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WBC, 이스라엘이 한국에게 전하는 메세지

by 4기조성민기자 posted Mar 15, 2017 Views 1690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7077276_1871853306387376_8026805731715973120_n (1).jpg

[이미지제공= WBC 공식 홈페이지, 저작권자에게 사용 허락을 받음]


 1승 2조 3대한민국 WBC 대표팀이 받아 든 성적표이다지난 해 열린 제 1회 프리미어 12에서 영원한 숙적일본에 기적적인 역전승을 거두고 우승한지 얼마 안 됐고 서울에서 예선이 치러지기 때문에 좋은 결과가 나오기를 모두 기대하고 있었다그러나 현실은 참혹했다.

  한국은 대만이스라엘네덜란드와 함께 A조에 속해있다네덜란드와 이스라엘은 정식프로리그도 없는 야구 변방국이고 대만은 몇 안 되는 프로야구리그가 존재하기 때문에 대만을 제외하고는 만만한 조 편성이라고 여길 수 있다그러나 WBC의 특별한 룰이 적용되면 얘기가 달라진다. WBC는 부모나 조부모의 국적을 따라 출전할 수 있다한국으로 귀화한 주권(22, kt 위즈)도 부모의 국적을 따라 중국 국가대표로 참가하였다최근 은퇴한 알렉스 로드리게스는 2006년 제 1회 대회에서는 미국 대표로 참가했지만제 2회 대회에서는 도미니카공화국 대표로 출전하였다이 룰이 적용되면 네덜란드와 이스라엘 팀의 위상이 확연히 올라가게 된다네덜란드령 퀴라소는 인구는 작지만 야구열기가 대단하여 많은 메이저리거들을 배출해냈다이스라엘은 본토보다 세계 각지에 퍼진 유대인이 더 많은 만큼 수많은 미국 이민자들 중 걸출한 실력의 선수들이 많다.

 네덜란드는 확실히 메이저리거도 많고 지난 2013년 대회에선 한국에게 예선 탈락이라는 수모를 안긴 기억이 있기에 가장 경계해왔고대만 역시 무시 못 할 전력으로 분류되었다하지만 이스라엘은 메이저리거 보다는 주로 마이너리거로 구성되었기에 조 최약체로 분류되었다그러나 뚜껑을 열어보니 정반대의 양상이 나타났다3승 0로 당당하게 조 1위를 차지한 이스라엘이었다.


 16230261_224449084688018_3329425976042979328_n.jpg

[이미지제공= WBC 공식 홈페이지, 저작권자에게 사용 허락을 받음]


 물론메이저리그에서 활약 중인 추신수김현수 등의 국제대회에서 맹활약한 선수들이 시즌 준비의 이유로 빠지고김광현,강민호 등 핵심 전력이 부상으로 이탈하면서 객관적인 전력이 약화되었다하지만 가장 큰 원인은 '의지'와 '정신력'이다야구는 변수가 굉장히 많은 종목이다프로 리그 경기처럼 많은 경기수를 치르면 순위의 윤곽이 드러나지만꼴지 팀이 우승팀을 잡는 등 단기전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실제로 군인 야구단인 상무와 경찰청이 한국 대표팀이 패배한 네덜란드와의 연습경기에서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 WBC 역시 변수가 많은 단기전이다정신력은 단기전에서 '이변'을 만들어낸다물론 당사자의 입장에서는 '기적'이 되겠지만.

 이스라엘 대표팀의 구성원은 대부분 부모가 이스라엘 이민자인 미국인이다그들은 유대인의 정서와 가치관을 물려 받았지만 대부분이 이스라엘에 가본 적이 없다그래서 이스라엘 대표팀은 대회 준비 기간 중 예루살렘에 다녀왔다그들은 전해 들은 얘기로만 듣던 또 하나의 조국을 방문하여 애국심을 고취하고 결의를 다졌다야구는 팀 스포츠이기 때문에 팀원간의 결합이 되지 않으면 좋은 성과를 낼 수 없다제 1회 WBC 대회에서 미국이 야구 국제대회 사상 최고의 팀으로 평가 받는 초호화 멤버를 데리고도 우승을 이뤄내지 못한 것은 단합력이 부족했어서라는 평가가 많다.

 반면 한국은 어떠한가과거 한국은 국제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그 당시엔 지금보다 더 화려한 멤버로 구성되었기는 하지만그들은 세계 최정상 급 선수들을 상대하는데도 주저함이 없었다그들은 자신을 믿고동료들을 믿었다그러나 이번 대회는 어떠한가팽팽한 접전 상황에서도 덕 아웃에서 파이팅을 외치는 리더 하나가 없다투수는 자기 공을 던지지 못 하고타자는 자기 스윙을 하지 못 한다객원해설로 참여한 박찬호 해설위원은 네덜란드와의 경기에서 '스트라이크 존에 직구를 던지면 타자가 치지 못 한다그런데 안타 맞기가 두려워서 변화구만 던지고 그 변화구가 제구가 안 된다이걸 배터리(투수와 포수)가 알아야 하는데 참으로 안타깝다'고 도망가는 피칭을 하는 투수를 비판했다.

 아울러 KBO리그의 문제점도 드러난다작년은 역사상 최다인 40명의 3할 타자를 배출했다그러나 이는 타자의 수준이 올라가서가 아니다투수의 문제이다네덜란드와 이스라엘과의 두 경기에서 1점 밖에 내지 못 한 사실이 이를 입증한다한화 이글스의 김성근 감독은 '류현진과 김광현 이후로 리그를 호령하는 투수가 없었다'며 리그의 투수력나아가 리그 전체의 질적 저하를 우려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FA시장은 역대 급 거품현상이 일어나고 있다약간만 좋은 성적을 거두면 실력에 비해 말도 안 되는 거액의 연봉을 받고는 한다물론 시대가 달라 직접적인 비교는 힘들지만 과거 시대를 호령했던 해태 타이거즈는 돈이 없는 모기업의 재정상태로 인해 최대한 허리띠를 졸라매었고살아남기 위해 선수들이 무서운 정신력과 경기력을 보여주어 저승사자라는 별명까지 얻었다해태 선수들처럼 하라는 것은 아니지만 과거에 비해 해이해진 선수들의 마음가짐을 고칠 필요가 있다과연 병역 면제가 걸린 올림픽이나 아시안게임이었어도 이런 처참한 성적이 나왔을까?

 KBO리그는 해마다 관중 수 신기록을 갱신하고 있고한국을 대표하는 선수들이 미국 메이저리그에서 맹활약하고 있다어느 때보다도 큰 인기를 얻고 있는 한국야구지만 이번 대회 결과로 인해 실망한 팬들이 많다한 네티즌은 '뛰어난 선수들을 직접 보는데 적당한 가격이라 생각하고 티켓을 샀는데 돈 낭비였다'라고 비난의 댓글을 남기기도 했다팬들은 모으기는 힘들지만 잃기는 쉽다. WBC 조기 탈락으로 실망한 팬들의 발걸음을 붙잡기 위해서는 앞으로 향상된 경기력과 승리를 향한 투지를 보여야 할 것이다이번 WBC는 KBO와 한국야구 전체에 대한 '경고장'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4기 조성민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TAG •
  • ?
    4기최민규기자 2017.03.15 20:31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큰 기대를 걸었던 한국야구가 이렇게 쉽게 허무하게 무너지는 것을 보며 가슴이 아팠습니다. 2008베이징 올림픽때의 금메달의 영광은 잊혀져가는 것 같아 아쉽습니다. 한국 야구의 재도약을 기원합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조성민기자 2017.03.15 20:48
    감사합니다~
  • ?
    4기김유경기자 2017.03.15 22:38
    기대가 컸던 만큼 결과가 너무 아쉬웠어요. 가을야구가 끝나고 오랜만에 마주했던 경기라서 더욱 아쉬움이 남았는데요, 프로야구의 투저타고가 어서 평준화되어 더욱 재미있고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경기를 만들어주었으면 해요!
  • ?
    4기조성민기자 2017.03.15 22:51
    앞으로의 행보가 KBO 앞날을 가를 듯 해요 제발 좋은 경기력으로 보답해주기를..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1964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941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3657
책으로 떠나는 '언택트 피크닉' 5 file 2021.02.25 정다빈 14810
나만 안되는 선거, '투표권'을 줄게, 청소년들도 투표하고 싶다! 5 file 2017.04.21 전희원 14812
"친구들이 저를 어떻게 생각할지 걱정돼요..." 6 file 2017.03.04 신예진 14813
서리풀 페스티벌, 서초인들의 축제의 현장으로 file 2017.10.10 천세연 14813
대구 도심 속, 무더위를 날려버리는 이월드만의 이벤트 file 2018.09.05 노나영 14815
계란에 표기된 숫자, 무엇을 의미할까? file 2021.03.26 김정희 14815
그날의 감정도 메모처럼-감정 기록 애플리케이션 MOODA 알아보기 1 file 2022.02.25 조수민 14815
'브랙시트에 대한 학생의 생각은?' - 13th ESU Korea Public Speaking Competition file 2017.03.19 김세흔 14819
늦지 않았어 지금 시작해 8 file 2017.02.18 소윤지 14822
2월 20일, 무명의 기념일에서 유명의 기념일로 4 file 2017.02.20 조수민 14822
환경도 지키고 우리 몸도 지키는, EM을 아시나요? 1 file 2017.04.24 안나영 14825
너도 올 수 있어! 스마트 디바이스 쇼 2017 1 2017.10.19 정지민 14826
송도에서 함께하는 열린 콘서트,클럽 캐백수 오픈마이크! 1 file 2017.03.10 최찬영 14827
MUN 101, 청소년들의 모의 유엔 1 file 2017.08.17 고주연 14830
산업혁명이 또 일어난다고? 2 file 2018.03.01 손정해 14831
2017 제9회 강릉 커피 축제 1 file 2017.11.01 고민정 14832
많은 혜택을 누리시오! file 2017.12.22 김주은 14832
지역사회의 5개의 학교가 모여 따뜻한 나눔활동 3 file 2017.06.01 최희주 14836
'감성을 자극하는 상상속의 IT기기를 미리 만나본다' KITAS 2017. 스마트 디바이스 쇼 1 file 2017.09.14 이성재 14837
춘천시 학생회 연합 체육대회 개최! 2 file 2017.03.19 윤정민 14838
이웃에게 따뜻한 마음을 전달한 B1A4 팬클럽 BANA 12 file 2017.02.21 이다정 14840
블랙핑크 X 셀레나 고메즈 'Ice Cream' file 2020.09.03 이다원 14840
세계를 떨게 한 워너 크라이 랜섬웨어 1 file 2017.05.28 김다은 14841
'이상문학상'을 아시나요? file 2017.03.25 정준서 14842
제비 가족의 탄생, 그들이 하늘로 날아오르기까지... 1 file 2018.07.25 정수민 14842
청소년운영위원회를 아시나요? 3 2017.03.31 이혜원 14846
기업들이 생각하는 미래 자동차 산업은? 2018.06.12 안디모데 14848
눈의 의지로 별을 기리다. file 2017.03.25 임소진 14849
'알라딘', 연기와 음악 모두 접수하다 1 file 2019.07.29 김민정 14849
계양 Wise 청소년 상상 캠프 file 2016.08.10 최찬영 14850
예쁜 추억을 만들려면 삼척맹방유채꽃밭으로 오세요~! 1 file 2017.04.18 정유진 14850
베트남서 "한국어 제1외국어로 채택될 것" 1 file 2020.12.03 김유진 14852
경쟁하지 않는 토론, 1318 청소년 토론한마당 file 2017.07.25 양현진 14854
요즘 부모들의 핫플레이스, 베이비페어 1 file 2017.02.23 양현진 14856
전 세계 아미와 함께하는 방방콘 file 2020.05.04 최민주 14856
다양한 경험, 희망찬 미래. 청소년 운영위원회를 通하여! 2016.10.24 이준성 14857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집콕 게임’이 있다? 3 file 2020.06.01 신준영 14859
작은 발걸음이 소외된 이웃에게 큰 힘이 됩니다! 2019.05.08 이채빈 14860
페트병의 악몽을 깨다. '오호' file 2017.07.25 김민정 14862
배달 앱으로 시킨 음식, 과연 믿을 수 있을까? file 2020.11.27 이수미 14864
새로운 소비생활을 창출하다, 노브랜드. 1 file 2017.06.25 윤선애 14865
PB상품, 정체를 밝혀라! 6 file 2017.05.21 안자은 14866
‘광복 대한민국! 통일 대한민국!’ 8.15 광복절을 기념하다 file 2017.08.25 김나경 14868
경기도 고양시, 보라데이(Look-Again) 캠페인 진행 1 file 2017.11.06 조윤서 14868
핑크 카펫 길만 걸으세요! file 2018.03.02 김서현 14868
정월 대보름과 발렌타인 데이 10 file 2017.02.17 장서윤 14869
14,15 장미꽃 다음은 스승의 날!? 2017.06.10 김윤지 14870
삼성의 야심작 Galaxy S8 무엇이 문제일까 2017.04.24 임유리 148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