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WBC, 이스라엘이 한국에게 전하는 메세지

by 4기조성민기자 posted Mar 15, 2017 Views 1676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7077276_1871853306387376_8026805731715973120_n (1).jpg

[이미지제공= WBC 공식 홈페이지, 저작권자에게 사용 허락을 받음]


 1승 2조 3대한민국 WBC 대표팀이 받아 든 성적표이다지난 해 열린 제 1회 프리미어 12에서 영원한 숙적일본에 기적적인 역전승을 거두고 우승한지 얼마 안 됐고 서울에서 예선이 치러지기 때문에 좋은 결과가 나오기를 모두 기대하고 있었다그러나 현실은 참혹했다.

  한국은 대만이스라엘네덜란드와 함께 A조에 속해있다네덜란드와 이스라엘은 정식프로리그도 없는 야구 변방국이고 대만은 몇 안 되는 프로야구리그가 존재하기 때문에 대만을 제외하고는 만만한 조 편성이라고 여길 수 있다그러나 WBC의 특별한 룰이 적용되면 얘기가 달라진다. WBC는 부모나 조부모의 국적을 따라 출전할 수 있다한국으로 귀화한 주권(22, kt 위즈)도 부모의 국적을 따라 중국 국가대표로 참가하였다최근 은퇴한 알렉스 로드리게스는 2006년 제 1회 대회에서는 미국 대표로 참가했지만제 2회 대회에서는 도미니카공화국 대표로 출전하였다이 룰이 적용되면 네덜란드와 이스라엘 팀의 위상이 확연히 올라가게 된다네덜란드령 퀴라소는 인구는 작지만 야구열기가 대단하여 많은 메이저리거들을 배출해냈다이스라엘은 본토보다 세계 각지에 퍼진 유대인이 더 많은 만큼 수많은 미국 이민자들 중 걸출한 실력의 선수들이 많다.

 네덜란드는 확실히 메이저리거도 많고 지난 2013년 대회에선 한국에게 예선 탈락이라는 수모를 안긴 기억이 있기에 가장 경계해왔고대만 역시 무시 못 할 전력으로 분류되었다하지만 이스라엘은 메이저리거 보다는 주로 마이너리거로 구성되었기에 조 최약체로 분류되었다그러나 뚜껑을 열어보니 정반대의 양상이 나타났다3승 0로 당당하게 조 1위를 차지한 이스라엘이었다.


 16230261_224449084688018_3329425976042979328_n.jpg

[이미지제공= WBC 공식 홈페이지, 저작권자에게 사용 허락을 받음]


 물론메이저리그에서 활약 중인 추신수김현수 등의 국제대회에서 맹활약한 선수들이 시즌 준비의 이유로 빠지고김광현,강민호 등 핵심 전력이 부상으로 이탈하면서 객관적인 전력이 약화되었다하지만 가장 큰 원인은 '의지'와 '정신력'이다야구는 변수가 굉장히 많은 종목이다프로 리그 경기처럼 많은 경기수를 치르면 순위의 윤곽이 드러나지만꼴지 팀이 우승팀을 잡는 등 단기전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실제로 군인 야구단인 상무와 경찰청이 한국 대표팀이 패배한 네덜란드와의 연습경기에서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 WBC 역시 변수가 많은 단기전이다정신력은 단기전에서 '이변'을 만들어낸다물론 당사자의 입장에서는 '기적'이 되겠지만.

 이스라엘 대표팀의 구성원은 대부분 부모가 이스라엘 이민자인 미국인이다그들은 유대인의 정서와 가치관을 물려 받았지만 대부분이 이스라엘에 가본 적이 없다그래서 이스라엘 대표팀은 대회 준비 기간 중 예루살렘에 다녀왔다그들은 전해 들은 얘기로만 듣던 또 하나의 조국을 방문하여 애국심을 고취하고 결의를 다졌다야구는 팀 스포츠이기 때문에 팀원간의 결합이 되지 않으면 좋은 성과를 낼 수 없다제 1회 WBC 대회에서 미국이 야구 국제대회 사상 최고의 팀으로 평가 받는 초호화 멤버를 데리고도 우승을 이뤄내지 못한 것은 단합력이 부족했어서라는 평가가 많다.

 반면 한국은 어떠한가과거 한국은 국제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그 당시엔 지금보다 더 화려한 멤버로 구성되었기는 하지만그들은 세계 최정상 급 선수들을 상대하는데도 주저함이 없었다그들은 자신을 믿고동료들을 믿었다그러나 이번 대회는 어떠한가팽팽한 접전 상황에서도 덕 아웃에서 파이팅을 외치는 리더 하나가 없다투수는 자기 공을 던지지 못 하고타자는 자기 스윙을 하지 못 한다객원해설로 참여한 박찬호 해설위원은 네덜란드와의 경기에서 '스트라이크 존에 직구를 던지면 타자가 치지 못 한다그런데 안타 맞기가 두려워서 변화구만 던지고 그 변화구가 제구가 안 된다이걸 배터리(투수와 포수)가 알아야 하는데 참으로 안타깝다'고 도망가는 피칭을 하는 투수를 비판했다.

 아울러 KBO리그의 문제점도 드러난다작년은 역사상 최다인 40명의 3할 타자를 배출했다그러나 이는 타자의 수준이 올라가서가 아니다투수의 문제이다네덜란드와 이스라엘과의 두 경기에서 1점 밖에 내지 못 한 사실이 이를 입증한다한화 이글스의 김성근 감독은 '류현진과 김광현 이후로 리그를 호령하는 투수가 없었다'며 리그의 투수력나아가 리그 전체의 질적 저하를 우려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FA시장은 역대 급 거품현상이 일어나고 있다약간만 좋은 성적을 거두면 실력에 비해 말도 안 되는 거액의 연봉을 받고는 한다물론 시대가 달라 직접적인 비교는 힘들지만 과거 시대를 호령했던 해태 타이거즈는 돈이 없는 모기업의 재정상태로 인해 최대한 허리띠를 졸라매었고살아남기 위해 선수들이 무서운 정신력과 경기력을 보여주어 저승사자라는 별명까지 얻었다해태 선수들처럼 하라는 것은 아니지만 과거에 비해 해이해진 선수들의 마음가짐을 고칠 필요가 있다과연 병역 면제가 걸린 올림픽이나 아시안게임이었어도 이런 처참한 성적이 나왔을까?

 KBO리그는 해마다 관중 수 신기록을 갱신하고 있고한국을 대표하는 선수들이 미국 메이저리그에서 맹활약하고 있다어느 때보다도 큰 인기를 얻고 있는 한국야구지만 이번 대회 결과로 인해 실망한 팬들이 많다한 네티즌은 '뛰어난 선수들을 직접 보는데 적당한 가격이라 생각하고 티켓을 샀는데 돈 낭비였다'라고 비난의 댓글을 남기기도 했다팬들은 모으기는 힘들지만 잃기는 쉽다. WBC 조기 탈락으로 실망한 팬들의 발걸음을 붙잡기 위해서는 앞으로 향상된 경기력과 승리를 향한 투지를 보여야 할 것이다이번 WBC는 KBO와 한국야구 전체에 대한 '경고장'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4기 조성민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TAG •
  • ?
    4기최민규기자 2017.03.15 20:31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큰 기대를 걸었던 한국야구가 이렇게 쉽게 허무하게 무너지는 것을 보며 가슴이 아팠습니다. 2008베이징 올림픽때의 금메달의 영광은 잊혀져가는 것 같아 아쉽습니다. 한국 야구의 재도약을 기원합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조성민기자 2017.03.15 20:48
    감사합니다~
  • ?
    4기김유경기자 2017.03.15 22:38
    기대가 컸던 만큼 결과가 너무 아쉬웠어요. 가을야구가 끝나고 오랜만에 마주했던 경기라서 더욱 아쉬움이 남았는데요, 프로야구의 투저타고가 어서 평준화되어 더욱 재미있고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경기를 만들어주었으면 해요!
  • ?
    4기조성민기자 2017.03.15 22:51
    앞으로의 행보가 KBO 앞날을 가를 듯 해요 제발 좋은 경기력으로 보답해주기를..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44945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4213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64267
인간이 우울해질수록, 가재는 대담해진다 file 2021.06.29 유예원 16633
색다른 서울 근현대사 탐방하기 file 2019.07.25 최민주 16634
왜곡된 생리 찾아 삼만 리, “나 생리한다!” 2020.03.02 최은아 16636
잠자는 청소년의 의식을 깨운다! '청소년 자원봉사 여름학교 - 학교폭력 예방 캠페인' file 2017.08.21 김현서 16638
차별을 향해 날리는 통쾌한 홈런 한 방, 대구퀴어문화축제! file 2017.08.27 고은서 16640
창원 시민들의 화합의 장 '제15회 창원야철마라톤대회' file 2019.04.18 민서윤 16641
문화예술 NGO ‘길스토리’ 대표 배우 ‘김남길’ file 2021.03.24 문소정 16643
한국걸스카우트 국제야영 "Act! Connect! Empower!" file 2017.08.23 김주희 16646
지친 청춘들을 위한 박지선과 폴킴의 강연, <청춘강연> 1 file 2018.06.12 김지민 16650
관객을 속이는 영화, 맥거핀의 집합체 file 2016.07.26 김현구 16651
생태교란종 "붉은귀거북" 무더기 발견 file 2020.05.11 김은준 16651
논란 많은 선거인단 제도, 왜 바뀌지 않을까? 1 2020.11.30 이유진 16651
이주민들의 희망센터, 로뎀 1 file 2017.03.19 김다은 16652
시인 정지용의 '제32회 옥천 지용제' file 2019.05.27 양유빈 16654
우리나라의 의생활에 남아있는 일제 잔재 file 2021.12.03 김민정 16655
콘서트 가면 '사생팬' 이라고요? 더 이상은 NO! 5 file 2016.05.05 김현주 16657
수륜 메뚜기가 전국에 가을을 알린다! ‘2017 제3회 성주 가야산 황금 들녘 메뚜기잡이 체험 축제’ file 2017.10.18 김나현 16660
137년 vs 14년, 한 맺힌 팀들의 대결…UCL 결승 6월 1일 개최 file 2019.05.31 권진서 16660
김해시 대학병원 유치 실현에 시동걸어 2 file 2017.05.05 김규리 16664
주민들간에 소통의 벽을 허물어준 평화동네 작은 음악회 2 file 2017.07.13 최희주 16665
청소년의 '피, 땀, 눈물'은 어디로 갔을까 [청소년 아르바이트] 2 file 2017.04.24 이채은 16666
제 16회 부천 복사골 청소년 예술제 개최 file 2016.09.14 백재원 16667
5월 5일 어린이날 영월에서는? file 2019.05.13 이지수 16670
“나도 성악가” 부천 소사에서 펼쳐지는 가곡교실 4 file 2017.02.16 김준희 16671
덕후, 새로운 문화를 만들다! file 2017.10.02 이지우 16673
2018 평창동계올림픽 기념 특별전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한국·일본·중국' 열려... file 2018.03.01 류태원 16673
배고플때 짜증이 난다? file 2017.03.25 진다희 16675
화성 효 마라톤 대회 그열정의 현장 속으로 file 2016.05.29 신수현 16676
동백의 딸들, 성화 봉송에 참여하다 file 2017.11.07 이유진 16679
중국의 추석, 중추절 file 2017.10.23 이진하 16680
한미장학재단 동부지역 수여식 2016.10.16 조은아 16682
전무후무한 3관왕, 요네자와 월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file 2018.07.26 6기박상현기자 16685
한국에서 접하는 이슬람, '한국이슬람교 부산성원' file 2017.05.14 허재영 16686
다른 세상에 사는 두 소녀의 이야기,< 세계를 건너 너에게 갈게> file 2018.03.29 김수민 16689
가나, 우주 경쟁에 뛰어들다! 2 file 2017.08.07 한동엽 16690
무더위도 잊게 만드는 뜨거운 과학 열기 속으로 1 file 2017.08.25 이지호 16690
카이스트가 해냈다! 이제 집에서 신경치료 하자! file 2018.11.16 백광렬 16695
인간이라면, 잊어서는 안 되는 일, 위안부 file 2016.08.25 전지우 16696
1919년 3월 1일 , 그날의 함성이 우리에게 닿는 날 file 2016.03.21 한지혜 16697
[가볍게 떠나요] 방학 맞아 학생들끼리 떠나기 좋은 지하철 데이트 코스 추천 1 file 2018.12.27 정하현 16697
우리 집에 짱구네 백마 택배가 왔다 2 file 2020.08.26 최유진 16698
울산 태화강, 예쁨예쁨한 '한복입은 봄 페스티벌' 4 file 2017.05.15 4기임소연기자 16699
수화가 아니라 수어라고? - 조금은 특별한 봉사활동 file 2017.10.24 홍정연 16702
'조선명탐정 : 흡혈괴마의 비밀'. 시리즈의 흥행을 이어가다? 2 file 2018.02.26 이예원 16704
새 학기 가방고민, 한방에 해결하기! 1 file 2017.02.24 이서영 16706
평화의 소녀상의 거제 나들이 2 file 2018.01.29 최다영 16707
청소년들의 의견을 나누어보는 토론,'세발작'개최 3 file 2017.06.04 신지원 16710
'희움일본군위안부역사관'에 다녀오다. 2 file 2016.03.13 권은다 167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