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만해 한용운의 혼을 담다, 전국만해백일장

by 4기오시연기자 posted Mar 03, 2017 Views 1474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P20170303_222505000_0EAAD1EF-4991-4A9B-9F61-AC8EB774B62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오시연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지난 1일 동국대학교 중강당에서 제38회 전국만해백일장이 진행되었다.


전국만해백일장은 시인이자 독립 운동가였던 만해 한용운을 기리기 위해 치뤄지는 백일장 대회로 삼일절에 열린다는 것이 특징이다. 대한불교청년회, 서울특별시 주최, 대한불교청년회 만해백일장 조직위원회 주관의 행사이다.


오전 10시에 본격적인 행사가 시작되기 전 사람들은 원고지를 받아 식이 진행되는 본관(중강당)으로 들어갔다. 인터넷 사전접수자들은 접수증을 보여주고 원고지와 안내 팜플렛을 받으면 되었고, 현장접수자들은 간단한 양식 작성 후에 원고지를 받아갈 수 있었다. 상당수의 사람들은 중·고등학생이었으나 대학생 및 초등학생, 일반인까지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많은 사람들이 참가한 것으로 보여 졌다. 가족단위로 참가한 사람들도 많았고 친구들끼리 추억을 만들고자 참가한 학생들도 여럿 보였다.


P20170303_222503000_5FAEB8CD-1752-476F-B54E-C4DE84126453.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오시연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8회 전국만해백일장은 제13.1 민족자주독립선언 98주년 기념식, 2부 백일장, 3부 문학의 향기, 4부 시상식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식이 진행되는 중강당에는 많은 사람이 몰렸고 늦게 온 참가자들은 앉을 자리가 없어 서서 기념식을 갖기도 했다. 많은 참가자에 비해 중강당이 비교적 크지 않아 발생한 상황이었다. 본격적인 백일장의 시작을 알리는 개회사 후에는 국민의례와 애국가 제창이 이어졌고 불교행사의 명목에 맞게 영상으로 반야심경을 들려주었다. 불교를 믿지 않는 다른 종교인, 또는 종교를 갖지 않은 무교일지라도 다 같이 반야심경을 들으며 마음을 가라앉히는 시간을 가졌다. 다음 순서는 만해 한용운 선생의 <조선독립에 대한 감상의 개요>중 일부를 낭독하는 시간이었다. 이 글은 일제강점기 시절 쓰여진 대한민국의 독립에 대한 글로써 삼일절이었던 당일 우리 조상들의 노력을 다시 한 번 일깨우는 시간을 갖기도 했다. 기념사와 축사가 끝난 후 참가자들은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 대학·일반부, 또한 산문부, /시조 부로 나뉘어 지정된 강의실로 향했다.


글제는 물방울, 눈부시다, 편지, 흔들리다, 환승 등의 다섯 가지로 주어졌고 초등부부터 일반부까지 공통 글제로 주어졌다. 연필과 샤프는 사용할 수 없었으며 볼펜으로만 작성해야했다. 다른 백일장들과는 다르게 핸드폰의 전원을 끄고 지정된 강의실에서만 글을 쓸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신분증이 없으면 퇴실 조치를 당하는 등 엄격하게 참가자들을 제한하는 모습을 보였다. 백일장에 참가한 한 학생은 오히려 이런 조용한 분위기에서 글을 쓰니까 더욱 좋았다. 다른 떠들썩한 백일장과 다른 색다른 경험이었던 것 같다.”며 이러한 주최 측의 대처에 만족을 내비쳤다.


P20170303_222458000_6C14D062-E324-4E22-A34B-771CE81270FD.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오시연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시까지 글을 마무리하고 3시부터 시상식이 시작되는 5시까지 제3부 문학의 향기 프로그램인 작가와의 대화에 참여할 수 있었다. 시인 박준과의 만남을 통해 많은 학생들 및 사람들은 글쓰기에 대한 여러 조언을 들으며 유익한 시간을 가졌다. 작가와의 대화가 이어지는 동안 심사위원들은 원고심사를 진행하였다.


5시부터는 시상식이 진행되었다. 38회 전국만해백일장의 만해대상은 흔들리다의 글제로 대구 서부고 3학년의 한의진 학생이 차지하였다. 이외에도 동국대학교 1학년 안지영 학생이 만해상을 수상하는 등 120여 명의 학생 및 일반인들이 장원상, 우수상, 장려상 등의 상을 수상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대한불교청년회 홈페이지(http://www.kyba.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오시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최예헌기자 2017.03.04 10:22
    저도 이번 만해 백일장에 참가했었어요ㅎㅎ 만해나 마로니에, 대산 같은 대학 입시에 관련되는 백일장은 거의 다 엄격하게 진행되는 모양이더라고요.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4기추연종기자 2017.03.05 00:13
    조용하고 차분한 분위기에서 쓴 글인만큼 좋은 작품들이 많이 나왔을 것 같습니다. 백일장이라고 하면 산문과 시만 생각하고 잇었는데 시조도 백일장에 포함되는지는 몰랐네요. 다양한 사람들이 참가한 만큼 풍성하고 뜻 깊은 자리였을것 같습니다. 좋은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4기노유진기자 2017.03.05 15:06
    저도 백일장에 몇번 나가보았는데, 이렇게 엄격하고 조용한 분위기에서 글을 쓰면 더 좋은 글을 쓸 수 있을 것 같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4580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4303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65225
아는 만큼 보이는 역사의 힘 1 2017.09.20 배시은 16505
아는 만큼 즐기는 추석 2 file 2016.09.22 이민정 16866
아동·청소년 정책박람회 「Be 정상회담」 - "우리의 권리를 지켜주세요!" file 2017.11.15 오현주 15159
아동청소년, 정책을 외치다! 아동청소년 정책박람회 'Be 정상회담' 성료 file 2017.10.31 김혜린 12733
아듀 경기도차세대위원 16기 그리고 새로운 발걸음을 내딛은 경기도차세대위원 17기 file 2016.05.24 송윤아 14635
아름다운 '스칸디나비아반도'로의 여행! 1편- 핀란드 2017.09.01 김성미 15639
아름다운 가게를 아시나요? 10 file 2016.02.22 박채운 29129
아름다운 문화거리, 청계천 광교 2019.01.25 최경서 16137
아름다운 빛의 향연, 빛의 벙커 file 2019.03.08 조은빈 20330
아름다운 순우리말 사용 캠페인 취재 file 2017.09.04 최서진 17255
아름다운 예술의 나라, 프랑스 탐방기 file 2019.03.13 10기송은지기자 19186
아름다운 장미꽃들의 축제 1 file 2016.05.22 신경민 15503
아름다운 한글 , 아름답게 쓰는 청소년이 아름답다 2014.08.04 박주언 21662
아름다운가게, 2023 아름다운 희망나누기 공모 file 2022.07.18 이지원 8788
아름다운가게, 명품 의류를 활용한 ‘업사이클링 캠페인’ 선봬 file 2022.12.19 이지원 8349
아름다운가게, 아름다운 나눔보따리 스무 번째 새해 나눔 file 2023.01.16 디지털이슈팀 8213
아름다운가게, 창립 20주년 기념 엠블럼 발표 file 2022.09.02 이지원 8480
아름다움의 기준은 없기에, 바비인형의 대변신 2 file 2018.06.07 김채용 16310
아물지 않은 상처, Boxing day 태국 쓰나미 1 2017.06.23 권윤주 16142
아반떼의 시작점, 엘란트라 1 file 2018.09.10 이상오 20131
아산시에도 공유 킥보드가 상륙하다 file 2021.03.11 석종희 22743
아쉬움이 남지만 화려했던 2018 전주 국제영화제 1 file 2018.05.21 안혜민 15247
아시아 문화의 메카! 국립아시아문화전당! 7 file 2016.03.01 이봉근 19227
아시아 최대 재테크 박람회, 서울 머니쇼가 개최되다. file 2017.08.24 배정은 15476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안정을 향해, 제42차 모의유엔총회 file 2018.08.17 박세경 15221
아시아의 친구들에서 찾은 한국어 교실의 진정한 의미 file 2016.09.25 이의진 16920
아시아의 파리, 서울·· 패션도시로 우뚝서다 1 file 2017.10.25 김정환 17090
아시안게임 축구 대표 팀의 논란 file 2018.08.16 이형경 15559
아시안게임, 병역 혜택의 기회? 3 file 2018.08.30 김서진 13054
아시안컵 한국 바레인과 연장전 끝에 힘겹게 승리하다! 1 2019.01.24 박종운 14333
아이돌 그룹 비투비 팬들, 어려운이웃과 저소득층 아동지원을 위해 쌀·연탄·달걀 기부 1 file 2017.03.27 김은정 20131
아이돌 인기에 버금가는 한국 축구 열기, 앞으로도 계속될까.. 1 file 2018.09.13 오다혜 15415
아이돌그룹 ‘갓세븐’ 멤버 영재 숲, 서울로 7017에 조성된다 file 2017.09.14 디지털이슈팀 14398
아이돌학교? 안 예뻐도 돼요! 1 file 2017.07.25 정서희 15411
아이들의 목소리를 듣다! 어린이재단 경기북부지역본부 아동옹호센터 file 2017.09.29 임성은 16937
아이들의 천국, 낙양물사랑공원 워터파크 무료 개장! file 2017.07.31 임성은 15316
아이들의 초록빛 미래를 엿보다...'초록우산 어린이대상'에 가다 file 2023.07.26 제갈혜진 6823
아이들이 부모를 선택하는 시대, '페인트' 1 file 2022.03.28 민유정 11269
아이러브북, 제1회 이달의 책 공모전 개최 file 2022.12.28 이지원 8423
아이비리그 수준의 국제 대회, 예일 모의유엔 2019 file 2019.12.30 김수진 14332
아이의 화장 이대로도 괜찮을까? 5 file 2017.03.18 김윤지 15906
아직 모르시나요? '카카오톡 멀티프로필'로 다양한 나를 표현하다 file 2021.03.26 조예은 14755
아파트 건설 도대체 왜? file 2020.10.26 박성현 12892
아파트 주민들, 고양이를 키우다 4 2017.09.22 유예은 14839
아파트 주민들의 소통부터 기부활동까지! 3 file 2017.04.29 정지윤 15301
아프리카로 꿈과 희망을... ADRF희망드림6기 OT 2017.05.14 정다빈 15203
아픔과 다짐이 담긴 DMZ 박물관을 다녀오다. file 2016.10.25 이예린 16586
아픔의 역사를 간직한 전쟁과 여성 인권 박물관에 가다 1 file 2016.08.25 양소정 175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