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왕의 걸음으로 걷는 창덕궁

by 4기정유진기자 posted Mar 19, 2017 Views 1319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거의 모든 학생들은 그저 창덕궁을 역사 교과서에서의 사진으로만 본 경우가 대다수일 것이다. 그로 인해 창덕궁의 가치를 잘 모르는 학생들이 많을 것이다. 창덕궁은 꽃이 피어나고 새싹이 돋는 4월과 단풍이 절정인 10월에 더욱더 빛을 발하는 우리나라의 숨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가장 한국적인 궁궐이다.

창덕궁은 자연 지형을 그대로 살리면서 골짜기마다 정원을 만들었는데, 부용지와 애련지, 관람지, 존덕지 같은 연못을 만들고 옥류천 주변에는 소요정과 청의정, 태극정 등 아담한 규모의 정자들을 세워 자연을 더 아름답게 완성하였다. 후원은 왕과 왕실의 가족의 휴식을 위한 공간이었지만, 왕이 주관하는 여러 가지 야외 행사가 열리는 장소이기도 했다. 조선 초기에는 왕이 참석하는 군사 훈련이 자주 실시되었고, 활쏘기 행사도 열렸으며 대비를 모시는 잔치나 종친 또는 신하를 위로하는 잔치도 베풀어졌다. 또한 왕은 후원에 곡식을 심고 길러 농사의 어려움을 직접 체험해보기도 하였고, 왕비는 친히 누에를 쳐서 양잠을 장려하기도 했다. 후원은 창덕궁 전체의 60%를 차지할 정도로 넓고, 가끔 호랑이가 나타나기도 했을 정도로 깊다. 이렇게 숨은 매력이 있고 왕들의 유별난 사랑을 많이 받았던 창덕궁 후원의 진정한 아름다움을 느끼기 위해서는 절경들이 골짜기마다 숨어 있어 한꺼번에 드러나지 않으므로, 직접 걸어서 골짜기의 연못과 정자들을 찾아다녀야 한다. 그저 책으로나, 텔레비전 시청을 통해 창덕궁을 간접적으로 감상해 보는 것보다는 직접 창덕궁에 가서 몸으로 느껴보아야 진정한 한국적인 궁궐을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Screenshot_2017-03-19-00-19-47-1.png

조그만 강 위 돌에 새겨진 영조의 필체도 보인다.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정유진기자]


Screenshot_2017-03-19-00-19-52-1.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정유진기자]



창덕궁은 매주 월요일은 휴궁이고, 입장은 관람 마감 1시간 전까지이다. 또한 창덕궁에는 자랑스러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만큼 외국인들을 위한 영어, 일본어, 중국어로 관람을 해설해주는 해설사가 있으므로 모두가 어렵지 않게 관람할 수 있다. 하지만 모두가 더욱더 즐겁게 관람할 수 있도록 문화유산 보호를 위해 모든 구역에서 금연하기, 음식물, 인화물, 돗자리 등은 가지고 들어가지 않기, 궁궐 내 의자에 눕거나 음식물을 먹지 않기 등 관람 예절은 꼭 지켜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정유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50631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4777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70051
드림스프링스, 청소년의 꿈을 응원합니다! 1 file 2017.02.27 김보경 547743
[PICK] 삼성전자의 3세대 폴더블 Z Filp 3를 살펴보다 2 file 2021.08.25 김승원 467185
[PICK] 혼자가 더 편한 이들에게 건네는 공감과 위로, 영화 <혼자 사는 사람들> 1 file 2021.08.26 한수민 466082
최초의 유화 애니메이션, <러빙 빈센트> file 2017.11.28 신현민 404859
[포토]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이재준 고양시장 인터뷰 진행 file 2020.11.10 디지털이슈팀 279940
[PICK] KBO 역사상 최대 위기, 팬들의 마음은 이미 돌아섰다 file 2021.07.26 지주희 254970
애니메이션 속 숨겨진 명대사 5 file 2020.04.28 권빈 241612
베이킹 속에 숨어있는 과학 원리 file 2018.02.01 정용환 213659
여자배구 대표팀, 2021 VNL 참가 18인 명단 공개...도쿄올림픽 향한 첫걸음 1 file 2021.04.12 김하은 191222
[PICK] 국제백신연구소 사무총장과 화이자 백신 R&D 사업본부, 코로나 백신에 대해 이야기하다 1 file 2021.06.18 이주연 168783
[PICK] '대통령 특별사절 1호 가수' 방탄소년단, "사명감 갖고 긍정과 희망 에너지 전하고파" file 2021.07.26 김수인 167690
[PICK] 쓰레기로 만든 신발 나이키 레디메이드 블레이저 file 2021.07.27 류태영 167234
[PICK] 가까워지는 코로나 종식, 문화생활 시작될까 1 file 2021.06.28 이소현 157996
[PICK] 남자농구 대표팀, 4승 2패로 아시아컵 본선 진출 확정 file 2021.06.28 윤서원 156435
“이게 한국?”...내셔널지오그래픽에 한국인들이 뿔난 이유 file 2021.07.27 박지훈 138143
청소년기자단봉사회, ‘시각장애인·정보소외계층 위한 기사녹음 봉사활동’ 운영 file 2018.10.31 디지털이슈팀 108035
서초구를 뒤흔들다. 2017 서초구 서리풀 페스티벌 file 2017.09.27 김서영 105815
'신흥 강자'로 불리던 게임들이 유독 한국에서 부진한 이유는? 1 file 2020.09.21 김상혁 89640
프랑스의 깊은 맛, 대표 음식 Top 3 file 2017.10.18 박미진 83752
내가 직접 만들어서 팔아요. 2017.06.30 박승미 83610
녹색교육센터, 2022년 글쓰기로 마음을 키우는 숲놀이터 '글꽃숲' 글 모음집 발간 file 2023.01.02 이지원 82597
청소년들에게 일상이 되어버린 비속어 1 file 2017.03.20 김재윤 81881
공룡 대멸종, 그 원인은 무엇일까? file 2018.06.21 최수영 73472
필환경이 트렌드로 주목되다, 이 변화에 기여한 자들은? file 2020.04.13 남지영 64800
순우리말 간판, 돌아오다. 11 2017.02.22 장나은 57578
FTA의 장점과 단점 file 2017.10.09 최현정 51285
마케팅의 기본, 분석법을 배우자!! file 2016.06.04 김성현 49593
엄마! 소고기는 왜 돼지고기보다 비싸요? 3 file 2019.09.02 김도현 49340
10대들이 받고 싶어 하는 선물은? file 2020.01.03 이채희 48212
청소년 아이돌 팬덤 문화의 양면성 2017.07.29 정혜원 48145
블루투스는 왜 한 개만 연결이 가능할까? file 2021.05.27 장은솔 45371
대기 중 이산화탄소로 망가져가는 해양을 살릴 수 있는 기술들 1 file 2020.12.31 이지민 45047
성격 유형에 따른 MBTI, 나는 어떤 유형일까? 7 file 2020.07.03 윤소영 44736
'탈석탄'을 위한 온라인 엽서 쓰기 4 file 2021.05.24 김태희 44630
자극적인 콘텐츠 속 블루오션, '무자극 컨텐츠 연구소' file 2017.08.01 김재윤 44452
세계의 의식주①: 다양한 전통의상 2018.01.30 김민지 43747
청소년들의 새로운 문화공간, '청소년 클럽' 5 file 2018.03.02 박건목 41850
세계로 나가는 자랑스런 한국의 맛! <제12회 전주국제발효식품 엑스포> 1 file 2014.10.23 최다혜 41348
10대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패션 브랜드 '키르시(KIRSH)' 9 file 2019.04.12 김세린 41308
원숭이와 친해져볼까?! 에버랜드 '몽키밸리 리얼대탐험' file 2015.06.07 김민정 41081
서울시 교육감과 함께한 명덕여고 학생자치법정 1 file 2015.08.11 심희주 40661
사람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 MBTI 1 file 2020.01.03 조은비 40653
새로운 기자단 tong, 시작을 알리다 4 file 2015.07.28 김혜빈 40127
SKY캐슬 예서는 '이기적 유전자'를 이해하지 못했다? 2 file 2019.03.22 이연우 39780
[곰이 문 화과자] ' 2월 ' 문화행사 A to Z 19 file 2016.02.11 박서연 382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