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촛불과 함께한 모든 날이 좋았다.

by 4기김윤영기자 posted Mar 20, 2017 Views 982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기사 사진1.jpg

[이미지 제공=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신혜원 기자]

2017년 3월 10일 헌법재판소 재판관 8명의 만장일치로 박 전 대통령이 탄핵당하였다. 그다음 날인 3월 11일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을 기념하기 위한 제20차 촛불집회가 열렸다. 이 집회에는 주최 추산 약 65만 명의 인원이 모였으며 전국 추산 약 70만 명이 모였다.


대한민국의 새로운 출발을 축하하는 성격을 띠고 있으며 집회의 구호는 ‘탄핵 인용’에서 ‘박근혜 구속’으로 바뀌었다. 주최 측인 ‘박근혜 퇴진 행동’은 ‘촛불 권리 선언’을 발표하였다. 선언은 시민 대토론회에서 나온 시민들의 의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민 성안 위원회’가 정리하여 만들어졌다. 이는 촛불의 정신을 담은 전문과 여러 가지 개혁사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날 4시 광화문 광장에서 집회가 시작되었다. 이날 박 전 대통령의 구속, 황교안 권한대행의 퇴진, 국정 농단 공범자의 처벌 촉구, 재벌 적폐 청산 등을 주제로 자유발언을 하였다. 6시 30분경부터는 광화문 광장에서 동대문을 기점으로 종로, 을지로 일대로 이어지는 대규모 행진을 진행하였으며 오후 8시에는 ‘촛불 승리 축하 콘서트’가 진행되었다. 이 콘서트에는 조 PD, 한영애, 전인권, 뜨거운 감자 등 여러 가수가 시민과 함께 탄핵을 자축하며 즐거워하였다. 이날 광화문 곳곳 시민들의 얼굴에는 웃음꽃이 만발했으며 어린아이들도 눈에 띄었다. 자하문로의 한 카페는 '함께 해주신 분들과 따뜻한 촛불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지난 겨울 고생 많으셨습니다. 이 길은 당신을 기억할 거예요.'라는 문구를 내걸기도 하였다.


박근혜 퇴진 운동은 3월 11일 마무리되었으며 매주 열리던 촛불집회는 더 이상 매주 열리지 않으며 3월 25일과 세월호 참사 3주기를 앞둔 4월 15일 집회를 열 예정이다. 다만 주최 측은 대선 과정 중 편파적인 개입이 있을 경우 언제든지 다시 촛불을 들고 광화문으로 모이겠다고 하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김윤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199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931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3642
생활 방역 시대, 청소년이 가져야 할 마음가짐 file 2020.05.04 서하연 8891
이태원 클럽 코로나, 언론인이 맞닥뜨릴 딜레마 2020.05.14 오유민 8890
변종 코로나바이러스, 밍크에서 발견 1 file 2020.11.23 오경언 8887
삼성그룹 회장 이건희, 78세의 나이로 별세 1 2020.11.02 조은우 8879
베트남은 지금 '박항서 감독'에 빠졌다 2018.12.26 김민우 8874
예방인가? 위협인가? file 2020.10.27 길현희 8870
일본 방사능 오염수 방류 결정에 반일 불매 운동? file 2021.04.16 지주희 8868
내년 3월부터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 그 함의는 무엇인가? file 2020.10.22 정지후 8861
KF80 마스크로도 충분하다 2 file 2020.04.08 김동은 8849
코로나19, 2차 대유행 시작 2020.08.28 김민지 8848
농산물이 일으킨 수출의 문 file 2020.10.05 김남주 8838
영국의 조기 총선 file 2019.12.23 홍래원 8837
문 대통령 "백신 접종 염려 사실 아니니 국민 여러분 걱정하지 마십시오" 1 file 2021.01.11 백효정 8828
논란의 중심 배달의민족 file 2020.04.27 박채니 8821
코로나 이후 떠오르는 '언택트' 산업 2020.06.01 신지홍 8817
"정인아 미안해..." 뒤에 숨겨진 죽음으로만 바뀌는 사회 1 file 2021.01.27 노혁진 8803
방역 갈림길에 선 대한민국, 코로나 환자 급증 file 2020.08.25 오준석 8803
만 18세도 유권자! file 2020.03.27 지혜담 8803
전 세계를 뒤흔든 코로나바이러스가 조작됐다? file 2020.09.28 방지현 8800
진선미 의원표 성평등정책, 해외서도 통했다..'미 국무부 IVLP 80인 선정' 화제 file 2020.12.21 디지털이슈팀 8799
“헬기에서 총 쐈지만 전두환은 집행유예?” 비디오머그 오해 유발 게시물 제목 1 file 2020.12.07 박지훈 8795
차이나 리스크, 홍색 규제에 대한 나비효과 file 2021.08.02 한형준 8793
변화하는 아프리카, 세네갈 풍력발전소 출시 file 2020.03.04 정윤지 8786
월스트리트에 걸린 태극기 - 쿠팡의 미국 IPO 상장 1 file 2021.03.29 양연우 8782
한나라의 대통령이...비난받는 브라질 대통령 1 2020.04.17 조은우 8778
이재명-김동연 → 윤석열-안철수, 막바지 판도 흔드는 단일화 변수 file 2022.03.04 김희수 8775
학교폭력, 우리가 다시 생각해 봐야 하는 문제 file 2021.03.26 김초원 8774
정부, ‘중국인 입국 금지'에 대한 견해를 밝히다 file 2020.03.02 전아린 8773
전국에 내려진 폭염경보, 건강관리는 어떻게? 2020.08.24 윤소연 8759
쓰나미처럼 밀려오는 사과문 유튜브 ‘뒷광고’ 점점 밝혀진다 1 file 2020.08.20 오경언 8759
통합당, 당명 '국민의힘'으로 바꾼다 file 2020.09.03 나은지 8753
코로나로 인한 여행 file 2020.06.08 양소은 8752
조국 전 장관의 서초동집회 근황 file 2020.01.17 윤태경 8739
우리의 적은 코로나19인가, 서로에 대한 혐오와 차별인가 file 2020.05.25 장은서 8732
KFX 인니 '손절'? file 2021.03.02 정승윤 8717
늘어난 14만여 명의 유권자들, 총선거에 어떤 영향 미칠까 file 2020.03.13 이리수 8717
초유의 '4월 개학' 확정 2 file 2020.03.19 류경주 8715
전 세계가 감탄한 대응책 중 하나, '마스크 5부제' 1 file 2020.04.24 박아연 8711
美 폼페이오 방북 취소, 어떻게 봐야 할까 file 2018.09.03 이윤창 8704
미얀마 학생들의 간절한 호소 2021.03.05 최연후 8701
2021년 '중국' 수입제품 세율 변화 file 2021.03.02 김범준 8697
코로나19로 변한 학교생활 file 2020.09.03 정예린 8687
백신 안전성...결정의 기로에 놓인 프랑스 국민들 file 2021.01.26 정은주 8683
더불어민주당, 또다시 법안 단독 표결 나서나… 17일 문체위 전체회의 개최 예고 file 2021.08.17 김은수 8678
점진적인 경제활동 재개에 나선 프랑스 file 2021.05.10 김소미 8677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한 유튜버 file 2020.12.29 윤지영 8675
방역패스,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21.12.22 김가은 8666
청소년을 향한 담배 광고, 괜찮은 걸까? file 2020.06.01 김가희 86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