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시대의 어둠 속 작은 ‘등불’이 되었던 저항시인, 윤동주

by 4기최은희기자 posted Mar 01, 2017 Views 1662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윤동주문학관1.PNG

[이미지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최은희기자]



윤동주, 유년시절부터 자연스럽게 여러 서적에서 접하게 되어 굉장히 익숙한 이름.

그의 발자취를 따라 밟아보니 그는 시인,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 저항시인이었다.

3.1절을 맞이한 오늘, 하늘과 바람과 별이 함께하는 '윤동주 문학관'에서 저항시인 윤동주를 만나보자.


1전시실에서는 윤동주 시인의 일생을 시간적 순서에 따라 살펴볼 수 있었는데 명동촌에서의 출생, 연희전문학교 입학, 후쿠오카교도소에서 삶의 마감까지 9개의 전시대로 나누어져 있었다.

그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전시대 옆에 전시된 우물이었다.

그 우물은 윤동주 시인의 생가에 있던 우물을 실제로 옮겨와 전시한 것이다.

윤동주 시인은 그 우물에 비친 당신의 얼굴을 보며 참회록이라는 시를 쓰게 되었다고 한다.


열린우물1.PNG

[이미지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최은희기자]


2전시실 열린 우물은 사방이 벽으로 둘러싸여 있었고, 뚫려있는 곳이라고는 하늘이 보이는 천장뿐이었다.

일제강점기의 답답한 현실과 사방이 막힌 교도소에서 유일하게 바라볼 수 있었던 하늘을 형상화한 이 공간에서 시인의 시를 다시 마음에 새겨보게 된다.

죽는 날까지 하늘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소망했던,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하고자 꿈꿨던, 그리고 그에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다짐했던 그의 시를.


3전시실에서는 윤동주 시인의 삶에 대한 영상을 볼 수 있었다.

윤동주 시인은 부끄러움을 아는 사람이었다.

일제의 강압에 고통받는 조국의 현실을 마주하면서 일본식 이름으로 바꾸게 되었던 그.

그는 괴로워했고 그 괴로움과 부끄러움을 시로 써내려갔다.

윤동주 시인이 저항 시인이라고 일컬어질 수 있는 이유는 일제강점기에 민족의 아픔과 괴로움을 그의 시에 담았고, 펜으로밖에 저항할 수 없었다는 사실조차도 부끄러워했던 사람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촛불1.PNG

[이미지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최은희기자]



또 한 번의 어둠 속을 걷고 있는 대한민국

지금의 세상은 온통 환자투성이

그 시대의 아픔을 담은 시가 오늘날 현실에도 그대로 적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의 시가 어두운 일제강점기의 등불이 되었듯, 우리의 촛불이 어두운 탄핵국면 속 진실을 밝게 비추길 기대해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최은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유림기자 2017.03.04 15:23
    우물이 정말 인상깊습니다. 윤동주 시인을 참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윤동주 문학관에 꼭 가봐야겠네요. 무한도전 개코X광희 의 노래 '당신의 밤'이 생각납니다. 자유롭게 말할 수 있는 시대에임에도 불구하고 말하지 못하는 제 자신이 정말 부끄럽습니다. 좋은 정보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김혜원기자_2 2017.03.04 16:20
    얼마전 동주 영화를 보고 정말 많이 울었던기억이 이기사를 보니 다시생각납니다. 펜으로 남겼던 그의 저항의 메세지가 오늘날까지 우리에게 큰 위로와 의지를 심어줌과동시에 부끄러움까지 느끼게 하는 것 같습니다. 좋은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5631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65200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9713
가슴 아픈 역사의 현장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 1 file 2017.10.24 이윤지 20176
가상현실로 이루어진 내 눈 앞에 펼쳐진 풍경 ··· 어디서나 쉽게 체험 가능해 19 file 2017.01.11 이정수 17360
가상증강현실, AR과 VR 4 2017.02.24 한제은 18766
가상 화폐가 우리에게 가져온 것들 file 2021.05.27 윤지훈 13270
가뭄 피해, 남의 일이 아니다. 1 file 2017.06.28 장나은 18277
가나, 우주 경쟁에 뛰어들다! 2 file 2017.08.07 한동엽 16966
가깝지만 가까워질 수 없는 존재, 가공식품 1 file 2020.11.30 김나래 12946
가깝고도 먼나라 일본으로 4 file 2017.03.29 고아연 15694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의 아름다운 오사카를 여행한다면? 5 file 2019.02.15 이채린 20671
가까운 곳으로 여행을 떠나고 싶다면 부산시민공원으로! file 2018.07.24 최아령 14304
軍과 함께하는 '2017 원주 다이내믹 댄싱카니발' 개막 1 2017.10.09 김혜원 21541
詩끌벅적한 문학축제 제29회 지용제 열려 file 2016.05.22 곽도연 14200
英 코벤트리대, 전설적인 음악가 ‘델리아 더비셔’ 개관 file 2023.01.16 디지털이슈팀 7923
美 캘리포니아, 자율 주행 무인자동차 '누로'의 상용 운전 첫 허가 file 2021.01.04 공성빈 14527
故 최덕수 열사 29주기 정신계승 정읍시민문화제 1 file 2017.05.21 이시온 15186
情을 담은 정다운 청소년 자원봉사프로그램 file 2019.07.29 문유정 16134
北과의 화해의 길? 남북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 1 file 2018.02.21 김예준 17144
『제2회 환경을 생각하는 과학/공학 아이디어 공모전』 수상작 발표 file 2019.12.30 고서영 17929
『제1회 장애인편의증진대회』 광화문 광장에서 열려 5 file 2017.09.05 유진주 14968
「스마트 디바이스 쇼」 그 뜨겁던 현장 속으로... file 2017.08.31 신민주 14555
〈the Issue: 시대를 관통하는 현대카드 라이브러리 Magazine Collection〉, 매거진으로 시대를 보여주다 file 2021.04.26 권가현 12497
“화폐 없는 나라” 디지털 사회 속에서 구현되나 file 2017.03.20 김다영 13705
“폭염∙자외선 지수 이젠 날씨 알림이 앱에서 확인하세요!” file 2021.06.16 김태림 10657
“추석도 다가오는데...” 여전히 높은 계란값, 정부는 낮출 수 있나 file 2021.08.26 최우석 13230
“지구야 ESG마, 우리가 ESG게” 성동청소년센터, 청소년 주도 ESG 활동 성료 file 2022.11.04 이지원 8025
“전자담배 광고인 줄”... 보건복지부 ‘노담’ 광고에 여론은 ‘싸늘’ file 2021.01.25 박지훈 22212
“저희는 승리하길 원할 뿐입니다” 글로벌기업 나이키(NIKE)가 세계에서 승리하는 방법 file 2022.06.04 염지원 12459
“장난감은 언제나 현실의 또 다른 모습이다”, 신비한 장난감 가게 : 작은 것들의 큰 이야기 file 2022.01.24 김진영 11104
“입는 과학”… 웨어러블 기기의 시대 2 file 2017.02.17 임수빈 15305
“이제 당신도 날아다니는 겁니다“, 전격 비행 시대가 다가온다 1 file 2021.09.27 허민영 12321
“이번 설은 집에서 영상통화 무료로 즐기세요!” 1 file 2021.02.15 김태림 13855
“이게 한국?”...내셔널지오그래픽에 한국인들이 뿔난 이유 file 2021.07.27 박지훈 138442
“웃음과 함께, 하지만 잊지 말아야 할 것” ? 광명시 ‘나름데이’ 행사 1 file 2016.04.25 양소정 14464
“어른이 되는 게 무서워요” …… 현실이란 틀 안에 갇혀버린 학생들 2 file 2017.03.25 김다희 18635
“양극화 사회에 전하는 공감과 소통” 푸른숲주니어, '네가 속한 세계' 신간 출간 file 2021.01.11 디지털이슈팀 15369
“아임 파인 땡큐 앤 유?” 영어가 배우고 싶은 도깨비 할매, <아이 캔 스피크> file 2017.11.09 박세진 21601
“뭐라도 해야지 바뀌지 않겠습니까” ‘D.P.’의 흥행과 그 이야기 file 2021.09.08 이정훈 16265
“당신이 읽는 순간 세상이 바뀝니다”, 1석 2조의 따뜻한 잡지 <빅이슈> 7 file 2016.02.22 김지윤 18202
“담쟁이가 그린 세상”에 가다 1 file 2017.12.04 오태윤 16391
“다시, 새콤달콤한 설렘을 이어가요” 2022 대한민국 과일산업대전 개막 file 2022.12.02 이지원 8003
“누구나 한 번쯤 소문의 주인공된다” 푸른숲주니어, '소문의 주인공' 신간 출간 file 2021.01.04 디지털이슈팀 14346
“나도 성악가” 부천 소사에서 펼쳐지는 가곡교실 4 file 2017.02.16 김준희 16900
“꽃보다 아름다운 할머니, 사랑합니다.” 나눔의 집에서 효 잔치 열려 2017.05.07 정예빈 16999
“기아 에코다이나믹스 원정대 7기” 해외캠프 실시 4 file 2017.02.03 이태양 22094
“your name.” ? Romance, Wish and Culture 6 file 2017.01.22 하은지 17553
“RISE”, 워싱턴 대학에서 개최한 설날 축제 2 file 2017.02.20 이민정 15948
“7월 1일부터 대전~오송 급행 버스 현금 승차 안돼” file 2021.07.05 김태림 10419
“60~74세 어르신들 코로나19 백신 예약하세요” file 2021.05.06 김태림 110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