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우리 외교는 지금: 시리즈] ① THAAD 논쟁부터 배치까지

by 4기홍수민기자 posted Mar 26, 2017 Views 1453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우리 외교는 지금:시리즈

'우리 외교는 지금 시리즈'는 외교관이 꿈인 기자가 우리 외교와 세계정서의 흐름을 보다 청소년뿐만 아니라 성인들에게 쉽게 전달하기 위하여 기획한 시리즈이다. 논쟁이 되는 외교이슈에 대해서 꼼꼼하지만, 핵심을 짚으며 설명하고 기자의 개인적 의견까지 들어가는 기사+칼럼 형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① THAAD 논쟁부터 배치까지

 

THAAD(사드)란 무엇인가

THAAD는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의 준말이다사드는 말 그대로 높은 고도에서 적군의 미사일을 방어하는 무기체계이다. 1992년 미국의 록히드마틴이라는 군수업체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2008년 처음 미국이 실전에 배치했고 현재는 5개 포대가 운영되고 있다사드 포대 1개는 미사일을 8발씩 가지고 있는 발사 차량 6대로 구성되어 총 48발의 미사일을 가지고 있다이외에 통제소 차량과 밴드 레이더가 1개 포대에 포함된다.


▶THAAD(사드)의 작동과정

밴드 레이더가 적군 쪽우리나라로 치면 북한을 감시하다가 북한이 우리나라로 미사일을 쏘면 이를 감지하여 통제소에 알린다통제소는 북한이 쏜 미사일의 발사 각도와 속도를 계산하여 발사 차량에 발사 명령을 내리고 발사차량은 방어용 미사일을 쏘아 적의 미사일을 공중에서 폭파한다이 모든 과정이 1~5분 사이 내에서 이루어진다.

1. 발사된 미사일을 밴드 레이더가 포착

2. 포착된 미사일 확인 및 타격 지점 계산 후 사드 미사일에 정보 전달

3. 미사일 발사

4. 적의 미사일 요격


▶THAAD(사드)의 필요성과 효율성

사드가 필요한 이유는 바로 다층 방어하기 위해서이다사드 이전에 우리나라에는 사드와 비슷한 페트리어트 미사일을 통해 미사일 방어체계를 갖추고 있었는데 사드와 차이점은 저고도에서만 요격할 수 있다는 점이다페트리어트 미사일은 적군의 미사일이 고도 15km 이하까지 내려와야 요격할 수 있는데 미사일의 낙하 속도는 매우 빠르므로 적군의 미사일을 놓칠 경우 속수무책으로 미사일 공격을 받게 된다두 번째는 패트리어트 포대의 방어반경이 20km밖에 되지 않는다이는 서울과 평택 등 몇 개의 주요 거점만 방어할 수 있을 뿐 전국을 모두 보호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포대를 설치해야 한다.

한편 사드는 요격 고도가 40~150km이다이 말은 적군의 미사일이 지점 안으로 진입하면 그때부터 요격할 수 있다는 것이다이는 중간권과 열권에서 적군의 미사일을 파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그러므로 더 지상에서 먼 곳에서 더 빨리 파괴할 수 있고 그만큼 우리는 방어와 반격을 할 충분한 시간을 벌 수 있다위에서 말했다시피 사드를 배치 완료하게 되면 저고도에서는 패트리어트 포대가 고고도에서는 사드 포대가 적군의 미사일을 막게 되어 다층방어를 할 수 있게 된다.


▶THAAD(사드반대이유

1)사드 성능에 대한 불신

사드의 제조사는 사드 요격률이 100%라고 주장을 하지만 실제 전문가들은 70~90%로 추정하고 있다사드가 모든 미사일을 100% 막아낼 수 없다는 것이다또한, 사드 1개 포대가 막을 수 있는 미사일이 48개인데 만약 적군의 미사일이 이보다 많거나 혹은 적군이 처음 48개의 미사일을 구형미사일로 쏘고 나중에 고성능을 가진 미사일을 쏘게 되었을 때 우리는 구형을 방어하느라 후에 고성능 방어를 할 수가 없다그리고 북한의 잠수함 발사탄도 미사일이 바다에서 갑자기 미사일을 쏘게 되면 사드는 후방을 감지할 수 없으므로 작동하지 않는다이러한 사드의 결점들이 사람들이 사드가 정말 배치할만한 가치가 있는가에 대해서 고민하게 한다


2)안전 문제

밴드 레이더가 넓은 범위를 탐지하기 때문에 어마어마한 양과 강도의 전파를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사드 설치 100m까지 들어갈 수 없도록 통제구역이 설치된다전파가 쏘이는 방향에는 일정 범위까지 모든 비행기가 지나갈 수 없고 고층빌딩을 세울 수도 없다우리나라는 사드를 높은 산에 설치하려고 이는 전파가 5도 위쪽으로 지나가 산 아래 주민들에게 전파가 노출될 가능성이 작기 때문이다하지만 사드가 배치되는 지역의 주민들은 불안에 떨며 반대하고 있다.

2016070802284_1_99_20160708173605.jpg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 출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366&aid=0000334092]


중국과의 외교적 마찰

이 부분은 미국과 중국 간의 대립을 이해해야 한다두 국가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강한 두 나라(G2)로 세계의 주도권을 가지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으며 둘 다 핵무기를 가지고 있다그렇기에 미국과 중국을 서로를 견제하고 대립하고 있다한국과 미국은 사드가 북한의 핵미사일을 방어하기 위해 배치한다고 말하지만 중국은 미국이 우리나라에 사드를 배치하여 한반도 전체를 미국의 미사일 방어시스템으로 편입하려고 하는 것으로 생각한다즉 사드가 북한의 미사일이 아닌 중국이 미국으로 쏘는 미사일을 방어하려는 것으로 생각한다또한, 사드가 북한뿐 아니라 중국의 일부 영토까지 감지할 수 있어 중국의 정보가 미국 귀에 들어갈 것을 우려하고 있다이런 이유로 중국은 한류 연예인들을 받아주지 않고 롯데 불매운동한국관광금지 등 강도 높은 압박을 계속하고 있다현재 우리나라 기업과 각종 산업은 이 때문에 막강한 손해를 보고 있고 이런 상황이 언제까지 계속될지 몰라 걱정하고 있다.

2017-03-25 10;47;58.PNG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 출처: http://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6663672&memberNo=6755012]


우리는 지금 어떻게 해야 할까?

중국의 강도 높은 압박에 굴복할 경우 중국은 앞으로도 이러한 상황에서 매번 우리나라를 압박하며 중국의 지시를 따르길 요구할 것이다그러므로 우리는 우리나라 안에서의 대 국민적 합의를 보고 우리의 외교권을 지켜야 할 것이다사드가 정말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끝까지 배치하여 우리나라의 국방을 강화하고 주민들과의 끊임없는 소통을 통해 합의점을 찾아야 한다또한, 미국과의 관계에서도 우리나라의 의견을 계속해서 이야기하고 요구하며 미국의 일방적인 추진에 비판적이고 논리적인 감시를 해야 한다대선 전에 사드 배치를 목표로 하는 지금우리나라는 중국미국사이에서 외교적 갈등과 우리나라 안의 내부적 갈등이라는 큰 두 가지 짐을 가지고 있다하나하나 합리적으로 해결하려고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 4기 홍수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366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026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3892
사라지는 통일의 필요성.. 대책은 무엇인가 3 file 2017.08.17 김정환 11278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어떻게 될 것인가? 1 file 2017.08.17 김나영 11930
인천 물폭탄..심각해지는 자연재해 4 file 2017.08.16 조유림 12760
성동구 평화의 소녀상 지킴이 플래시몹 1 file 2017.08.16 황수현 11817
광복을 꿈꾸고 조국을 그리던 시인, 윤동주 3 file 2017.08.16 장서윤 11663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기자단 단톡방에서 성차별적 표현 쓴 회원에 대해 경고조치 검토중” file 2017.08.16 디지털이슈팀 12481
中 "北, 괌에 미사일 발사시 중립 지켜야"…美 "北 건국일(9월 9일)에 공습하겠다" 1 file 2017.08.16 양승철 12126
유엔 자유 대한민국을 위해 나서다 1 file 2017.08.14 전보건 14475
文정부 공약실행, 블라인드 채용 실시. 8 file 2017.08.12 이연인 15172
북한과의 통일, 과연 좋은 방향인가? 3 file 2017.08.12 이소미 10353
동성애 차별금지법과 동성혼 허용 개헌을 반대하는 대학 청년 연대, 기자회견을 열다. 2 2017.08.12 박수빈 12282
마음을 울리는 노란 나비, 국제사회로 '1295번째 날갯짓' 2 file 2017.08.11 김유민 10821
하늘의 별 따기인 교대 입학..... 임용은 별에 토끼가 있을 확률? 1 2017.08.11 박환희 12834
폭염에도 계속 되는 '위안부' 수요시위 4 2017.08.11 허석민 25195
백악관에 닥친 권력 전쟁, 백악관 내전 1 file 2017.08.11 박우빈 11134
‘공관병 갑질 논란’ 박찬주 대장 검찰수사 입건, 남편이 장군이면 부인도 장군인가 1 file 2017.08.10 김진선 13354
다시 찾아오는 광복절, 다시 알아보는 그 의미 5 file 2017.08.10 홍동진 11480
20%대로 추락한 아베 지지율, 장기 집권에 "빨간불 " 2 file 2017.08.09 이진하 11019
美서 '북한·러시아·이란' 통합제재안 통과, 각국의 반응은? 3 file 2017.08.09 홍동진 14775
영화 '택시운전사' 그리고 우리가 기억해야 할 역사 5 file 2017.08.08 박수지 13809
그늘막 쉼터, 호응 얻고 있지만 아쉬움도 남아... 5 file 2017.08.08 박현규 12565
터키를 둘러싼 한국사회의 시선 2 2017.08.07 김정환 10569
"나는 오늘도 운 좋게 살아남았다"…강남역서 여성 혐오 살인 공론화 시위 11 file 2017.08.07 김서희 17635
일본대사관 앞으로 날아든 노란 나비들 -제1294차 수요집회를 다녀와서 3 file 2017.08.07 홍정연 12611
국민의당 결국 대국민사과... 안철수까지 개입 2 2017.08.07 백다미 10446
프랑스 파리와 미국 LA, 2024년과 2028년 하계 올림픽의 무대가 되다! 1 file 2017.08.07 이수연 11831
시간이 멈추어 있는 항구 - 목포신항만 세월호 거치장소 1 file 2017.08.07 이준석 11965
자유한국당 류석춘 혁신위원장 "일베해라" "틀딱" 2 file 2017.08.05 한한나 13470
도를 넘어선 길거리 쓰레기.. 해결책은? 1 2017.08.05 이승우 18517
미혼모 청소년들의 학습권 보장:이루어질 수 있을까? 2 file 2017.08.04 변우진 12965
언제나 진실은 하나! 아직 끝나지 않은 세월호 11 file 2017.08.03 임현수 12163
학생이 스스로 쓰는 '셀프(self)생기부', 얼마나 믿을 만 한가? 7 2017.07.30 서은유 33393
시리아, 드디어 끔찍한 전쟁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까? file 2017.07.29 윤정민 10553
'연인'을 가장한 '악마'들 3 file 2017.07.29 김나림 12054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군자 할머니, 나비가 되다 2 file 2017.07.27 유림 11987
PB상품, 득일까 독일까? 4 file 2017.07.26 서주현 11164
고용노동부 상담원 파업 "우리에게도 월급을 달라" 1 file 2017.07.26 김도연 13167
가격제도, 이대로 괜찮은가? 2 file 2017.07.26 박다혜 11006
사법시험의 폐지와 '로스쿨 제도' 5 file 2017.07.25 최서진 11309
새로운 경제 정책, 대한민국을 바꿀 것인가 1 file 2017.07.25 홍은서 9647
최저임금 상승, 경제 성장을 이룰 수 있을까 1 file 2017.07.25 이가현 14336
1등 국가가 잃어버린 품격 1 file 2017.07.25 이우철 10439
文의 경제정책, '무엇이 다른가' 1 file 2017.07.25 이수현 10414
드론 야간 비행 허용 국회 통과 ··· 긍정적인 부분만 있는 건 아니야 1 file 2017.07.25 이정수 11391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 러시아 변호사와 만나다 1 file 2017.07.25 류혜원 11087
청소년이 직접 만드는 청소년의 권리 2 file 2017.07.25 최지오 11974
자사고, 특목고 폐지, 왜 찬반이 갈릴까? 8 2017.07.24 추연종 25155
청주시 기록적 폭우, 사후 대책은 어떻게? 25일까지 수해피해신고 마감! 1 file 2017.07.24 조영지 119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