 길에 서 있는 일촉즉발의 상황' 1 file 2020.11.23 명수지 8137
변종 코로나바이러스, 밍크에서 발견 1 file 2020.11.23 오경언 8894
GDP 추정치로 알아본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타격, 어느 정도인가? 1 file 2020.11.23 김광현 9216
"우한은 코로나19 기원지 아니다" 다시 시작된 중국의 주장 1 file 2020.11.23 박수영 8137
블라디보스토크, 첫눈처럼 눈보라로 가겠다 2020.11.23 오예린 7963
심상치 않은 미국대선, 존재하는 변수는? file 2020.11.24 정예람 11641
유력 美 국방장관 후보 플러노이, '72시간 격침' 기고문서 군사 혁신 강조 3 file 2020.11.24 김도원 12857
야심 차게 내놓은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방안' 과연 효과는? file 2020.11.24 김아연 8379
코로나19 백신, 팬데믹 해결의 열쇠가 되나 1 file 2020.11.24 임성경 8367
미리 보는 2022 대선, 차기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 조사분석! 2020.11.25 김성규 20367
코로나19 시대, 학교는 어떻게 바뀌었나? 1 file 2020.11.25 전혜원 7569
미국 대선의 끝은 어디인가? 1 file 2020.11.25 심승희 9631
조 바이든 당선인과 첫 통화 후 2주, 한미 관계는? 1 file 2020.11.26 임솔 8522
최대 90% 효과? 코로나 백신 화이자 1 file 2020.11.26 김태완 81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