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유기동물, 왜? 그리고 어떻게?

by 4기장준근기자 posted Mar 12, 2017 Views 3072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60816_122129_1471336362421_resized.jpg20160816_141131_1471336357165_resized.jpg

[이미지 촬영=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장준근 기자]


 2015년 상반기,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 전체 가구의 18% 정도가 총1000만 마리 이상의 반려동물을 기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 인구 5명중 1명꼴로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는 셈이다. 이렇듯 반려동물은 인간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고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반려동물의 수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로 애견산업에도 좋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반려동물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기동물 수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유기동물이란 주인의 실수, 혹은 의도적인 목적으로 인하여 버려진 동물을 뜻한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집계한 유기견은 한 해 평균 약 8만 마리이다. 이는 전국의 유기동물보호소나 보호센터에 보호중인 유기동물을 집계한 숫자이다. 하지만 동물 보호단체들은 통계에 잡히지 않은 유기동물까지 합하면 연간 10만 마리를 훌쩍 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유기동물은 왜 생길까?


 몇 년 전 여름휴가지에서 자신의 반려견을 유기하고 아무렇지 않게 자신의 집으로 향하는 견주에 대한 사건이 보도된 적이 있다. 자신의 집에서 먼 여름휴가지에 반려동물을 버려두면 반려동물이 못 찾아오는 것을 악용한 행위이다. 실제로 휴가철이 되면 평소보다 유기동물 발생 수가 훨씬 크게 증가한다고 알려졌다. 유기동물이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가장 큰 원인이라고 여겨지는 것은 생명경시풍조이다평소에 길을 걸으면 애완동물 판매점을 자연스럽마주치고 창문 앞에 줄지어선 좁은 진열대 속 새끼 강아지, 고양이들을 너무나 쉽게 볼 수 있다. 일부 사람들은 단지 강아지, 고양이를 돈 주고 사는 소유물로 생각하고 귀엽고 궁금하단 이유로 사서 키운다. 하지만 반려동물은 많은 경제적 여건과 보살핌이 필요로 한다. 반려동물을 가볍게 생각한 사람들은 자신의 기대와는 너무나 다른 현실을 마주하게 되고 쉽게 구매한 것처럼 쉽게 버린다. 유기견이 발생하는 또 다른 이유는 이사나 출산 등의 개인적 사정, 반려동물의 노령화, 질병 등이 있다.


IMG_1225.PNGIMG_1226.PNG

-유기동물이 모두 입양되어 비어있는 유기동물보호센터 모습

[이미지 제공= Dallas animal services and adoption centet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유기동물을 어떻게 도울까?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유기동물을 도울 수 있을까? 울산 신정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박모군은 유기동물이 심각하고 중요한 문제인 것은 아는데 어떤 방식으로 해결해야 하고 어떻게 도와줘야 할지 잘 모르겠다.”고 밝혔다. 박모군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 또한 유기동물에 대해 관심이 있고 돕고 싶지만 방법을 모르겠다고 한다. 유기동물을 도울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바로 입양이다. 현재 동물보호법 제22에 따르면 유기동물이 발견 후 10일이 지나면 지자체 소유로 전환되고 안락사가 가능하다고 밝히고 있다. 정말 유기동물을 돕고 싶고 책임감을 가지고 반려동물을 기르고 싶다면 애완동물 판매점에서 반려동물을 사지 않고 유기동물보호소에서 유기동물을 입양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개인의 참여뿐만 아니라 정부, 지자체에서의 역할도 중요하다. 미국에선 여러 동물보호소들이 '유기동물에게 새 가족을 선물하자' 라는 목표 하에 여러 프로젝트를 실시한다. 텍사스 주의 한 보호소에선 '유기동물 보호소 닫기' 프로젝트를 실시하여 보호 중인 310마리의 유기동물이 모두 입양되었다. 또 샌프란시스코에선 반려동물 판매점에서 유기동물만 판매하도록 하는 법안이 통과되었다. 이는 강아지 번식을 위해 새워진 강아지 공장을 척결하기 위한 조치이다. 미국에선 샌프란시스코 이외에 오스틴, 보스턴 등 8개의 도시에서 이러한 내용의 법을 시행 중이다.


▲입양은 조금 힘들다 그럼 더 쉽고 간편한 방법으로


  유기동물을 입양할 여건이 안 된다면 봉사활동으로 유기동물을 도울 수 있다. 우리나라엔 국가에서 운영하는 유기동물보호센터가 약10~ 20개 정도가 있다. 보호소에 간단한 신청만 하면 봉사활동이 가능하다. 실제로 여러 유기동물보호센터가 봉사자를 필요로 하고 있는 상황에 처해있다.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SNS 카카오톡은 사랑으로 입양해주세요라는 문구를 단 유기동물 이모티콘을 판매한다. 판매 수익금은 동물보호단체 카라에 기부되고 유기동물을 위해 사용된다. 동물보호시민단체 카라에서는 후원, 길고양이 급식소 운영, 위기동물 지원 등의 활동을 운영하고 있고 일반인들도 쉽게 참여 하여 유기동물을 도울 수 있다.

 유기동물을 돕고 입양하는 것은 효과적인 봉사가 분명하다. 하지만 유기동물을 줄이기 위해서 가장 시급한 방법은 반려동물을 버리지 않는 것이다. 정말 사랑하고 가족이라고 생각한다면 끝까지 책임져야 한다. 반려동물, 유기동물 모두 인간과 함께 공존하는 생명존중 사회를 기대해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장준근]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최가현기자 2017.03.13 22:35
    동물을 좋아해서 유기동물에 대해서도 관심이 많았는데 입양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 봉사활동을 통해 돕고 싶네요. 좋은 정보 얻어갑니다. 기사 잘 읽었어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36409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33695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55231
"엔저 열풍"과 식지 않는 일본 여행 file 2017.07.24 임형수 14879
"여러분의 추억 속에서 진한 향기로 남아있기를 바라며..." 철가방 극장 시즌 1 종료 file 2018.04.27 강연우 15231
"열려라, 청주읍성" 탈환 425주년 기념 청주읍성큰잔치 성료 file 2017.09.05 허기범 15749
"영화는 계속된다" 더욱 새로워진 제22회 전주국제영화제 개막 file 2021.05.03 김수인 13059
"오로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독식 없는 시상식, '가온차트' 1 file 2017.02.25 황새연 13936
"우리 세금 어디쓸지 우리가 결정하자" 창원주민대회 창원시에 예산 편성 요구 file 2021.09.16 우한인 9728
"우정은 가장 섬세한 사랑이다"...영화 '소울 메이트' file 2023.06.13 22기배현주기자 8499
"인공지능 시대 열릴까"...코엑스 월드IT쇼에 가다 file 2024.05.07 박민석 4871
"인정?" "어 인정~" 지금은 급식체 열풍 1 file 2017.11.27 이지우 17991
"저희 엄마 좀 살려주세요"···대학에서 일어난 만행 2 file 2017.04.24 서상겸 14343
"저희도 대한민국 국가대표 입니다." 1 file 2017.04.20 정가영 17074
"점점 늘고 있는 청소년 흡연" 2 file 2021.02.23 노윤서 12924
"주거빈곤아동 생활환경 함께 개선해요" 초록우산어린이재단, 나눔실천리더 발족 file 2019.02.26 디지털이슈팀 15545
"지구온난화 놔두면 겨울스포츠 사라져"...영국 러프버러대 교수의 일침 file 2023.12.08 문은서 6429
"친구 생일템·기념일템, 나만의카드로 선물할까" 아이오로라 '나만의 카드' SNS서 인기 file 2020.11.10 디지털이슈팀 13872
"친구들이 저를 어떻게 생각할지 걱정돼요..." 6 file 2017.03.04 신예진 14640
"평창올림픽 개막 D-3"..평창 성화, 자연의 신비 간직한 삼척 밝혀 1 file 2018.02.06 디지털이슈팀 17412
"하나의 국가, 두 개의 경제 체계"...홍콩투자청 세미나 가보니 file 2023.12.07 안소담 5714
"학교 직장인증 소셜커뮤니티" 비대면 친목플랫폼 '썸코리아' 출시 file 2021.08.05 디지털이슈팀 12482
"해외여행 가는 척", 이게 요즘 인기라고? 2 file 2020.09.29 조윤주 11578
' 국민이 주인되다' 1 file 2017.08.23 이지은 13979
'#셀피 나를_찍는_사람들' 하나의 해쉬태그로부터 예술이 되기까지 file 2017.09.26 오주연 14866
''어서와, 방방콘은 처음이지?'' file 2020.06.22 김현희 12845
'10년만의 챔피언스 리그 4강 진출!', 올랭피크 리옹, '우승 후보' 맨체스터 시티 격파 file 2020.08.24 이은호 11776
'19금' 정치 속, 청소년 모의투표 결과, 기호 1번 더불어민주 문재인 당선 1 file 2017.05.15 최문봉 20361
'1일 1깡', '깡동단결' 등 깡의 신드롬 2 2020.06.08 이다원 16937
'2017 제주 수학 축전' 개최 1 file 2017.10.19 신온유 18737
'2017 함평군 농·축협인 한마음 상생대회' 통해 팀원 간 친목 다지기 file 2017.04.24 정상아 15069
'2017경기로컬푸드데이'를 아시나요? file 2017.10.02 박지은 15873
'2017고양국제꽃박람회'와 함께 연휴를 꽃피워봐요! 3 2017.05.07 인예진 15973
'2017핸드메이드 코리아 SUMMER' 성료 1 file 2017.08.06 정상아 14387
'2018 창의융합형 인문학기행' 역사교류단, 성장 캠프까지 성공적으로 마무리 file 2018.08.30 김혜신 19312
'2018 코리아 크리스마스 페어'로 함께 떠나요! 1 file 2018.12.10 반유진 16863
'2018 푸드아트페스티벌' 순천의 맛과 멋에 빠지다 2 file 2018.10.17 최민지 18457
'2018년도 화성시 청소년 종합예술제'에서 여러분의 끼를 발산하라! file 2018.05.30 김태희 14908
'2019 MBN Y 포럼'이 청년들에게 주려는 메시지 "지금 시작하라!" file 2019.02.14 김가연 13842
'2019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를 가다 2 file 2019.08.02 조햇살 20022
'2019 한중국제영화제 영사모 지역문화페스티벌' 세종시에서 열리다! file 2019.08.27 이채연 17690
'2020 법무부 웹툰공모전' file 2020.05.11 이채원 21084
'2020 여성폭력방지 콘텐츠 공모전' 6 file 2020.04.23 이채원 21860
'2020년 실패박람회 슬로건 아이디어 공모전' file 2020.04.14 이채원 20778
'2021 백상예술대상' 대상의 '유재석' '이준익' file 2021.05.25 문소정 11906
'8위→3위' 리버풀의 기적 같았던 시즌 file 2021.05.26 윤서원 10751
'9.1절'에 맞붙은 숙명의 라이벌, 마지막에는 한국이 웃었다 file 2018.09.05 김하은 14455
'9개월 간의 대장정' PL 개막! 화끈한 골 잔치로 포문 열어... 2021.08.19 손동빈 13344
'AI' 어디까지 왔나 2017.05.24 임승연 15964
'Blind Belief'에 대하여 file 2016.07.24 한지수 14514
'K-좀비', <킹덤>의 귀환 4 file 2020.03.27 조은솔 179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