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어른이 되는 게 무서워요” …… 현실이란 틀 안에 갇혀버린 학생들

by 4기김다희기자 posted Mar 25, 2017 Views 1824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대한민국의 청소년들은 고등학교를 졸업함과 동시에 청소년에서 벗어나 성인이 된다. 그런 갑작스러운 변화 속에서 학생들은 새로운 세상에 대한 기대감으로 들뜨기도 하지만 동시에 갈 길을 잃고 헤매기도 한다. 또한 청소년 때와 달리 모든 것을 스스로 결정하는 성인으로서의 삶에 대한 로망을 가지는 것과 동시에 성인이라 걱정되는 일들도 많다. 청소년들에게 어른이 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어른이 되고 싶은가?

313일부터 19일까지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 105명을 대상으로 성인이 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물어보는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기대되는 이유

기대되지 않는 이유

 자유를 누릴 수 있을 것 같다.

 미성년자로서의 제약이 사라진다.

 캠퍼스(대학)생활이 기대된다.

 언론의 영향으로 사회에 진출할 것이 무섭다.

 책임감과 부담감이 늘어나는 것이 두렵다.

 미래가 불투명하고 막막하게 느껴진다.

어른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는 답변이 64%, 기대하지 않는다는 답변이 36%였으며,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표와 같이 답변했다.

40%에 달하는 청소년들이 어른이 되기를 두려워하며 미래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어나갈 청소년들이 사회를 두려워하고 있다는 것은 국가적으로 큰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취업난의 문제나 현실의 벽 앞에 본인의 꿈을 이루지 못하는 현상을 보도하는 언론과 미디어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현실 속의 모순

많은 직장인들의 공감을 이끌어냈던 드라마 미생은 대한민국 사회의 냉혹한 현실을 대변해주었다. “최선은 학교 다닐 때나 대우 받는 거고, 직장은 결과만 대접 받는 데고”, 미생 속 오 과장의 대사다. 사회에 진출한다는 것은 현실이다. 실수가 용납되지 않는 현실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모든 일을 완벽하게 처리해야 한다. 하지만 누구도 어른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새로운 일에 어떻게 적응해야 하는지 알려주지 않는다. 게다가 서로가 경쟁 상대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외로움을 느끼며 혼자 문제를 해결한다. 이런 사회 속에서 청춘들은 적응에 어려움을 느껴 좌절을 경험한다.


KakaoTalk_20170325_203009210.jpg

[학생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교실의 모습 /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김다희기자]


조급해하지 말고 천천히, 시나브로

이런 현실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갑작스럽게 변하는 사회와 직면하게 될 때, 사전에 아무런 준비가 없는 것보다는 사전교육을 통해 대처방안을 미리 접해보았을 때 잘 적응할 수 있을 것이다. 선거권 행사 등 어른이 되면 맞닥뜨리는 현실을 가상체험 프로그램 형식으로나마 졸업 전에 겪어본다면 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설문조사 결과 역시 92%의 학생들이 교육 실시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는 새롭게 시작하는 청춘들에게 천천히 바꾸어나갈 시간을 주어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모든 학생들이 미래를 부정적으로만 바라보고 있을까? 아니다. 여전히 64%의 학생들은 두려운 상황 속에서도 새로운 세상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다.


친구들과 배낭여행

면허 취득

부모님으로부터 독립

술 마시기

알바 하기

기타

30%

20.5%

19.5%

17%

8%

10%


설문조사를 통해 어른이 되면 가장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물어보았다. 결과는 표와 같이 나왔는데, 친구들과의 배낭여행을 꿈꾸는 학생들이 가장 많았고 운전면허 취득과 부모님으로부터의 독립을 꿈꾸는 학생들이 뒤를 이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학업에 치여 고등학생 때까지 하지 못했던 새로운 활동과 성인으로서 즐길 수 있는 문화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는 삶의 대부분을 성인으로 살아가는데, 어른으로서의 삶을 두려워하기보다 밝은 미래를 상상하며 행복하게 살아가는 것이 어떨까? 하루하루 열심히 세상을 살아가다보면 좋은 기회가 찾아오고 그런 과정 속에서 점점 성장하며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어른이 된다는 것은 분명 축복이다. 초등학교 때부터 12년간 준비해온 자신의 능력을 마음껏 발휘하며 꿈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두려움은 잠시 접어두고 새로운 세상을 향해 날아오르자. 여러분의 앞날은 밝게 빛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김다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이건학기자 2017.03.28 11:53
    구조화된 사회 안에서 다들 비슷하게 삶을 살아가는 모습이 안타깝습니다.
  • ?
    4기오경서기자 2017.05.02 10:37
    날마다 등교하고 수업듣는것은 지루하고 귀찮은일이라고 생각해요. 하지만 막상 거기를 떠나라고 하면 그보다 더 두려운 현실이 기다리고 있다는걸 알기에 망설일것같아요. 좋은기사 잘읽었어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3749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3475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56353
눈과 귀가 모두 호강하는 '반고흐 인사이드 : 빛과 음악의 축제' 1 file 2016.03.25 최민지 17989
2018 평창올림픽, 그 속에 숨겨진 과학적 원리가 궁금하다면? 1 file 2018.03.03 김응민 17993
"인정?" "어 인정~" 지금은 급식체 열풍 1 file 2017.11.27 이지우 17995
반지 사이즈를 알고 싶다고? ‘링게이지’ 1 file 2020.07.03 손서연 17995
모두에게 환한 빛을 선물하다! - '비전케어' 중국 꾸이양에 가다 file 2017.08.24 임채영 17999
'코이카'를 통한 청년 해외 일자리 찾기 6 file 2016.02.25 강지희 18004
2019 세계 뇌주간 행사 '뇌로 떠나는 여행' 광주 개최 file 2019.03.28 유수진 18005
정월대보름, 다양한 지역축제 7 file 2016.02.22 장정연 18008
[오피니언] 바보야, 문제는 법이야. 법은 생명(동물)을 존중하지 않는다. file 2016.08.22 오성용 18014
'천국의 아이들'과 함께 만드는 천국의 소리 file 2016.04.11 심세연 18015
'그루밍족' 남성의 화장은 죄인가? 2 file 2018.08.27 구본윤 18019
베트남의 스타벅스, 콩카페 1 file 2019.09.23 정다솜 18022
도심 속의 작은 우주, 대전시민천문대 3 file 2019.01.23 정호일 18023
대한민국의 캡틴 기성용에 대해 파헤쳐보자! file 2017.06.21 어일선 18025
흰색 머리카락, 노화가 아니다! 2018.04.02 김동희 18026
부르카와 부르키니로 생각해보는 진짜 존중 1 file 2016.08.25 한서경 18033
세상을 조금씩 변화시키고 있는 냄비근성 2 file 2017.03.25 신유나 18038
석유에서 문화로, '문화비축기지' 1 2017.12.26 안지수 18051
페미니즘에 대한 진실 혹은 오해 11 file 2017.02.21 백정현 18057
힐링의 끝판왕, 베트남 달랏의 메링 커피 농장 2 file 2019.02.27 최상선 18060
팬 만들려다 팬 잃고 돌아간 최악의 유벤투스 내한 경기 2 file 2019.08.02 백휘민 18069
희망의 섬 제주에서 8?15 행사를 주최하다. file 2017.10.02 문재연 18075
너의 시작을 응원해! 실패해도 괜찮아, '대구 어울림마당' 개최 file 2019.04.22 전수현 18077
세계의 문화와 한국의 전통, 그 주역을 만나다! 1 file 2016.11.17 서지민 18082
베이킹소다의 변신! 천연세탁세제 file 2017.10.30 홍유빈 18087
훈훈한 네티즌들의 선행, 백범 김구 선생의 정신을 기리며 2 file 2016.03.19 전지우 18091
KOICA 지구촌체험관 제4기 청소년 도슨트 file 2016.07.25 손제윤 18095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 종교란 무엇인가 2 file 2018.10.01 염정윤 18115
맛과 멋이 있는 곳! 순천 푸드 아트 페스티벌 1 2017.06.06 이소명 18121
일상 속의 숨쉬는 역사, 김해 율하유적공원을 찾아가다. file 2017.12.18 최희수 18139
영월, 그곳의 여름은 1 file 2019.08.14 이지수 18140
배려와 동행 함께하는 인천 국제 하프 마라톤 대회 file 2016.03.28 오시연 18142
'한국의 우주공학과 천문학의 미래를 책임질 대한청소년천문우주공학회' 학술회 개최 7 file 2017.02.21 양민석 18145
축구계의 갑신정변, 슈퍼리그 창설 계속되나? file 2021.08.09 이인황 18149
'아이돌 마케팅', 건강한 소비생활을 위협하다 2 file 2018.02.02 한채은 18151
지속가능한 발전목표(SDGs) 확산을 위한 모의유엔MUN 컨퍼런스-SDGMUN 7 file 2016.02.25 김세영 18162
위로받고 싶은 당신에게, <보노보노처럼 살다니 다행이야> 1 file 2019.03.25 최가온 18167
ADRF 번역봉사동아리 '희망드림' 6기 출범 4 file 2017.03.16 박소윤 18173
분데스리가의 '50+1' 정책, 과연 디딤돌인가? 장애물인가? file 2020.08.24 남상준 18173
기다려도 오지않는 엠블런스 1 file 2016.08.30 최호진 18180
동작구청 중고생 교복 나눔장터 행사 1 file 2017.02.25 김주영 18181
작은 컴퓨터, 아두이노 1 file 2016.04.10 정연경 18182
제26회 포항 어린이날 큰잔치 2019.06.04 11기김정규기자 18182
하루에 한 발자국씩 「열두 발자국」 file 2019.03.13 황엘림 18186
<어벤져스 : 인피니티 워>, 모든 마블 히어로들의 등장 file 2018.06.25 나인우 18196
끊임없이, 끊김없이 1 file 2020.08.31 정미강 18200
미래의 성실납세자, 전국 청소년 세금문예작품공모전 참여하자! file 2017.03.26 한혜빈 18201
영화 ‘피터 래빗’ 시사회 성황리에 개최..허팝·나하은 등 참석 file 2018.05.08 디지털이슈팀 182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