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GIST 전성찬 교수,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해 '준침습성 뇌 전기 자극' 효과 입증

by 4기임오령기자 posted Mar 05, 2017 Views 1702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기사.png



[이미지 제공=전성찬 교수]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현재 의료 현장에서는 수술을 하지 않는 비침습적 방법이나 수술을 위해 개두 하는 침습적 방법으로 외부 전기 자극을 뇌로 전달하고 있다. 하지만 개두를 해야 하는 침습적 방법은 보다 위험하고 비침습적 방법은 자극의 효율이 떨어진다. 이 두 가지 방법을 보완한 준침습성 전기 자극법에 대해서는 이론적으로 제안되어있을 뿐 그 효과가 정확하게 입증되지 않았다.

 이에 GIST 전성찬 교수(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준침습적 전기 자극법비침습적 뇌 자극보다 10배 이상의 자극 효율을 가짐을 입증하였다.


기사3.png



[이미지 제공=전성찬 교수]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연구팀은 자기공명영상(MRI)를 이용하여 뇌의 구조적 특징을 복원하여 3차원 뇌 컴퓨팅을 이용해 두피에 적극을 부착하고 티타늄 채널을 두개골에 심은 뇌 모델을 구현했다. 이어 운동 신경 전달의 중추 역할을 하는 뉴런 모델을 뇌 모델에 가상적으로 결합한 뒤, 다양한 지름의 티타늄 채널을 통해 가해지는 뇌 전기 자극의 영향력, 채널-전극 간 거리 변화에 따른 뉴런 활성화 양상을 분석했다. 그 결과 준침습적 방법은 비침습적 방법론에 비해 약 5배 높은 자극 집중도와 함께 최대 11배 높은 뉴런의 활성화 반응을 유도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전극에서 가해지는 전류가 손실 없이 뇌에 전달될 수 있었다.


 전성찬 교수는 "향후 준침습적 방법론이 실제 임상에 적용되어 더 나은 뇌 자극 치료 전략을 세우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또한 "'대기만성' 이라는 말처럼 지금은 천천히 오히려 눈에 진보가 보이지 않아도 한단계 한단계 성실히 공부하고 연구하며 노력한다면, 나중에는 좋은 결실이 있을 거라고 믿는다"라며 청소년들에게 응원의 메세지를 보내주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4기 임오령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2328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992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4411
콘서트 가면 '사생팬' 이라고요? 더 이상은 NO! 5 file 2016.05.05 김현주 16822
화성 효 마라톤 대회 그열정의 현장 속으로 file 2016.05.29 신수현 16821
주민들간에 소통의 벽을 허물어준 평화동네 작은 음악회 2 file 2017.07.13 최희주 16820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과 오사카시의 만남, 전국 더 리얼 at 오사카성 1 file 2017.02.23 석채아 16820
잠자는 청소년의 의식을 깨운다! '청소년 자원봉사 여름학교 - 학교폭력 예방 캠페인' file 2017.08.21 김현서 16809
서대문독립민주축제, 역사가 살아 숨 쉬는 곳 1 file 2019.08.19 노주영 16808
인간이 우울해질수록, 가재는 대담해진다 file 2021.06.29 유예원 16807
Blooming their hooes with you, 희움을 아시나요? 1 file 2017.12.25 서수민 16803
관객을 속이는 영화, 맥거핀의 집합체 file 2016.07.26 김현구 16797
청소년에게 꿈을! 인동고 MBC, 구미 청소년 문화존에 참가하다. file 2017.05.24 김민정 16795
웃음짓는 청년상인, 살아나는 전통시장 1 file 2016.08.25 류지석 16795
한국걸스카우트 국제야영 "Act! Connect! Empower!" file 2017.08.23 김주희 16788
ASMR, 당신은 사용하시나요? 4 file 2017.09.21 안현진 16787
지친 청춘들을 위한 박지선과 폴킴의 강연, <청춘강연> 1 file 2018.06.12 김지민 16777
차별을 향해 날리는 통쾌한 홈런 한 방, 대구퀴어문화축제! file 2017.08.27 고은서 16777
면역력 관리가 중요한 여름, 면역증진에 도움 되는 식품은 무엇일까? 1 file 2020.06.12 이한나 16775
우리 동네에 공용 냉장고가 있다고? 중국 내 무인화 기기 사용 4 file 2020.05.02 김수임 16775
날아라 국제고 꿈꾸라 국제고인, 전국 국제고 연합 학술제: WELCOME TO GGHS file 2018.11.22 윤수빈 16774
따라쟁이, 의식쟁이 사람들 3 file 2017.03.27 최윤원 16774
가장 한국적인 도시, 전통이 살아 숨쉬는 전주로 떠나자! file 2017.07.18 조지원 16773
수륜 메뚜기가 전국에 가을을 알린다! ‘2017 제3회 성주 가야산 황금 들녘 메뚜기잡이 체험 축제’ file 2017.10.18 김나현 16770
문화가 있는 날, '톡, TALK! 기상 콘서트'로 떠나요 file 2017.09.28 김나현 16767
2016년 트렌드, 정교한 감각과 평범함의 향연 file 2016.05.22 한세빈 16766
제주도에서 추억을, 넥슨컴퓨터박물관 2 2018.07.13 안소정 16764
먼나라 이웃나라, 일본으로 교류 캠프를 떠나다 1 2017.08.09 오세민 16763
여주의 자랑, 제 28회 여주도자기축제 file 2016.05.22 최서영 16761
몽골 아이들의 온기를 느낀 GVT file 2016.07.25 이민재 16756
'동주' 별을 스치는 바람 file 2016.07.25 조혜온 16756
뜨거운 코트를 가르며 BOOM UP 1 file 2019.02.08 이귀환 16754
신인 작가들의 날갯짓, '젊은 작가상' file 2019.09.27 김사랑 16751
독일어를 즐기고 싶은 사람들에게, 주한독일문화원 '파쉬 페스트' 1 file 2017.06.25 장지윤 16751
5월, 꼭 봐야할 영화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2018.05.14 오가람 16750
하와이에서 실제 우주복 입고 체험한 '가상 화성 생활 file 2016.08.24 노태인 16749
공간의 진화, 트렁크 룸 1 file 2017.03.26 김하은 16746
누구든지 그림 동화책 작가가 될수 있어요! file 2016.08.25 이도균 16746
일반인들의 우주, 도래할 것인가 file 2022.01.13 현예린 16745
펴야 할까? 켜야 할까? 코로나 팬데믹으로 급증한 전자책 이용률…종이책 대체 가능할까? file 2021.09.23 정지운 16745
소셜 미디어의 충격적인 민낯 <소셜 딜레마> file 2020.12.29 김수연 16742
흰지팡이는 무엇을 의미할까? file 2017.09.19 정은희 16738
서울중앙지방법원이 시민들과 소통하는 방법 - 재판 방청 프로그램 2 2017.02.25 최다영 16734
자연이 살아 숨 쉬는 섬, 오륙도 8 file 2017.02.04 정유진 16734
임진왜란 3대첩지 ‘행주산성’ file 2017.05.17 허선주 16732
서울 종로 '중앙버스전용차로제(BRT)' 시행 반년, 현장에 가다 file 2018.08.03 이선철 16730
단추로 보는 프랑스, <프랑스 근현대 복식, 단추로 풀다> 특별전 file 2017.09.20 허선주 16729
제로에너지 주택, 에너지 절약의 첫 걸음이 될까? file 2017.08.25 강지석 16728
5.18 광주민주화운동, 그 역사적 공간을 걷다. 1 file 2017.05.25 이예인 16726
경복궁에 관하여 1 2016.03.31 최서빈 16726
존 카니, 음악과 영화 file 2016.07.22 서지민 167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